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송병선연재문집목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3120000 송병선 연재...)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목판은 저명한 유학자이자 애국자인 송병선(1836-1905, 호: 연재)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1906년에 후손과 제자들이 새겼다.
  
 +
송병선은 뛰어난 학문과 덕행으로 고종(재위 1863-1907)의 스승으로 임명되었으나, 관직에는 별 뜻이 없이 거절하고 오직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한 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서울로 올라가 왕에게 시정 개혁과 일본에 대한 경계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고향으로 강제 압송되었으며, 송병선은 그 울분을 참지 못해 독약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문집에는 왕도 정치의 근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내용과 유학을 부흥하여 시정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집은 성리학의 정통을 이은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3년 6월 8일 (목) 14:21 판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
한자 宋秉璿 淵齋文集 木板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하임실길 68 (연교리)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2호
지정(등록)일 1996년 3월 11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수량/면적 53권 24책
웹사이트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송병선 연재문집 목판은 연재 송병선(淵齋 宋秉璿)의 문집을 판각하기 위해 새긴 목판으로, 문집은 1906년에 후손과 제자들이 간행하였다.

송병선은 뛰어난 학문과 덕행으로 고종의 스승이 되었으나 관직에는 별 뜻이 없이 오직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1905년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서울로 올라가 시정 개혁과 일본에 대한 경계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고향으로 강제 압송되었다. 송병선은 그 울분을 참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해 문집 목판이 제작되었다.

문집에는 왕도 정치의 근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내용과 유학을 부흥하여 시정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집은 성리학의 정통을 이은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목판은 저명한 유학자이자 애국자인 송병선(1836-1905, 호: 연재)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1906년에 후손과 제자들이 새겼다.

송병선은 뛰어난 학문과 덕행으로 고종(재위 1863-1907)의 스승으로 임명되었으나, 관직에는 별 뜻이 없이 거절하고 오직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한 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서울로 올라가 왕에게 시정 개혁과 일본에 대한 경계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고향으로 강제 압송되었으며, 송병선은 그 울분을 참지 못해 독약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문집에는 왕도 정치의 근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내용과 유학을 부흥하여 시정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집은 성리학의 정통을 이은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