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6호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6호분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위도= |...)
 
(영문 해설 내용)
40번째 줄: 40번째 줄: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분류: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분류:백제역사유적지구]]
 
[[분류:왕릉]]
 
[[분류:왕릉]]
 
[[분류:2023 영문집필]]
 
[[분류:2023 영문집필]]

2023년 8월 30일 (수) 19:47 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6호분
Goto.png 종합안내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해설문

국문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6호분은 1932년에 우연히 발견된 벽돌무덤*이다.

무덤방(널방)은 남북으로 길이가 3.7m, 동서로 너비가 2.24m이다. 무덤은 동전 무늬를 새긴 벽돌로 쌓았고, 터널 모양의 무덤방과 널길**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에는 등잔을 올려놓는 등감(燈龕)을 설치하였으며, 네 벽면에 회를 바르고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사신도(四神圖)를 그렸다. 목관을 올려놓았던 관 받침대가 하나인 것으로 보아 한 사람의 무덤으로 보인다.

무덤 입구를 막은 벽돌에서 양관와위사의(梁官瓦爲師矣)***라고 새긴 글자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덤에 사용된 벽돌이 중국 양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벽돌무덤: 구운 벽돌을 만든 무덤이라는 뜻으로 전축분(塼築墳)이라고도 함.
  • 널길: 입구에서 무덤방으로 이어지는 짧은 길
  • 양관와위사의(梁官瓦爲師矣)남조 양나라 관요의 벽돌을 본떠 만들었다는 내용.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