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호 해자(경주 월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대표명칭=1-1호 해자  
 
|대표명칭=1-1호 해자  
 
|한자=1-1號 垓子
 
|한자=1-1號 垓子
|영문명칭=
+
|영문명칭=Moat No. 1-1
 
|종합안내판=경주 월성
 
|종합안내판=경주 월성
 
|위도=
 
|위도=
25번째 줄: 25번째 줄:
 
'''Moat No. 1-1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Moat No. 1-1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Moat No. 1 is the westernmost and has the lowest elevation among the moats along the northern border of the Silla palace site. It was initially believed to be a single basin, but an excavation in 2019-2021 revealed that it actually consisted of two basins.
+
Moat No. 1 is the westernmost and has the lowest elevation among the moats to the north of Wolseong Palace. It was initially believed to be a single basin, but an excavation in 2019-2021 revealed that it actually consisted of two basins.
  
Moat No. 1-1 measures up to 80 m from east to west and up to 35 m from south to north. It is the only part of the later-stage stone moat system that had not been rebuilt. Excavated remains include the wooden wall of the early-stage earthen moat, boat-shaped and shield-shaped wooden objects,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wood slips with inscriptions, and clay figurines.
+
Moat No. 1-1 measures up to 80 m from east to west and up to 35 m from south to north. It is the only stone moat to not have been renovated. Excavated remains include the wooden wall of the early-stage earthen moat, boat-shaped and shield-shaped wooden objects,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wood slips with inscriptions, and clay figurines.
 
 
*But didn't they say in the main text that at the stage of 수혈 this whole moat was just sorta one long ditch. This would mean that there was no such thing as Moat No. 1 in the original moat. How could they split it into two then?
 
**그러네요~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해요.
 
*"1호 해자는 월성 북쪽의 해자 7기 중" --> 1-1, 1-2호는 7기 중에 1기이고, 1호는 사실 7기 중에 2기에 해당돼요~ 그래서 내용을 수정했어요. 1-2호도 동일하게 수정했어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1호 해자는 월성 북쪽의 해자 7기 중 가장 낮은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호 해자는 원래 하나의 석축 해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2021년 실시된 발굴 조사 결과, 수혈 해자에서 석축 해자로 바뀌면서 1-1호 석축 해자와 1-2호 석축 해자로 분리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1호 해자는 월성 북쪽의 해자 중 가장 낮은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호 해자는 원래 하나의 해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2021년 실시된 발굴 조사 결과, 2개의 해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1-1호 해자는 동서 최대 길이 80m, 남북 최대 폭 35m로, 현재 발견된 석축 해자 중 유일하게 고쳐 지어지지 않았다. 수혈 해자의 가장자리에 세웠던 판자벽을 비롯해, 배와 방패 모양의 목제품, 연화문 수막새, 목간, 토우 등 다양한 유물이 나왔다.  
 
  
 +
1-1호 해자는 동서 최대 길이 80m, 남북 최대 폭 35m로, 현재 발견된 석축 해자 중 유일하게 고쳐 지어지지 않았다. 수혈 해자의 가장자리에 세웠던 판자벽을 비롯해, 배와 방패 모양의 목제품, 연화문 수막새, 목간, 토우 등 다양한 유물이 나왔다.
  
  
45번째 줄: 40번째 줄:
 
[[분류:경주 월성]]
 
[[분류:경주 월성]]
 
[[분류:성곽]]
 
[[분류:성곽]]
 +
[[분류:해자]]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2022 영문집필]]

2023년 1월 18일 (수) 10:03 기준 최신판

1-1호 해자 1-1號 垓子
Moat No. 1-1
Goto.png 종합안내판: 경주 월성



해설문

국문

처음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1호 해자는 하나의 석축 해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2019~2021년 실시된 발굴 조사를 통해 수혈 해자**에서 석축 해자로 바뀔 때 1-1호 석축 해자와 1-2호 석축 해자로 분리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1-1호 해자는 월성 북쪽의 해자 7기 중 가장 낮은 서쪽에 위치하며, 최대 규모는 동서 길이가 80m, 남북 폭은 35m이다. 수혈 해자의 가장자리에 세웠던 판자벽을 비롯해, 배와 방패 모양의 목제품, 연화문 수막새, 목간, 토우 등 다양한 유물이 나왔다. 1-1호 해자는 석축 해자 중 유일하게 고쳐 지어지지 않았다.


  • 석축 해자: 돌을 쌓아 만든 해자
  • 수혈 해자: 땅을 파서 만든 해자
  • 목간: 글을 적은 나뭇조각.
  • 토우: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상. 종교적ㆍ주술적 대상물, 부장품, 완구 따위로 사용하였다.

영문

Moat No. 1-1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Moat No. 1 is the westernmost and has the lowest elevation among the moats to the north of Wolseong Palace. It was initially believed to be a single basin, but an excavation in 2019-2021 revealed that it actually consisted of two basins.

Moat No. 1-1 measures up to 80 m from east to west and up to 35 m from south to north. It is the only stone moat to not have been renovated. Excavated remains include the wooden wall of the early-stage earthen moat, boat-shaped and shield-shaped wooden objects,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wood slips with inscriptions, and clay figurines.

영문 해설 내용

1호 해자는 월성 북쪽의 해자 중 가장 낮은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호 해자는 원래 하나의 해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2021년 실시된 발굴 조사 결과, 2개의 해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1-1호 해자는 동서 최대 길이 80m, 남북 최대 폭 35m로, 현재 발견된 석축 해자 중 유일하게 고쳐 지어지지 않았다. 수혈 해자의 가장자리에 세웠던 판자벽을 비롯해, 배와 방패 모양의 목제품, 연화문 수막새, 목간, 토우 등 다양한 유물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