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쌍충 사적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쌍충사적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030000 진주 쌍충 사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쌍충사적비.jpg
 
|사진=진주쌍충사적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030000 진주 쌍충 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030000 진주 쌍충 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진주 쌍충 사적비
 
|대표명칭=진주 쌍충 사적비
|영문명칭=
+
|영문명칭=Stele of Je Mal and Je Hong-rok, Jinju
 
|한자=晋州 雙忠 事蹟碑
 
|한자=晋州 雙忠 事蹟碑
|주소=경남 진주시 본성동 500-1번지
+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500-1번지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지정번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32번째 줄: 31번째 줄:
  
 
===영문===
 
===영문===
 +
'''Stele of Je Mal and Je Hong-rok, Jinju'''
  
 +
This stele was erected in 1792 to commemorate Je Mal (1552-1593), an influential civilian army lead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his nephew Je Hong-rok (1558-1597).
  
===영문 해설 내용===
+
Je Mal made distinguished contributions in the defeat of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including at Gimhae, Uiryeong, Jinhae. He was thus appointed as local magistrate of Seongju, but he was killed in the battle of Seongjuseong Fortress. Je Hong-rok followed his uncle and participated in the civilian army, and later died in battle in 1597.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한 제말'''(1552-1593)'''과 그의 조카 제홍록(1558-1597)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
 
 +
Je Mal and Je Hong-rok were posthumously bestowed with the positions of minister and vice minister of military affairs, respectively, by King Jeongjo (r. 1776-1800), and steles commemorating them were erected in Jinju and Sangju by royal order. The steles are known as the “Steles Honoring the History of the Loyal Pair,” referring to uncle and nephew. The other stele in Seongju was designated as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61.
  
제말은 전쟁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경상남도 일대의 왜적을 물리치는 전공을 세웠으며, 성주성 전투에서 사망했다. 제홍록은 숙부를 따라 의병으로 활약했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전사했다.  
+
The stele is composed of a tortoise-shaped pedestal, body stone, and a capstone engraved with two dragons and chrysanthemum designs. Originally, this stele was enshrined in a commemorative pavilion in Jinjuseong Fortress, but after the pavilion was demolished by author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stele was left unattended. In 1961, a new commemorative pavilion was built at the current location to enshrine the stele.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몸돌을 올리고, 용과 국화로 장식한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왕명에 의해 1792년 비각과 함께 처음 세워졌다.  
+
===영문 해설 내용===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한 제말(1552-1593)과 그의 조카 제홍록(1558-1597)을 기리기 위해 1792년에 세워진 비석이다.
  
비문은 당시 이조판서였던 서유린(1738~1802)이 지었으며, 글씨는 이병모(1742-1806)가 썼고, 조윤형(1725-1799)이 두전을 썼다. 비석의 이름은 한 집안에서 두 명의 충신이 나왔다는 뜻에서 ‘쌍충’이라고 하였다.
+
제말은 김해, 의령, 진해 등 경상남도 일대의 왜적을 물리치는 공을 세워 성주목사에 임명되었고, 그 뒤 성주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제홍록은 숙부를 따라 의병으로 활약했으며 1597년에 전사했다.
  
진주성 안에 세워져 있었던 이 비석은 일제강점기 때 비각이 헐리면서 길가에 방치되어 있었는데, 1961년 지금의 위치에 비각을 짓고 비석을 옮겨왔다.
+
1792년 정조(재위 1776-1800)가 제말과 제홍록을 각각 병조판서와 병조참판에 추증하였으며, 왕명에 의해 진주와 성주에 비석이 세워졌다. 비석의 이름은 한 집안에서 두 명의 충신이 나왔다는 뜻에서 ‘쌍충’이라고 하였다. 성주에 남아있는 비석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말 생몰년 관련 - 현재 민백 기준이나 생년 미상인 경우도 있고(?-1592), 생년이 10년 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있어(1567-1593) 확인 필요함.
+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돌, 몸돌, 두 마리의 용과 국화 문양을 새긴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진주성 내 비각에 모셔져 있던 이 비석은 일제강점기 비각이 헐린 뒤 방치되었다가, 1961년 지금의 위치에 비각을 짓고 비석을 옮겨왔다.
* 비문에는 제씨의 풍모(風貌)와 집안 내력, 공적(功績)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그 들의 공을 칭송한 남구만(南九萬) 등의 말도 수록하고 있다.
 
*제말은 의병으로 공을 인정받아 성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전사했다. 제홍록은 이순신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정유재란 왜군에게 포위된 진주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정하던 길에 적을 만나 전사했다.
 
*쌍충사적비는 성주에도 있는데(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 정조가 1792년에 진주와 성주에 ‘쌍충각’이라는 비각과 함께 세우게 한 것이다. (국가문화유산포털 2 참조)
 
  
=='''참고 자료'''==
+
=='''참고자료'''==
 
*진주의 옛 건축, 고영훈 지음, 알마 출판사, 2014년. -> 비각 특징 설명 ; 비각은 정면에서 비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세 면은 돌을 쌓아 벽을 세웠다. 작은 규모이지만 부연을 두어 겹처마로 구성했다.
 
*진주의 옛 건축, 고영훈 지음, 알마 출판사, 2014년. -> 비각 특징 설명 ; 비각은 정면에서 비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세 면은 돌을 쌓아 벽을 세웠다. 작은 규모이지만 부연을 두어 겹처마로 구성했다.
 
*진주쌍충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800030000
 
*진주쌍충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800030000
 
*쌍충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2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700610000 -> 경북 성주 내 쌍충사적비  
 
*쌍충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2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700610000 -> 경북 성주 내 쌍충사적비  
 +
**쌍충사적비는 성주에도 있는데(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 정조가 1792년에 진주와 성주에 ‘쌍충각’이라는 비각과 함께 세우게 한 것이다. (국가문화유산포털 2 참조)
 
*쌍충사적비,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search/GC00401454?keyword=%EC%8C%8D%EC%B6%A9%EC%82%AC%EC%A0%81%EB%B9%84&page=1 -> 기본정보 / 제말 생년 미상 표기 ; 경상남도 고성 출신의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큰 공을 세워 성주목사에 임명되었다.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는데,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대되었다.
 
*쌍충사적비,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jinju/search/GC00401454?keyword=%EC%8C%8D%EC%B6%A9%EC%82%AC%EC%A0%81%EB%B9%84&page=1 -> 기본정보 / 제말 생년 미상 표기 ; 경상남도 고성 출신의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큰 공을 세워 성주목사에 임명되었다.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는데,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대되었다.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제홍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A0%9C%ED%99%8D%EB%A1%9D&ridx=0&tot=703
+
*# 정조실록 35권, 정조 16년 7월 25일 임술 1번째기사 - 충무공 이순신과 충민공 임경업의 자손을 황단 망배례에 참례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va_11607025_001
#제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A0%9C%EB%A7%90&ridx=0&tot=2  
+
*#제홍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520
 +
*#제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A0%9C%EB%A7%90&ridx=0&tot=2  
 
*(참고) 쌍충사적비를 찾아가다, 경남일보, 2019.7.9.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028  
 
*(참고) 쌍충사적비를 찾아가다, 경남일보, 2019.7.9.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028  
  

2020년 12월 18일 (금) 05:35 기준 최신판

진주 쌍충 사적비
Stele of Je Mal and Je Hong-rok, Jinju
진주 쌍충 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쌍충 사적비
영문명칭 Stele of Je Mal and Je Hong-rok, Jinju
한자 晋州 雙忠 事蹟碑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500-1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지정일 1972년 2월 12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진주 쌍충 사적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쌍충사적비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제말(諸沫)과 그의 조카 제홍록(諸弘祿)의 공적을 함께 새긴 비석이다. 한 집안의 두 충신이라는 뜻에서 쌍충(雙忠)이라고 하였다.

제말은 의병을 일으켜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다. 성주 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왜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조카 제홍록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숙부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웅해, 정암진, 진양의 싸움에서 공을 세우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적과의 전투 중에 사망하였다.

정조 16년(1792)에 촉석루 옆에 비를 세우고 비각을 지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헐리어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61년에 다시 원래의 자리에 비석을 세우고 비각을 지었다.

서유린이 글을 짓고 이병모가 글씨를 썼으며 조윤형이 비문의 제목인 두전(頭篆)을 썼다.

영문

Stele of Je Mal and Je Hong-rok, Jinju

This stele was erected in 1792 to commemorate Je Mal (1552-1593), an influential civilian army lead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his nephew Je Hong-rok (1558-1597).

Je Mal made distinguished contributions in the defeat of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including at Gimhae, Uiryeong, Jinhae. He was thus appointed as local magistrate of Seongju, but he was killed in the battle of Seongjuseong Fortress. Je Hong-rok followed his uncle and participated in the civilian army, and later died in battle in 1597.

Je Mal and Je Hong-rok were posthumously bestowed with the positions of minister and vice minister of military affairs, respectively, by King Jeongjo (r. 1776-1800), and steles commemorating them were erected in Jinju and Sangju by royal order. The steles are known as the “Steles Honoring the History of the Loyal Pair,” referring to uncle and nephew. The other stele in Seongju was designated as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61.

The stele is composed of a tortoise-shaped pedestal, body stone, and a capstone engraved with two dragons and chrysanthemum designs. Originally, this stele was enshrined in a commemorative pavilion in Jinjuseong Fortress, but after the pavilion was demolished by author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stele was left unattended. In 1961, a new commemorative pavilion was built at the current location to enshrine the stele.

영문 해설 내용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한 제말(1552-1593)과 그의 조카 제홍록(1558-1597)을 기리기 위해 1792년에 세워진 비석이다.

제말은 김해, 의령, 진해 등 경상남도 일대의 왜적을 물리치는 공을 세워 성주목사에 임명되었고, 그 뒤 성주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제홍록은 숙부를 따라 의병으로 활약했으며 1597년에 전사했다.

1792년 정조(재위 1776-1800)가 제말과 제홍록을 각각 병조판서와 병조참판에 추증하였으며, 왕명에 의해 진주와 성주에 비석이 세워졌다. 비석의 이름은 한 집안에서 두 명의 충신이 나왔다는 뜻에서 ‘쌍충’이라고 하였다. 성주에 남아있는 비석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돌, 몸돌, 두 마리의 용과 국화 문양을 새긴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진주성 내 비각에 모셔져 있던 이 비석은 일제강점기 때 비각이 헐린 뒤 방치되었다가, 1961년 지금의 위치에 비각을 짓고 비석을 옮겨왔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