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
석조 지장 시왕상은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 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된 31구의 불상이다. 이 불상들은 숙종 7년(1681) 승려 조각가인 승호(勝浩)의 주도 하에 총 18명이 참여하여 경주에서 나오는 불석(佛石)으로 만들었다.
  
 +
불단 가운데에는 지장보살이 앉아 있고, 양옆에는 사람들의 악한 마음을 없애준다는 귀신 왕인 무독귀왕과 사후 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도명존자가 젊은 스님 모습으로 서 있다. 불단 양옆에는 시왕**, 판관, 귀왕, 사자가 배치되어 있고, 양쪽 끝에는 불교의 수호신인 인왕이 서 있다.
  
===수정 국문===
+
2006년 지장전을 고쳐 지으며 불상에 새롭게 금박을 입히던 중 전적류와 발원문 등의 복장 유물을 발견하였다. 이때 수습된 전적류는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501호와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초고====
 
지장전에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들로 이루어진 총 31구의 불상이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이 불상들은 모두 승려조각가인 승호(勝浩)의 주도 하에 총 18명이 참여하여 1681년에 만들었다.  
+
성주사 석조 지장 시왕상은 정확한 조성 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불단 가운데에는 지장보살이 앉아 있고, 양옆에는 사람들의 악한 마음을 없애준다는 귀신 왕인 무독귀왕과 사후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젊은 스님 모습의 도명존자가 서 있다. 불단 양옆에는 시왕, 판관, 귀왕, 사자가 배치되어 있고, 양쪽 끝에는 불교의 수호신인 인왕이 서 있다.
+
----
 
+
*지장보살: 저승 세계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
2006년 중수 개금 과정에서 전적류와 발원문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때 수습된 전적류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1호와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
*시왕(十王):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자문의견====
+
===영문===
#분야별 자문위원 1
 
#*지장전에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들로 이루어진 총 31구의 불상이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 지장전에 봉안된 총 31구의 불상으로 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사후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젊은 스님 모습 의 도명존자가 서 있다.
 
#*2006년 중수 개금 과정에서 전적류와 발원문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때
 
수습된 전적류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1호와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분야별 자문위원 2
 
#*엄중한 재판을 하는 명부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단정하고 질서있는 모습으로 상들을 만들었으며, 그러한 가운데 온정을 베푸는 인간미가 느껴지는 지장과 시왕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있다.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승호는 석조를 이용하여 17세기후반 경상도 일대 다수의 사찰에 불상조성을 담당하였던 승려 장인으로, 그가 조성한 불상은 청도 덕사, 기장 장안사, 청송 대전사 등에 남아있다.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은 1681년이란 정확한 조성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작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2차 수정====
+
===영문 해설 내용===
 
지장전에 봉안된 총 31구의 불상으로 지장보살 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지장전에 봉안된 총 31구의 불상으로 지장보살 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57번째 줄: 47번째 줄:
  
 
정확한 조성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작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정확한 조성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작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참고자료'''==
74번째 줄: 57번째 줄: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불상]]
 
[[분류:불상]]
 +
[[분류:2020 영문집필]]

2020년 7월 23일 (목) 01:16 판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
한자 昌原 聖住寺 石造地藏十王像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1호
지정(등록)일 2010년 3월 1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1구
웹사이트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석조 지장 시왕상은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 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된 31구의 불상이다. 이 불상들은 숙종 7년(1681) 승려 조각가인 승호(勝浩)의 주도 하에 총 18명이 참여하여 경주에서 나오는 불석(佛石)으로 만들었다.

불단 가운데에는 지장보살이 앉아 있고, 양옆에는 사람들의 악한 마음을 없애준다는 귀신 왕인 무독귀왕과 사후 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도명존자가 젊은 스님 모습으로 서 있다. 불단 양옆에는 시왕**, 판관, 귀왕, 사자가 배치되어 있고, 양쪽 끝에는 불교의 수호신인 인왕이 서 있다.

2006년 지장전을 고쳐 지으며 불상에 새롭게 금박을 입히던 중 전적류와 발원문 등의 복장 유물을 발견하였다. 이때 수습된 전적류는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501호와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성주사 석조 지장 시왕상은 정확한 조성 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 지장보살: 저승 세계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
  • 시왕(十王):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지장전에 봉안된 총 31구의 불상으로 지장보살 삼존상과 권속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저승세계인 명부(冥府)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이 불상들은 모두 경주에서 나오는 불석(佛石)으로 조성되었으며, 승려조각가인 승호(勝浩)의 주도 하에 총 18명이 참여하여 1681년에 만들었다.

불단 가운데에는 지장보살이 앉아 있고, 양옆에는 사람들의 악한 마음을 없애준다는 귀신 왕인 무독귀왕과 사후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젊은 스님 모습의 도명존자가 서 있다. 불단 양옆에는 시왕, 판관, 귀왕, 사자가 배치되어 있고, 양쪽 끝에는 불교의 수호신인 인왕이 서 있다.

2006년 중수 개금 과정에서 전적류와 발원문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때 수습된 전적류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1호와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정확한 조성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 장인인 승호의 작풍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