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벽송사 목장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벽송사목장승.jpg
 
|사진=벽송사목장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800020000 함양 벽송사 목장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800020000 함양 벽송사 목장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함양 벽송사 목장승
 
|대표명칭=함양 벽송사 목장승
|영문명칭=0
+
|영문명칭=Wooden Guardian Posts of Byeoksongsa Temple, Hamyang
|한자=
+
|한자=咸陽 碧松寺 木長丞
|주소=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벽송사입구
+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벽송사입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
 
|지정번호=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장승에는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다.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 성기(性器)숭배에서 나왔다거나 사찰 토지의 표지로 이용되었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 또 목장승은 솟대에서, 석장성은 선돌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장승이 지방에 따라 벅수, 벅시, 법수, 수살목, 당산할배 등으로도 불렀다. 장승은 소속과 위치에 따라 마을을 지키는 마을장승, 사찰의 입구나 사방 경계에 세워진 사찰장승, 지역 간의 경계, 성문, 병영, 해창(海倉), 관로(官路)등에 서 있는 공공장승 등이 있다.
+
장승은 나무나 돌에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겨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것으로, 마을의 수호신, 사찰이나 지역 간의 경계표, 이정표 등의 역할을 한다.
  
벽송사 입구에 세워진 이 장승은 사찰에 들어오는 악귀의 퇴치, 사찰경내에서 행해지는 불법 어로와 사냥의 금지, 풍수지리상의 비보(裨補) 역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세워진 것이다. 제작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댜략 일제 강점기 초기의 것이라고 전한다. 목장승은 노천에서 비바람을 맞으며 서있기 때문에 오래 가지 못한다. 이곳의 왼쪽에 있는 ‘금호장군(禁護將軍)’은 역시 커다란 왕방울 눈 하나만을 빼고는 원래의 모습을 상당 부분 잃어 버렸다. 그러나 ‘호법대신(護法大神)인 오른쪽 장승은 거의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서 있다.
+
벽송사 목장승은 원래 몸통이 절반 가량 땅 속에 묻힌 채 사찰 입구에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는 장승각 안에 보관 중이다. 왼쪽에 있는 ‘금호장군(禁護將軍:경내에 잡귀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군)’은 윗부분이 불에 타 원래의 모습이 상당 부분 소실되었고, 오른쪽은 ‘호법대신(護法大神:불법을 지키는 신)’이다.
  
머리와 큰 눈, 코, 일자형 입과 수염 등이 매우 인상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무서운 것 같으면서도 순박하고, 위풍당당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모습이라서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이 두 장승은 불교와 민간신앙이 어우러져 나타난 걸작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
제작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대략 일제 강점기 초기에 세웠다고 한다. 목장승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시대가 오래되었고 비록 눈, 코, 입이 과장되게 표현되긴 하였으나 순박한 인상을 주며, 무서운 듯하면서도 친근함을 느끼게 하는 수수한 조각 수법이 돋보인다.
  
===수정 국문===
+
===영문===
====초고====
+
'''Wooden Guardian Posts of Byeoksongsa Temple, Hamyang'''
  
 +
Guardian posts are usually made of wood or stone in human shapes and are erected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or along the street in a belief that they will spiritually protect the village. Sometimes they mark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areas.
  
====1차 수정====
+
This pair of wooden guardian posts is said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Originally, the posts were erected at the entrance of Byeoksongsa Temple with half of their bodies buried underground, but they have since been moved inside a protective pavilion within the temple premises.
  
 +
The left guardian post is a general who wards off evil spirits from entering the temple. The upper part was burnt, so its original appearance has been largely damaged. The right guardian post is a deity who protects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The two guardian posts have exaggerated features, with large round eyes, noses, and beards, and their expressions are naive, frightening, and humorous all at the same time.
 +
 +
===영문 해설 내용===
 +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 모양의 형상으로,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워졌다. 마을을 수호해준다고 여겨졌으며, 때로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
이 한 쌍의 목장승은 20세기 초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원래 몸통이 절반 가량 땅속에 묻힌 채 사찰 입구에 세워져 있었으나, 지금은 벽송사 경내로 이전하여 보호각 안에 보관하고 있다.
 +
 +
왼쪽 장승은 사찰 내에 잡귀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군이다. 윗부분이 불에 타 원래의 모습이 크게 훼손되었다. 오른쪽 장승은 불법을 지키는 신이다. 두 장승 모두 크고 둥근 눈, 코, 수염 등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지만, 순박한 인상을 주고 있으며, 무서운 듯하면서도 친근함을 느낄 수 있는 익살스러운 모습이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44번째 줄: 52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 ‘장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619
 +
* ‘함양 벽송사 목장승’, 디지털함양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hamyang.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439
 +
* ‘함양 벽송사 목장승’,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800020000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 문화유산]]
+
[[분류:함양군 문화유산]]
[[분류:]]
+
[[분류:시도민속문화재]]
[[분류:]]
+
[[분류:장승]]
[[분류:]]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7월 12일 (월) 17:19 기준 최신판

함양 벽송사 목장승
Wooden Guardian Posts of Byeoksongsa Temple, Hamyang
함양 벽송사 목장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양 벽송사 목장승
영문명칭 Wooden Guardian Posts of Byeoksongsa Temple, Hamyang
한자 咸陽 碧松寺 木長丞
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벽송사입구
지정번호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
지정일 1974년 12월 24일
분류 유물/기타종교조각/민간신앙조각/목조
수량/면적 2기
웹사이트 함양 벽송사 목장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장승은 나무나 돌에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겨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것으로, 마을의 수호신, 사찰이나 지역 간의 경계표, 이정표 등의 역할을 한다.

벽송사 목장승은 원래 몸통이 절반 가량 땅 속에 묻힌 채 사찰 입구에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는 장승각 안에 보관 중이다. 왼쪽에 있는 ‘금호장군(禁護將軍:경내에 잡귀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군)’은 윗부분이 불에 타 원래의 모습이 상당 부분 소실되었고, 오른쪽은 ‘호법대신(護法大神:불법을 지키는 신)’이다.

제작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대략 일제 강점기 초기에 세웠다고 한다. 목장승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시대가 오래되었고 비록 눈, 코, 입이 과장되게 표현되긴 하였으나 순박한 인상을 주며, 무서운 듯하면서도 친근함을 느끼게 하는 수수한 조각 수법이 돋보인다.

영문

Wooden Guardian Posts of Byeoksongsa Temple, Hamyang

Guardian posts are usually made of wood or stone in human shapes and are erected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or along the street in a belief that they will spiritually protect the village. Sometimes they mark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areas.

This pair of wooden guardian posts is said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Originally, the posts were erected at the entrance of Byeoksongsa Temple with half of their bodies buried underground, but they have since been moved inside a protective pavilion within the temple premises.

The left guardian post is a general who wards off evil spirits from entering the temple. The upper part was burnt, so its original appearance has been largely damaged. The right guardian post is a deity who protects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The two guardian posts have exaggerated features, with large round eyes, noses, and beards, and their expressions are naive, frightening, and humorous all at the same time.

영문 해설 내용

장승은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 모양의 형상으로,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워졌다. 마을을 수호해준다고 여겨졌으며, 때로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 한 쌍의 목장승은 20세기 초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원래 몸통이 절반 가량 땅속에 묻힌 채 사찰 입구에 세워져 있었으나, 지금은 벽송사 경내로 이전하여 보호각 안에 보관하고 있다.

왼쪽 장승은 사찰 내에 잡귀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군이다. 윗부분이 불에 타 원래의 모습이 크게 훼손되었다. 오른쪽 장승은 불법을 지키는 신이다. 두 장승 모두 크고 둥근 눈, 코, 수염 등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지만, 순박한 인상을 주고 있으며, 무서운 듯하면서도 친근함을 느낄 수 있는 익살스러운 모습이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