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평사 금동여래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순평사금동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1650000 순평사 금동...)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순평사금동여래좌상.jpg
 
|사진=순평사금동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1650000 순평사 금동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1650000 순평사 금동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순평사금동여래좌상
 
|대표명칭=순평사금동여래좌상
|영문명칭=
+
|영문명칭=Gilt-bronze Seated Buddha of Sunpyeongsa Temple
 
|한자=淳平寺金銅如來坐像
 
|한자=淳平寺金銅如來坐像
 
|주소=전라북도
 
|주소=전라북도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불상은 원래 전북 남원의 어떤 사찰에 있었다가 현재는 순평사의 본존불로 모시고 있다. 조각기법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받침대나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는 머리 뒤의 장식인 광배(光背)는 남아 있지 않다. 작고 꼭 다문 입에서 매우 근엄한 인상이 풍기는 불상으로,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불상 아래 부분에서 발견된 함(函)에는, 불상을 조성할 때 넣은 유물들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았다. 지금은 1946년에 넣은 불경과 은제장신구 등이 들어 있다.  
+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래상이다.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수정 국문===
+
원래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다가 1945년 광복 이후 담양의 어느 개인이 소장하게 되었다. 이후 장성 백양사의 한 포교당에서 부서지기 직전의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3년에 불상을 보수하고 금칠을 다시 하였으며, 1995년 순평사에 대웅전을 지으면서 본존불로 모셨다. 현재의 손은 새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초고====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는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 담양군의 개인에게 옮겨 간 것을 장성군에 있는 백양사의 포교당에서 거의 완파 직전의 불상을 수습하였다. 이후 1973년에 중수하여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하였고, 1995년 순평사에 대웅전을 지으면서 옮겨오게 된 것이다.
+
불상은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이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값비싼 금동불상이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높이가 1m 가량 되는 이러한 불상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로는 1946년에 넣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 석고 불상 2구, 은제 장신구, 발원문 등이 있다.  
  
불상의 받침대나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는 머리 뒤의 장식인 광배(光背)는 남아 있지 않다.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
===영문===
 +
'''Gilt-bronze Seated Buddha of Sunpyeongsa Temple'''
  
불상 아랫부분에서 유물을 넣어 두는 함이 발견되었는데, 불상을 처음 만들 때 넣은 유물은 모두 없어졌고, 지금은 1946년에 넣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 석고 불상 두 구, 은제 장신구, 발원문이 쓰인 깃발 모양의 번(幡), 1936년에 비단에 쓴 원문(願文) 및 보협 다라니, 복장 상자 등이 있다.
+
This statu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was originally enshrined in a temple in Namwon but came under the possession of an individual from Damyang sometime after 1945. It is said to have been later found on the verge of breaking at a dharma propagation center of Baegyangsa Temple in Jangseong. In 1973, the statue was repaired and regilded, and when Daeungjeon Hall of Sunpyeongsa Temple was built in 1995, it was enshrined there as the principal buddha. The hands of the current statue were newly made and attached.
  
 +
The overall posture of the statue is balanced and simple, and it is represented by an unusually long face and upper body, which is one of its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high material cost, few gilt-bronze Buddhist statues were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fore, gilt-bronze statues as tall as this one, which measures about 1 m in height, are very rare. Relics were found inside the statue, such as Volume 7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two plaster Buddhist statues, silver ornaments, and a written prayer.
  
====1차 수정====
+
===영문 해설 내용===
 
+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다가, 1945년 이후 담양의 어느 개인이 소장하게 되었다. 이후 장성 백양사의 한 포교당에서 부서지기 직전의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3년에 불상을 보수하고 금칠을 다시 하였으며, 1995년 순평사에 대웅전을 지으면서 본존불로 모셨다. 현재 불상의 손은 새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문맥요소'''==
 
===Nodes===
 
 
 
===Links===
 
 
 
  
 +
불상은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이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값비싼 금동불상이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높이가 1m 가량 되는 이러한 불상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유물로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 석고 불상 2구, 은제 장신구, 발원문 등이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송화섭·황금희·김형준, 󰡔순창의 불교문화󰡕, 순창 문화원, 2007.
+
*송화섭·황금희·김형준, 『순창의 불교문화』, 순창 문화원, 2007.
 
*순평사 금동여래좌상(淳平寺金銅如來坐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501650000#
 
*순평사 금동여래좌상(淳平寺金銅如來坐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501650000#
 
*순창 순평사 금동여래좌상(淳昌淳平寺金銅如來坐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8%9C%ED%8F%89%EC%82%AC%20%EA%B8%88%EB%8F%99%EC%97%AC%EB%9E%98%EC%A2%8C%EC%83%81&ridx=0&tot=5652
 
*순창 순평사 금동여래좌상(淳昌淳平寺金銅如來坐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8%9C%ED%8F%89%EC%82%AC%20%EA%B8%88%EB%8F%99%EC%97%AC%EB%9E%98%EC%A2%8C%EC%83%81&ridx=0&tot=5652
56번째 줄: 50번째 줄: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불상]]
 
[[분류:불상]]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순평사금동여래좌상
Gilt-bronze Seated Buddha of Sunpyeongsa Temple
순평사 금동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순평사금동여래좌상
영문명칭 Gilt-bronze Seated Buddha of Sunpyeongsa Temple
한자 淳平寺金銅如來坐像
주소 전라북도
국가유산 종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지정(등록)일 1998년 11월 2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軀
웹사이트 순평사 금동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래상이다.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원래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다가 1945년 광복 이후 담양의 어느 개인이 소장하게 되었다. 이후 장성 백양사의 한 포교당에서 부서지기 직전의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3년에 불상을 보수하고 금칠을 다시 하였으며, 1995년 순평사에 대웅전을 지으면서 본존불로 모셨다. 현재의 손은 새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이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값비싼 금동불상이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높이가 1m 가량 되는 이러한 불상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로는 1946년에 넣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 석고 불상 2구, 은제 장신구, 발원문 등이 있다.

영문

Gilt-bronze Seated Buddha of Sunpyeongsa Temple

This statu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was originally enshrined in a temple in Namwon but came under the possession of an individual from Damyang sometime after 1945. It is said to have been later found on the verge of breaking at a dharma propagation center of Baegyangsa Temple in Jangseong. In 1973, the statue was repaired and regilded, and when Daeungjeon Hall of Sunpyeongsa Temple was built in 1995, it was enshrined there as the principal buddha. The hands of the current statue were newly made and attached.

The overall posture of the statue is balanced and simple, and it is represented by an unusually long face and upper body, which is one of its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high material cost, few gilt-bronze Buddhist statues were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fore, gilt-bronze statues as tall as this one, which measures about 1 m in height, are very rare. Relics were found inside the statue, such as Volume 7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two plaster Buddhist statues, silver ornaments, and a written prayer.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남원의 한 사찰에 모셔져 있다가, 1945년 이후 담양의 어느 개인이 소장하게 되었다. 이후 장성 백양사의 한 포교당에서 부서지기 직전의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3년에 불상을 보수하고 금칠을 다시 하였으며, 1995년 순평사에 대웅전을 지으면서 본존불로 모셨다. 현재 불상의 손은 새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자세가 안정되어 있고 단정한 모습이며, 얼굴과 상체가 유난히 길게 표현된 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값비싼 금동불상이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높이가 1m 가량 되는 이러한 불상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유물로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 석고 불상 2구, 은제 장신구, 발원문 등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