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차 수정)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남원양씨종중문서일괄.jpg
 
|사진=남원양씨종중문서일괄.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문서는 순창에 사는 남원 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것으로, 과거(科擧) 합격증인 홍패(紅牌)와 백패(白牌), 그리고 조선시대의 사령교지(使令敎旨)등 모두 7건이다. 붉은 색 한지를 사용한 홍패는 양이시(楊以時), 양수생(楊首生) 부자(父子)와 그들의 후손인 양홍(楊洪)이 각각 1355년과 1376년, 그리고 1540년에 과거에 급제하고 받은 것이다. 또 다른 백패는 소과(小科)에 합격한 양시성(楊時省)의 것이고, 사령교지는 1559년에 양홍이 청도군수로 임명될 때 받은 것이다. 이들 가운데 시험관의 관직과 이름이 적혀 있는 고려시대의 홍패는 과거제도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
고문서는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것으로 모두 7건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과거 합격증인 홍패(紅牌) 4건, 조선시대 성균관 입학시험에 해당하는 소과(小科) 합격증인 백패(白牌) 2건, 4품 이상 관리에게 주는 임명장인 교지(敎旨) 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 국문===
+
# 양이시(楊以時, ?∼1377)의 홍패(1355년, 고려 공민왕 4)
====초고====
+
# 양수생(楊首生, ?∼1379, 양이시의 아들)의 홍패(1376년, 고려 우왕 2)
이 문서들은 순창에 사는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것으로, 1355년(고려 공민왕 4)부터 조선시대인 1591년(선조 24)까지의 고문서이다.
+
#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의 백패(1508년, 조선 중종 3)
 +
# 양공준의 홍패(1520년, 조선 중종 15)
 +
# 양홍(楊洪, 1508∼1564, 양공준의 아들)의 홍패(1540년, 조선 중종 35)
 +
# 양홍이 청도군수에 임명되면서 받은 교지(1559년, 조선 명종 14)
 +
# 양시성(楊時省, 1556∼?)의 백패(1591년, 조선 선조 24)
  
이 7건의 고문서는 과거 합격문서인 홍패(紅牌) 4건, 백패(白牌) 2건, 그리고 4품 이상 관리의 임명 문서인 교지(敎旨) 1건이다.
+
고려시대의 합격증에는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시대 합격증에는 ‘교지(敎旨)’라고 기록되어 있어, 고려와 조선시대 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의 홍패에는 시험관의 관직과 이름이 적혀 있다. 이 문서들은 고려 말 조선 전기 과거제도 관련 문서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가장 오래된 문서부터 시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양이시(楊以時, ?~1377)가 1355년 문과에 급제한 뒤에 받은 홍패이다. 두 번째는 그의 아들인 양수생(楊首生, ?~1379)의 문과 급제 홍패이다. 그의 아내인 숙인 이씨(淑人李氏)가 시아버지와 남편을 한 해 사이로 모두 사별한 뒤 순창에 자리를 잡은 이후부터 남원양씨들이 순창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
===영문===
 +
'''Documents of the Namwon Yang Clan'''
  
세 번째는 조선시대인 1508년에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이 생원시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이고, 네 번째는 1520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받은 홍패이다. 고려시대에는 과거 시험에 있어서 소과와 대과의 구분 없이 모두 홍패를 지급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소과에 입격하면 백패, 대과에 급제하면 홍패를 지급하였다.
+
These seven documents have been passed down by the Namwon Yang clan for generations. They include four red certificates from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wo white certificates from the Joseon period, and a letter of appointment to government office. A white certificate was given to those who passed the lower state examination and a red certificate was given to those who passed the higher state examination.
  
다섯 번째는 양공준의 아들인 양홍(楊洪, 1508~1564)이 1540년 문과에 급제하고 받은 홍패이고, 여섯 번째는 1559년 청도 군수에 임명되면서 발급 받은 교지이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는 양시성(楊時省, 1556~?)이 1591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이다.
+
#Red certificate granted in 1355 to Yang I-si (?-1377)
 +
#Red certificate granted in 1376 to Yang Su-saeng (?-1379; son of Yang I-si)
 +
#White certificate granted in 1508 to Yang Gong-jun (1484-1525)
 +
#Red certificate granted in 1520 to Yang Gong-jun
 +
#Red certificate granted in 1540 to Yang Hong (1508-1564; son of Yang Gong-jun)
 +
#Letter of appointment as magistrate of Cheongdo granted in 1559 to Yang Hong
 +
#White certificate granted in 1591 to Yang Si-seong  (1556-?)
  
이들 문서는 고려 말~조선 전기의 과거 제도 및 관련 문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양이시·양수생 급제 홍패는 조선시대의 합격 증서에 “교지(敎旨)”라고 쓴 것과는 달리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고려, 조선시대 교지 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
These document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ertificates of examination issued in the two dynasties. The Goryeo-period certificates use the term "order of the king” (''wangmyeong''), while the Joseon-period ones use the term “royal edict” (''gyoji''). Also, on the Goryeo-period red certificates, the examiner’s name and official post are written.
  
====1차 수정====
+
===영문 해설 내용===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총 7건의 고문서이다. 과거 합격문서인 홍패(紅牌) 4건, 백패(白牌) 2건, 그리고 4품 이상 관리의 임명 문서인 교지(敎旨) 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총 7건의 고문서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과거 합격증인 홍패 4건, 조선시대 소과 합격증인 백패 2건, 관리에게 주는 임명장인 교지 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 양이시(楊以時, ?~1377)의 문과 급제 홍패 (고려, 1355년)
 
# 양이시의 아들 양수생(楊首生, ?~1379)의 문과 급제 홍패 (고려, 1376년)
 
#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의 생원시 합격 백패(조선, 1508년
 
# 양공준의 문과 급제 홍패(조선, 1520년)
 
# 양공준의 아들인 양홍(楊洪, 1508~1564)의 문과 급제 홍패(조선, 1540년)
 
# 양홍이 청도 군수에 임명되면서 받은 교지(조선, 1559년)
 
# 양시성(楊時省, 1556~?)의 생원시 합격 백패(조선, 1591년)
 
 
 
이들 문서는 고려 말~조선 전기의 과거 제도 및 관련 문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고려시대에는 과거 시험에 있어서 소과와 대과의 구분 없이 모두 홍패를 지급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소과에 합격하면 백패, 대과에 급제하면 홍패를 지급하였다. 특히 양이시와 양수생이 받은 고려시대의 홍패에는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다른 조선시대 합격 증서에는 “교지(敎旨)”쓰여 있어 고려와 조선시대 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
# 양이시(楊以時, ?~1377)의 홍패(1355년, 고려)
 +
# 양수생(楊首生, ?~1379, 양이시의 아들)의 홍패(1376년, 고려)
 +
#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의 백패(1508년, 조선)
 +
# 양공준의 홍패(1520년, 조선)
 +
# 양홍(楊洪, 1508~1564, 양공준의 아들)의 홍패(1540년, 조선)
 +
# 양홍이 청도군수에 임명되면서 받은 교지(1559년, 조선)
 +
# 양시성(楊時省, 1556~?)의 백패(1591년, 조선)
  
 +
이 문서들을 통해 고려와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관련 공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합격증에는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시대 합격증에는 ‘교지(敎旨)’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홍패에는 시험관의 관직과 이름이 적혀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73번째 줄: 76번째 줄:
 
[[분류:보물]]
 
[[분류:보물]]
 
[[분류:고문서]]
 
[[분류:고문서]]
 +
[[분류:종중문서]]
 +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0 영문집필]]

2022년 8월 31일 (수) 19:46 기준 최신판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Documents of the Namwon Yang Clan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영문명칭 Documents of the Namwon Yang Clan
한자 南原楊氏 宗中 文書 一括
지정번호 보물 제725호
지정일 1981년 7월 15일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홍패2매,교지5매
웹사이트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고문서는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것으로 모두 7건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과거 합격증인 홍패(紅牌) 4건, 조선시대 성균관 입학시험에 해당하는 소과(小科) 합격증인 백패(白牌) 2건, 4품 이상 관리에게 주는 임명장인 교지(敎旨) 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양이시(楊以時, ?∼1377)의 홍패(1355년, 고려 공민왕 4)
  2. 양수생(楊首生, ?∼1379, 양이시의 아들)의 홍패(1376년, 고려 우왕 2)
  3.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의 백패(1508년, 조선 중종 3)
  4. 양공준의 홍패(1520년, 조선 중종 15)
  5. 양홍(楊洪, 1508∼1564, 양공준의 아들)의 홍패(1540년, 조선 중종 35)
  6. 양홍이 청도군수에 임명되면서 받은 교지(1559년, 조선 명종 14)
  7. 양시성(楊時省, 1556∼?)의 백패(1591년, 조선 선조 24)

고려시대의 합격증에는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시대 합격증에는 ‘교지(敎旨)’라고 기록되어 있어, 고려와 조선시대 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의 홍패에는 시험관의 관직과 이름이 적혀 있다. 이 문서들은 고려 말 조선 전기 과거제도 관련 문서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Documents of the Namwon Yang Clan

These seven documents have been passed down by the Namwon Yang clan for generations. They include four red certificates from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wo white certificates from the Joseon period, and a letter of appointment to government office. A white certificate was given to those who passed the lower state examination and a red certificate was given to those who passed the higher state examination.

  1. Red certificate granted in 1355 to Yang I-si (?-1377)
  2. Red certificate granted in 1376 to Yang Su-saeng (?-1379; son of Yang I-si)
  3. White certificate granted in 1508 to Yang Gong-jun (1484-1525)
  4. Red certificate granted in 1520 to Yang Gong-jun
  5. Red certificate granted in 1540 to Yang Hong (1508-1564; son of Yang Gong-jun)
  6. Letter of appointment as magistrate of Cheongdo granted in 1559 to Yang Hong
  7. White certificate granted in 1591 to Yang Si-seong (1556-?)

These document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ertificates of examination issued in the two dynasties. The Goryeo-period certificates use the term "order of the king” (wangmyeong), while the Joseon-period ones use the term “royal edict” (gyoji). Also, on the Goryeo-period red certificates, the examiner’s name and official post are written.

영문 해설 내용

남원양씨 집안에서 대대로 보관해 온 총 7건의 고문서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과거 합격증인 홍패 4건, 조선시대 소과 합격증인 백패 2건, 관리에게 주는 임명장인 교지 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양이시(楊以時, ?~1377)의 홍패(1355년, 고려)
  2. 양수생(楊首生, ?~1379, 양이시의 아들)의 홍패(1376년, 고려)
  3. 양공준(楊公俊, 1484~1525)의 백패(1508년, 조선)
  4. 양공준의 홍패(1520년, 조선)
  5. 양홍(楊洪, 1508~1564, 양공준의 아들)의 홍패(1540년, 조선)
  6. 양홍이 청도군수에 임명되면서 받은 교지(1559년, 조선)
  7. 양시성(楊時省, 1556~?)의 백패(1591년, 조선)

이 문서들을 통해 고려와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관련 공문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합격증에는 ‘왕명(王命)’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시대 합격증에는 ‘교지(敎旨)’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홍패에는 시험관의 관직과 이름이 적혀 있다.

참고자료

  • 『경국대전』 「예전」
  •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 고려시대에는 과거 시험에 있어서 소과와 대과의 구분 없이 모두 홍패를 지급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소과에 입격하면 백패, 대과에 급제하면 홍패를 지급하였다. 이외에도 홍패와 백패, 고신 등 교지류의 형식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