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강릉굴산사지당간지주.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200860000 강릉 굴산...)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을 말한다. 중요한 행사나 법회가 있을 때, 불화를 그린 깃발을 높이 매달아 널리 알리는 데 사용했다. 이러한 당간지주는 대개 사찰 입구에 세워지며 신성한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
이 당간지주는 851년 범일(810-889)이 창건한 굴산사에 세워졌다. 높이 5.4m로 한국에 현존하는 돌로 만든 당간지주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당간지주의 정상부 끝은 뾰족한 모양이고, 깃대를 고정했던 구멍이 상·하 두 군데에 뚫려있다. 4면은 아무런 조각이 없이 돌을 다듬을 때 생긴 거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소박하면서도 규모가 거대하여 웅장한 조형미를 보인다.
  
 +
=='''참고자료'''==
 +
* 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지 현황조사 보고서 下』, 문화재청, 2016.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9168&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2023년 6월 2일 (금) 09:22 판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Flagpole Supports at Gulsansa Temple Site, Gangneung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영문명칭 Flagpole Supports at Gulsansa Temple Site, Gangneung
한자 江陵 崛山寺址 幢竿支柱
주소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1181
지정번호 보물 제86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간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는 신라 문성왕(文聖王) 13년(851) 범일국사(梵日國師)가 개창한 신라하대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사굴산문(闍崛山門)의 중심 사찰인 굴산사에 세워진 불교 건축물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돌로 만든 당간지주 중 가장 규모가 크다.

고대 사찰에서는 법회 등의 중요 행사가 있을 때 불화를 그린 깃발을 높이 매달아 널리 알렸는데, 천·종이 등에 그린 불화를 ‘당(幢:깃발)’이라 하고, 당을 다는 긴 막대기를 ‘간(竿:깃대)’이라 한다.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개의 돌기둥이 ‘당간지주’이다. 대개 사찰 입구에 세워지며 신성한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당간지주의 정상부 끝은 뾰족한 모양이고, 깃대를 고정했던 구멍이 상·하 두 군데에 뚫려있다. 4면은 아무런 조각이 없이 돌을 다듬을 때 생긴 거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 소박하면서도 규모가 거대하여 웅장한 조형미를 보인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을 말한다. 중요한 행사나 법회가 있을 때, 불화를 그린 깃발을 높이 매달아 널리 알리는 데 사용했다. 이러한 당간지주는 대개 사찰 입구에 세워지며 신성한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당간지주는 851년 범일(810-889)이 창건한 굴산사에 세워졌다. 높이 5.4m로 한국에 현존하는 돌로 만든 당간지주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당간지주의 정상부 끝은 뾰족한 모양이고, 깃대를 고정했던 구멍이 상·하 두 군데에 뚫려있다. 4면은 아무런 조각이 없이 돌을 다듬을 때 생긴 거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소박하면서도 규모가 거대하여 웅장한 조형미를 보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