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복리 삼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장복리삼층석탑.jpg
 
|사진=장복리삼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1760000 장복리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1760000 장복리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장복리 삼층석탑
 
|대표명칭=장복리 삼층석탑
|영문명칭=
+
|영문명칭=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bok-ri
 
|한자=長福里 三層石塔
 
|한자=長福里 三層石塔
 
|주소=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 24
 
|주소=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 24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장복리 마을의 북쪽 하천 옆에 있는 산의 경사지 아래에 위치하는데, 원래 건너편 둑 위에 있었던 것을 주민들이 옮겨 놓았다고 한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약간 다듬은 2매의 넓은 지대석 위에 놓여 있는데, 1매의 하대갑석(下臺甲石)을 올려 놓고 하대중석(下臺中石)은 4매의 면석(面石) 중 2매만이 남아있다. 상대갑석(上臺甲石)은 부연(浮椽)이 표현되어 있고, 각 층의 탑신에는 우주(隅柱)가 새겨져 있다. 탑신의 지붕돌은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고, 지붕돌 받침은 3단으로 되어 있다. 탑이 원래의 자리에서 옮겨지면서 탑의 원형이나 규모를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3단의 층급 받침과 지붕돌의 형태로 보아 고려시개에 조성된 탑으로 보여진다.
+
장복리 삼층석탑은 불탑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로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수정 국문===
+
장복리 삼층석탑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초고====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장복리의 석탑은 현재 바닥돌과 단층 기단의 부재 2매, 몸돌 3개, 지붕돌 2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래 3층 석탑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탑은 원래 3층으로 만들어졌는데, 자연석을 다듬어 만든 바닥돌, 기단 일부, 2층의 몸돌과 지붕돌만 원래의 부재로 보인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있던 것을 2015년에 주변을 정비하고 지금의 상태로 보수하였다. 기단의 면과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이 있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기단 부재 2매와 2층까지의 몸돌 및 지붕돌만 훼손이 심한 상태로 남아 있었던 것을 2010년 이후 주변을 정비하고 지금의 모습이 되도록 보수했다.
+
===영문===
 +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bok-ri'''
  
기단의 면과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에 3단의 받침이 확인된다.
+
A pagoda is a symbolic monument enshrining the relics or remains of the Buddha. Although not all pagodas contain the true remains, they are nonetheless worshiped as sacred places that enshrine the Buddha.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is said that the pagoda was originall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mbankment but was moved by the locals to its current location at an unknown time.
  
지붕돌이 두툼하고 3단의 받침을 두고 있는 등 탑의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
The pagoda was originally a three-story pagoda, but only its platform, made of roughly hewn stone, part of the base, and two sets of body and roof stones remain. The pagoda had been partially buried by the hillside and was severely damaged, so in 2015, it was moved a few meters to the right of its original location and repaired. The sides of the base are carved to look like pillars, as are the corners of the body stones. The underside of the second-story roof stone is carved into three tiers.
  
*탑 보수 시점 확인 필요 – 블로그 사진을 보면, 2010년 12월 경 주변 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탑의 부재를 교체한 시점은 확인되지 않음 ; 예산군 2015 주요 업무 추진계획서 중 장복리 삼층석탑 보수를 위한 예산 책정 내역 확인되므로 2015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보수된 것으로 추정.
+
===영문 해설 내용===
*기단은 2매의 부재만 있는 상태 그대로 두고, 땅에 묻혀 있었던 쪽의 바닥돌(지대석)과 2층, 3층 몸돌은 새 부재로 바꾸었다.
+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1차 수정====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원래는 3층으로 만들어졌던 석탑이지만, 지금은 바닥돌, 단층 기단 일부, 2층의 몸돌과 지붕돌만 남아 있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있던 것을 2010년 이후 주변을 정비하고 지금의 모습이 되도록 보수했다. 기단의 면과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이 있다.  
+
이 탑은 원래 3층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며, 자연석을 다듬어 만든 바닥돌, 기단 일부, 2층의 몸돌과 지붕돌만 원래의 부재로 보인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있던 것을 2015년 몇 미터 떨어진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보수하였다. 기단과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이 있다.
 
 
=='''문맥요소'''==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장복리_삼층석탑||Object||장복리_삼층석탑||
 
|-
 
|L34-0176-0000||Heritage||(충청남도_문화재자료_제176호)_장복리_삼층석탑||
 
|}
 
 
 
===Link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
 
|장복리_삼층석탑||L34-0176-0000||isDesignatedAs
 
|}
 
  
 
=='''참고자료'''==
 
=='''참고자료'''==
81번째 줄: 59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11월 21일 (일) 20:36 기준 최신판

장복리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bok-ri
장복리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장복리 삼층석탑
영문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bok-ri
한자 長福里 三層石塔
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 24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장복리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장복리 삼층석탑은 불탑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로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탑은 원래 3층으로 만들어졌는데, 자연석을 다듬어 만든 바닥돌, 기단 일부, 2층의 몸돌과 지붕돌만 원래의 부재로 보인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있던 것을 2015년에 주변을 정비하고 지금의 상태로 보수하였다. 기단의 면과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이 있다.

영문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bok-ri

A pagoda is a symbolic monument enshrining the relics or remains of the Buddha. Although not all pagodas contain the true remains, they are nonetheless worshiped as sacred places that enshrine the Buddha.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is said that the pagoda was originall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mbankment but was moved by the locals to its current location at an unknown time.

The pagoda was originally a three-story pagoda, but only its platform, made of roughly hewn stone, part of the base, and two sets of body and roof stones remain. The pagoda had been partially buried by the hillside and was severely damaged, so in 2015, it was moved a few meters to the right of its original location and repaired. The sides of the base are carved to look like pillars, as are the corners of the body stones. The underside of the second-story roof stone is carved into three tiers.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하는데, 언제 옮겼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탑은 원래 3층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며, 자연석을 다듬어 만든 바닥돌, 기단 일부, 2층의 몸돌과 지붕돌만 원래의 부재로 보인다. 탑의 뒷부분이 땅에 묻힌 채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있던 것을 2015년 몇 미터 떨어진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보수하였다. 기단과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2층 지붕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이 있다.

참고자료

  • 장복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1760000
  • 장복리 삼층석탑, 디지털예산문화대전 http://yesan.grandculture.net/yesan/toc/GC06600493 → 예산군 대술면 소재지에서 예산~아산간 지방도632호선을 따라 북동쪽으로 6㎞ 정도 가면 북쪽에 장복리가 있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장복리 북쪽 하천 옆에 있는 산의 동쪽 경사면 하단에 있다. 원래는 건너편 제방 위에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현재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장복리 삼층석탑의 높이는 190㎝이고,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탑은 현재 2층까지만 남아 있는 상태로, 3층과 상륜부는 멸실되었으며 남아 있는 부분도 훼손이 심하다. 2층 옥개석(屋蓋石)[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위는 시멘트로 만들어 올려놓았다. 기단부는 반석 2개로 지댓돌을 삼고 위에 하대갑석, 상대중석, 상대갑석을 차례대로 세웠다. 상대갑석에는 부연(附椽)이 표현되어 있고, 탑신에는 우주(隅柱)를 조각해 놓았다. 옥개석에는 3단의 밑면받침을 두었으며, 네 귀퉁이가 살짝 위로 들려 있다. 장복리 삼층석탑은 대부분의 탑재석이 결실되고 원래 자리로 옮겨지면서 탑의 원형이나 규모를 확인하기는 불가능하다.
  • 예산 장복리 삼층석탑, 塔 구경꾼, 다음 블로그, 2016.8.27. https://blog.daum.net/bungjoa/554 → 안내판 사진 / 탑 부재 교체 , 지대석까지 확인되도록 정비되어 있는 상태
  • [충남예산] 장복리삼층석탑, 캔사이다의 사진속 여행일기 https://cansa2da.tistory.com/166 → 2010년 11월 사진 ; 탑 뒤편이 땅에 묻힌 채 기울어져 있으며, 2,3층 몸돌 모서리 기둥 확인 안 됨 / 2011년 2월 사진 ; 부재는 교체되지 않았고 지대석 그대로 묻혀 있지만, 제대로 세워져 있고 주변이 정비되어 있음
  • <참고> 장복리 장복실마을 부처당이제, 디지털예산문화대전 http://yesan.grandculture.net/yesan/toc/GC06601334 → 탑 뒤에 있는 건물에 관한 정보 / 돌부처를 모셔 놓은 부처당으로, 2005년 무렵까지도 마을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마을의 안녕을 비는 제사를 지냈다. 현재의 부처당은 1980년대에 전면적으로 보수한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