"하남 이성산성 9각 건물터 (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4220000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
 
22번째 줄: 22번째 줄:
 
9각 건물지는 중심부에 120×50×30㎝ 크기의 판석 4개가 20~40㎝ 정도 크기의 적심석 위에 놓여 있고, 주변으로 세 겹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놓인 구조이다. 건물지의 규모는 지름 10.32m이다. 원래 초석의 수는 총 22개로 추정되며, 현재 남아 있는 초석은 17개이다. 출입구나 난방시설 등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9각 건물지는 중심부에 120×50×30㎝ 크기의 판석 4개가 20~40㎝ 정도 크기의 적심석 위에 놓여 있고, 주변으로 세 겹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놓인 구조이다. 건물지의 규모는 지름 10.32m이다. 원래 초석의 수는 총 22개로 추정되며, 현재 남아 있는 초석은 17개이다. 출입구나 난방시설 등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
====자문의견====
 +
# 분야별 자문위원 1
 +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font color= "red"><s>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s>  소량의 무기류만 출토되는</font>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 분야별 자문위원 2
 +
#*건물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 추가 요망
 +
#*-> 이 건물의 기능을 하늘에 제사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
 +
#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1)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 성곽유적 내의 <font color= "red">건물지지만</font>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 동문지 권역에서는 8각 건물지, 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가 1곳씩 확인되었다. <font color= "red">(‘동문지’글자 크기)</font>
 +
#*⇒ <font color= "red">동문지</font> 권역에서는 8각 건물지, 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가 1곳씩 확인되었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2021년 6월 11일 (금) 09:44 판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권역 9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하남 이성산성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문지 권역에서는 8각 건물지, 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가 1곳씩 확인되었다. 9각 건물지는 중심부에 120×50×30㎝ 크기의 판석 4개가 20~40㎝ 정도 크기의 적심석 위에 놓여 있고, 주변으로 세 겹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놓인 구조이다. 건물지의 규모는 지름 10.32m이다. 원래 초석의 수는 총 22개로 추정되며, 현재 남아 있는 초석은 17개이다. 출입구나 난방시설 등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소량의 무기류만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건물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 추가 요망
    • -> 이 건물의 기능을 하늘에 제사 지내는 천단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1.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1)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 동문지 권역에서는 8각 건물지, 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가 1곳씩 확인되었다. (‘동문지’글자 크기)
    • 동문지 권역에서는 8각 건물지, 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가 1곳씩 확인되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