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흥국사 동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여수흥국사동종.jpg
 
|사진=여수흥국사동종.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1665년(현종 6년)에 순천 동리산 대흥사에서 김애립(한자)이 제작한 동종이다. 김애립은 조선 시대에 종을 만드는 주종장으로 선암사 종루종을 제작한 김성원, 용흥사 종을 제작한 김용암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장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동종이 만들어진 곳이 아닌 이곳에 보관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진 내용이 없다.
+
여수 흥국사 동종은 현종 6년(1665)에 김애립이 구리로 만든 종이다. 원래 순천 대흥사에 두려고 만든 것으로 흥국사에 옮겨 오게 된 이유나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승려 주종장이 아닌 개인 주종장인 김애립 범종의 특징을 잘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예술성이 뛰어나며 제작 시기가 분명하여 범종 및 전통 문양 연구에 가치가 높다.
+
동종은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하는 범종으로, 여수 흥국사 동종은 전체적으로 위가 좁고 아래가 벌어진 포탄과 같은 모습이다. 종의 꼭대기(용뉴, 龍鈕)에는 두 마리의 용 모양 고리가 달려 있으며, 소리를 울리는 음통이 없는 대신 종의 꼭대기 중앙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는 따로 없으며, 종의 몸체 부분에는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수정 국문===
+
여수 흥국사 동종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예술성이 뛰어나며 제작 시기가 분명하여 범종과 전통 문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고====
 
범종은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한다. 장엄하게 울리는 소리를 통해 종교적인 분위기를 극대화하며, 종소리를 듣는 자는 자신의 악업을 깊이 뉘우치고 마침내 깨달음을 얻도록 인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종소리가 울려 퍼지듯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친다는 뜻도 지니고 있다.  
 
  
이 종은 주종장 김애립이 1665년 순천 동리산 대흥사에 두기 위해 만들었다. 흥국사로 옮겨오게 된 시기나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
===영문===
 +
'''Bronze Be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종의 꼭대기에는 두 마리의 용을 새긴 고리가 있다. 소리를 울리는 음통 대신 위쪽으로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중심으로 연꽃잎 무늬를 새겼다. 천판과 몸통이 연결되는 자리에는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나타내는 주문 6글자를 둘러 새겼다.  
+
In Buddhist temples, large bronze bells are used to gather people for rituals and to announce the time.
  
몸통에는 4개의 유곽 안에 각각 9개의 유두를 배치하였으며,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는 없다. 유곽 사이에 조각된 보살상 중 1위의 보살상 옆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귀를 적은 원패를 마련하였다.
+
This bell was made in 1665 by the prominent bell-founder Kim Ae-rip. It was originally made for Daeheungsa Temple in Suncheon, but was moved to Heungdeuksa at some point, but it is unknown exactly when or why. Kim Ae-rip was a craftsman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He is said to have had such excellent abilities that he participated in projects that only government-affiliated technicians could participate in, such as artillery production.
  
화려한 무늬를 장식한 아래쪽에는 제작 시기와 봉안 장소 등을 알려주는 명문이 남아 있다.
+
The bell is narrow at the top and wide at the bottom. The cannon at the top of the bell, by which it is hung, is decorated with twin dragon heads. Instead of a sound tube, there is a hole in the center of the bell’s cannon, around which lotus petal designs are engraved. The bell features no striking panels. On the body of the bell, there is a quote with a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kingdom and the royal family.
  
김애립은 17세기 후반 활동했던 사장(私匠)으로, 국가에 소속된 기술자들만 참여 가능한 대포 제작에도 참여했을 정도로 뛰어난 역량을 지녔었다고 한다.  
+
===영문 해설 내용===
 +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동종은 흥국사 경내에 위치한 의승수군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
+
흥국사의 동종은 주종장 김애립이 1665년에 만들었다. 원래 순천 대흥사에 두려고 만들었으며, 흥국사로 옮겨 오게 된 이유나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김애립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장인으로, 국가에 소속된 기술자들만 참여할 수 있는 대포 제작에도 참여했을 정도로 뛰어난 역량을 지녔었다고 한다.  
----
 
*사장 : 관부에 예속되지 않고 활동하는 기술자.
 
  
 +
종의 전체적인 외형은 위가 좁고 아래가 벌어진 모습이다. 꼭대기에는 두 마리 용이 서로 연결되어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소리를 울리는 음통이 없는 대신, 종의 꼭대기 중앙에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중심으로 연꽃잎 무늬를 새겼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가 따로 없으며, 종의 몸체 부분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귀를 넣었다.
  
**당좌에 대한 설명 따로 없고, 사진에서도 안 보이는 듯. - 확인 필요
+
=='''참고자료'''==
**천판에 연화문을 새긴 것이나, 4개의 유곽 사이에 보살입상을 새기는 것, 종 하단에 화려한 문양을 장식하는 것 등은 한국종의 일반적인 양식이지만, 음통이 생략되고 유곽 사이에 위패문이 있는 것 등은 중국종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외래양식이다. (논문 참고)
+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 <40>주종장 김애립 (불교신문, 2018.10.16. 기사)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555 →김애립 정보
**육자대명왕진언 :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나타내는 주문. 옴마니반메훔(산스크리트어) 6글자.
+
*여수 흥국사 동종 (종, 그 울림의 미학, 다음 블로그, 2010. 5.11.)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CNi0&articleno=18351949&categoryId=984402&regdt=20100511140237 → 여러 곳에 있는 관련 설명 모아둠
 
+
*여수 흥국사 소장 ‘순천 대흥사 동종’에 대한 고찰, 최인선, 문화사학 32호, 2009. →명문 전문 판독. 동종의 ‘한국적 특징’과 ‘외래 요소’ 설명.
 
+
*탁본(拓本)으로 보는 우리나라 범종(梵鐘) Ⅷ [조선시대] ③ (송풍수월, 네이버 블로그, 2013.9.27.) https://blog.naver.com/ohyh45/20196408098 → 원패 및 명문들 (탁본) 확인 가능
==참고 자료==
+
*여수 흥국사, 의승수군유물전시관 (andante_3741, 네이버 블로그, 2015.9.5.) https://blog.naver.com/imiae2000/220472693514 → 전시관 내 동종 사진 확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 <40>주종장 김애립 (불교신문, 2018.10.16. 기사)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555
 
→김애립 정보
 
*여수 흥국사 동종 (종, 그 울림의 미학, 다음 블로그, 2010. 5.11.)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CNi0&articleno=18351949&categoryId=984402&regdt=20100511140237
 
→ 여러 곳에 있는 관련 설명 모아둠
 
*여수 흥국사 소장 ‘순천 대흥사 동종’에 대한 고찰, 최인선, 문화사학 32호, 2009.
 
→명문 전문 판독. 동종의 ‘한국적 특징’과 ‘외래 요소’ 설명.
 
*탁본(拓本)으로 보는 우리나라 범종(梵鐘) Ⅷ [조선시대] ③ (송풍수월, 네이버 블로그, 2013.9.27.) https://blog.naver.com/ohyh45/20196408098
 
→ 원패 및 명문들 (탁본) 확인 가능
 
*여수 흥국사, 의승수군유물전시관 (andante_3741, 네이버 블로그, 2015.9.5.) https://blog.naver.com/imiae2000/220472693514
 
→ 전시관 내 동종 사진 확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여수시 문화유산]]
 
[[분류:여수시 문화유산]]
 +
[[분류:보물]]
 
[[분류:여수 흥국사]]
 
[[분류:여수 흥국사]]
[[분류:보물]]
 
 
[[분류:범종]]
 
[[분류:범종]]
 +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불교문화유산]]

2022년 9월 1일 (목) 12:37 기준 최신판

여수 흥국사 동종
Bronze Be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여수 흥국사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동종
영문명칭 Bronze Be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한자 麗水 興國寺 銅鍾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보물 제1556호
지정일 2008년 3월 12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여수 흥국사 동종은 현종 6년(1665)에 김애립이 구리로 만든 종이다. 원래 순천 대흥사에 두려고 만든 것으로 흥국사에 옮겨 오게 된 이유나 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동종은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하는 범종으로, 여수 흥국사 동종은 전체적으로 위가 좁고 아래가 벌어진 포탄과 같은 모습이다. 종의 꼭대기(용뉴, 龍鈕)에는 두 마리의 용 모양 고리가 달려 있으며, 소리를 울리는 음통이 없는 대신 종의 꼭대기 중앙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는 따로 없으며, 종의 몸체 부분에는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여수 흥국사 동종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예술성이 뛰어나며 제작 시기가 분명하여 범종과 전통 문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문

Bronze Be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 Buddhist temples, large bronze bells are used to gather people for rituals and to announce the time.

This bell was made in 1665 by the prominent bell-founder Kim Ae-rip. It was originally made for Daeheungsa Temple in Suncheon, but was moved to Heungdeuksa at some point, but it is unknown exactly when or why. Kim Ae-rip was a craftsman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He is said to have had such excellent abilities that he participated in projects that only government-affiliated technicians could participate in, such as artillery production.

The bell is narrow at the top and wide at the bottom. The cannon at the top of the bell, by which it is hung, is decorated with twin dragon heads. Instead of a sound tube, there is a hole in the center of the bell’s cannon, around which lotus petal designs are engraved. The bell features no striking panels. On the body of the bell, there is a quote with a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kingdom and the royal family.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흥국사의 동종은 주종장 김애립이 1665년에 만들었다. 원래 순천 대흥사에 두려고 만들었으며, 흥국사로 옮겨 오게 된 이유나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김애립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장인으로, 국가에 소속된 기술자들만 참여할 수 있는 대포 제작에도 참여했을 정도로 뛰어난 역량을 지녔었다고 한다.

종의 전체적인 외형은 위가 좁고 아래가 벌어진 모습이다. 꼭대기에는 두 마리 용이 서로 연결되어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소리를 울리는 음통이 없는 대신, 종의 꼭대기 중앙에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중심으로 연꽃잎 무늬를 새겼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가 따로 없으며, 종의 몸체 부분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귀를 넣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