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규대사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영규대사묘.jpg
 
|사진=영규대사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150000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150000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영규대사 묘
 
|대표명칭=영규대사 묘
|영문명칭=
+
|영문명칭=Tomb of Monk Yeonggyu
 
|한자=靈圭大師 墓
 
|한자=靈圭大師 墓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산5번지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산5번지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무덤은 임진왜란 때 최초로 승병(僧兵)을 일으킨 영규대사(?~1592)의 묘소이다. 대사는 이 마을에서 태어나 계룡산 갑사에 들어가 출가한 후 서산새사 휴정(西山大師 休靜)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려들을 모아 승병장이 되어,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청주성(淸州城)을 탈환하였다. 이후 왜군의 전라도 침공을 저지하기 위한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가 큰 부상을 입고 공주 갑사로 돌아오다가 월암리에서 숨을 거두었다. 묘소는 갑사 승려들이 조성하였으며, 묘 앞에는 순조 10년(1810) 영규의 방계 후손들이 세운 묘비가 있다.
+
영규대사묘는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묘이다.  
  
===수정 국문===
+
영규대사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의 문하에서 불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최초로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초고====
 
이 무덤은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僧兵將)인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묘소이다.  
 
  
대사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 출가한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 1520-1604)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다. 그는 또한 계룡산 갑사 청련암(靑蓮庵)과 금산 보석사(寶石寺)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그러던 중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 1천명을 모집하여 의병장 조헌(趙憲, 1544-1592)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
당시 의주까지 피란을 갔던 선조는 승전 소식을 듣고 그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 전에 금산전투에서 700여 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 부근에서 숨을 거두었다. 대체로 승려들은 임종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그는 임진왜란 당시 최초로 거병한 승병장으로서 그의 거병과 승전보는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나는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는 승전소식을 듣고 그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금산 전투에서 의병장 조헌 등 700여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소부근에서 와서 숨을 거두었다. 대체로 승려들은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
1810년(순조 10)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朴景震), 박경태(朴景兌)가 묘비를 세웠다. 봉분 앞 상석에는 영규대사의 호를 따서 ‘의병승장 기허당(義兵僧將 騎虛堂)’이라고 새겼다.
  
1810년(순조 10)에는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朴景震), 박경태(朴景兌)가 묘비를 세웠다. 묘비의 앞면에는 ‘의병 승장군 영규지묘(義兵 僧將軍 靈圭之墓)’라 적었고, 뒷면에는 ‘숭정후3경오 4월 대방손 박경진·경태형제(崇禎後三庚午四月代傍孫朴景震景兌兄弟)’라고 기록되어 있다. 봉분 앞 상석의 전면에는 ‘의병승장 기허당(義兵僧將騎虛堂)’이라고 새겨져 있다.
+
===영문===
 +
'''Tomb of Monk Yeonggyu'''
  
====1차 수정====
+
This is the tomb of the Buddhist monk Yeonggyu (?-1592), who served as an army command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묘소이다.  
 
  
대사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 1520~1604)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다. 또한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그러던 중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 1천 명을 모집하여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趙憲, 1544~1592)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
Born in Gongju, Yeonggyu was ordained as a monk at Gapsa Temple of Gyeryongsan Mountain. He studied the Buddhist canon under Monk Hyujeong (1520-1604) and practiced worship as well as martial arts at Gapsa Temple’s Cheongnyeonam Hermitage and Boseoksa Temple of Geumsan Mountain. With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Yeonggyu mobilized monks to fight the invaders under his command. In 1593, the joint forces of Monk Yeonggyu and the civilian army commander Jo Heon (1544-1592) gained the first victory for Korea in the Battle of Cheongju. Due to his military success, more monk armies began to form across the country.
  
그는 임진왜란 당시 최초의 승병장으로서 그의 승전보는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나는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는 승전소식을 듣고 그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금산전투에서 700여 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소 부근에서 숨을 거두었다. 대체로 승려들은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
King Seonjo (r. 1567-1608), who was taking refuge near the northern border of the country at the time, heard the news of Monk Yeonggyu’s military achievements and bestowed him with an official title and honorary robes. However, even before the royal gifts arrived, Yeonggyu had already been wounded and died after the Battle of Geumsan. Although Buddhist monks were usually cremated after death, Yeonggyu’s body was buried in a tomb near the place where he died.
  
순조 10년(1810)에는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朴景震), 박경태(朴景兌)가 묘비를 세웠다. 봉분 앞 상석의 전면에는 ‘의병승장 기허당(義兵僧將騎虛堂)’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기허당은 영규대사의 호이다.
+
In 1810, Bak Gyeong-jin and Bak Gyeong-tae, both descendants of Monk Yeonggyu’s family, erected a tombstone at his tomb.
 +
 
 +
===영문 해설 내용===
 +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1592)의 묘이다.
 +
 
 +
영규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휴정(1520-1604)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1544-1592)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임진왜란 최초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
 
 +
당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재위 1567-1608)는 승전 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금산전투에서 싸우다 부상을 당해 숨을 거두었다. 승려는 대체로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영규의 유해는 그가 숨을 거둔 곳 인근에 안장되었다.
 +
 
 +
1810년 대사의 후손인 박경진, 박경태가 묘비를 세웠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66번째 줄: 72번째 줄:
 
|-
 
|-
 
|금산_전투||Event||금산_전투||
 
|금산_전투||Event||금산_전투||
 +
|-
 +
|J34-0015-0000||Heritage||(충청남도_기념물_제15호)_영규대사_묘||
 
|}
 
|}
  
73번째 줄: 81번째 줄:
 
|-
 
|-
 
|영규대사_묘||영규대사||isTombOf
 
|영규대사_묘||영규대사||isTombOf
 +
|-
 +
|영규대사_묘||J34-0015-0000||isDesignatedAs
 
|-
 
|-
 
|임진왜란||영규대사||isRelatedTo
 
|임진왜란||영규대사||isRelatedTo
105번째 줄: 115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9월 22일 (수) 15:27 기준 최신판

영규대사 묘
Tomb of Monk Yeonggyu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규대사 묘
영문명칭 Tomb of Monk Yeonggyu
한자 靈圭大師 墓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산5번지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15호
지정일 1977년 1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281㎡
웹사이트 영규대사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영규대사묘는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대사(靈圭大師, ?~1592)의 묘이다.

영규대사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서산대사 휴정(西山大師 休靜)의 문하에서 불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최초로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왜군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당시 의주까지 피란을 갔던 선조는 승전 소식을 듣고 그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 전에 금산전투에서 700여 명의 의병과 함께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였고, 현재의 묘 부근에서 숨을 거두었다. 대체로 승려들은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계룡산 갑사의 승려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특별히 무덤을 만들었다.

1810년(순조 10) 대사의 방계 후손인 박경진(朴景震), 박경태(朴景兌)가 묘비를 세웠다. 봉분 앞 상석에는 영규대사의 호를 따서 ‘의병승장 기허당(義兵僧將 騎虛堂)’이라고 새겼다.

영문

Tomb of Monk Yeonggyu

This is the tomb of the Buddhist monk Yeonggyu (?-1592), who served as an army command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Born in Gongju, Yeonggyu was ordained as a monk at Gapsa Temple of Gyeryongsan Mountain. He studied the Buddhist canon under Monk Hyujeong (1520-1604) and practiced worship as well as martial arts at Gapsa Temple’s Cheongnyeonam Hermitage and Boseoksa Temple of Geumsan Mountain. With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Yeonggyu mobilized monks to fight the invaders under his command. In 1593, the joint forces of Monk Yeonggyu and the civilian army commander Jo Heon (1544-1592) gained the first victory for Korea in the Battle of Cheongju. Due to his military success, more monk armies began to form across the country.

King Seonjo (r. 1567-1608), who was taking refuge near the northern border of the country at the time, heard the news of Monk Yeonggyu’s military achievements and bestowed him with an official title and honorary robes. However, even before the royal gifts arrived, Yeonggyu had already been wounded and died after the Battle of Geumsan. Although Buddhist monks were usually cremated after death, Yeonggyu’s body was buried in a tomb near the place where he died.

In 1810, Bak Gyeong-jin and Bak Gyeong-tae, both descendants of Monk Yeonggyu’s family, erected a tombstone at his tomb.

영문 해설 내용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인 영규(?-1592)의 묘이다.

영규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한 후 휴정(1520-1604)의 문하에서 불법(佛法)을 공부하였고, 계룡산 갑사 청련암과 금산 보석사에서 수도하면서 무예를 익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승병장이 되었으며, 의병장 조헌(1544-1592)과 함께 청주성 전투에서 임진왜란 최초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의 승전보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승병이 일어났다.

당시 의주까지 피난을 갔던 선조(재위 1567-1608)는 승전 소식을 듣고 영규에게 벼슬과 옷을 하사하였다. 그런데 하사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영규는 금산전투에서 싸우다 부상을 당해 숨을 거두었다. 승려는 대체로 임종 후 화장을 하는데, 영규의 유해는 그가 숨을 거둔 곳 인근에 안장되었다.

1810년 대사의 후손인 박경진, 박경태가 묘비를 세웠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영규대사_묘 Place 영규대사_묘
영규대사 Actor 영규대사(靈圭大師_?-1592)
임진왜란 Event 임진왜란(1592)
서산대사 Actor 서산대사(西山大師_1520-1604)
조헌 Actor 조헌(趙憲_1544-1592)
청련암 Place 청련암(靑蓮庵)
보석사 Place 보석사(寶石寺)
청주성_전투 Event 청주성_전투
금산_전투 Event 금산_전투
J34-0015-0000 Heritage (충청남도_기념물_제15호)_영규대사_묘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영규대사_묘 영규대사 isTombOf
영규대사_묘 J34-0015-0000 isDesignatedAs
임진왜란 영규대사 isRelatedTo
영규대사 서산대사 wasOrdainedBy
영규대사 조헌 isRelatedTo
영규대사 청련암 isRelatedTo
영규대사 보석사 isRelatedTo
영규대사 청주성_전투 participatesIn
영규대사 금산_전투 participatesIn
조헌 청주성_전투 participatesIn
조헌 금산_전투 participatesI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