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묘련사목조보살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6650000 김해 묘...)
 
39번째 줄: 39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목조 보살상은 1711년 승려 조각가인 법종, 상우, 계민, 자실, 만재가 함께 만들었다.
  
 +
머리에 쓴 보관과 양손은 별도로 제작했는데, 보관은 없어지고 별도의 지물을 들고 있지 않아 보살의 명칭을 특정하기 어렵다. 상체가 길지만 하체가 넓어 안정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왼손은 가슴높이까지 들고 있다.
 +
 +
불상 안에서는 조성발원문, 법화경, 다수의 다라니 등 9건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
 +
조각승의 계보와 활동지역, 조성연대 등을 알 수 있는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갤러리'''==
 
=='''갤러리'''==

2022년 11월 30일 (수) 15:37 판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한자 金海 妙蓮寺 木造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5호
지정(등록)일 2020년 5월 2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1711년, 조선후기
수량/면적 불상 1구·복장 유물 9건
웹사이트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묘련사 목조보살좌상은 1711년(숙종 37)에 조선 후기 승려 법종(法宗)이 나무로 만든 보살상이다. 머리에 쓴 보관과 양손은 별도로 제작하였으나 보관은 결실되고 별도의 지물이 없어 보살의 명칭을 특정하기 어렵다. 상체가 길지만 하체가 넓어 안정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왼손은 팔꿈치까지 들어 올린 수인을 취하고 있다.

불상 안에서 조성발원문, 법화경, 다수의 다라니* 등 9건의 복장유물(腹藏遺物)**이 확인되었다. 발원문을 통해 1711년 법종, 상우, 계민, 자실, 만재가 같이 만들어 청원산에 있는 절에 봉안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각승의 계보와 활동지역, 조성연대와 봉안처 등을 알 수 있는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 다라니: 범문(산스크리트어)을 번역하지 않고 음 그대로 외는 불교 주문
  • 복장유물(腹藏遺物): 불상을 만들 때 몸 안에 넣는 금, 은, 서책 등의 유물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목조 보살상은 1711년 승려 조각가인 법종, 상우, 계민, 자실, 만재가 함께 만들었다.

머리에 쓴 보관과 양손은 별도로 제작했는데, 보관은 없어지고 별도의 지물을 들고 있지 않아 보살의 명칭을 특정하기 어렵다. 상체가 길지만 하체가 넓어 안정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왼손은 가슴높이까지 들고 있다.

불상 안에서는 조성발원문, 법화경, 다수의 다라니 등 9건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조각승의 계보와 활동지역, 조성연대 등을 알 수 있는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