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관음정사소조보살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5050000 김해...)
 
(영문 해설 내용)
43번째 줄: 43번째 줄:
 
[[분류:김해시 문화유산]]
 
[[분류:김해시 문화유산]]
 
[[분류:경상남도 문화재자료]]
 
[[분류:경상남도 문화재자료]]
 +
[[분류:김해 관음정사]]
 
[[분류:불상]]
 
[[분류:불상]]
 
[[분류:보살]]
 
[[분류:보살]]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불교문화유산]]
 
[[분류:불교문화유산]]

2022년 11월 29일 (화) 15:55 판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
한자 金海 觀音精舍 塑造菩薩坐像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05호
지정일 2010년 10월 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소조/불상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김해 관음정사 소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관음정사 소조보상좌상은 흙으로 빚어 금칠한 불상이다. 중심의 목심과 다리 를 십자형 판재로 연결하고 위에 흙을 붙여 제작한 소조상으로 특유의 부드러움이 드러난다. 허리부터 서서히 굽은 자세에 오른손과 왼손을 배 앞에 포개었다. 가늘게 뜬 눈, 넓은 콧방울, 웃고 있는 가늘고 작은 입술이 특징이다.

토제의 소형 보살상임에도 부드러움과 자연스러움이 잘 표현되어 있고 예배대상물로서의 조형미를 지니고 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흙으로 빚은 후 굽지 않고 만든 소조 기법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희소성이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