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대전 육교(상, 하행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대전육교(상,하행선).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4412507830000 대전 육교(...)
 
28번째 줄: 28번째 줄: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대전육교의 문화재 등록을 신청하였고, 2020년에 국가등록문화재가 되었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대전육교의 문화재 등록을 신청하였고, 2020년에 국가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영문===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대전육교는 1969년에 만들어진 한국 최초의 아치형 교량이다. 규모는 길이 201m, 폭 21.4m, 높이 35m이며, 상‧하행선 2개소가 조성되어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후 고속도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1999년 사용이 중단되었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2020년에 국가등록문화재가 되었다.
  
 
+
대전육교는 산업화의 상징물 중 하나인 경부고속도로 시설물이라는 점과 건설 당시 한국에서 가장 높고 긴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아치형 교량이라는 점에서 현대사 및 기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다. 또한 거대한 반원형 3연속 아치라는 조형성도 근대 문화유산으로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
* 2020년 제5차 근대문화재분과 위원회 회의록, 문화재청, 2020.08.11.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7704&bbsId=BBSMSTR_1019&mn=NS_03_03_04
  
  

2022년 5월 24일 (화) 09:33 판


대전 육교(상, 하행선)
대전 육교(상, 하행선),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대전 육교(상, 하행선)
주소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 4-3 및 4-8 일원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783호
지정일 2020년 6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교통/교량
시대 기타
수량/면적 2개소(연장 201m, 교폭 21.4m, 높이 35m, 면적 2,420㎡, 2,392㎡)
웹사이트 대전 육교(상, 하행선),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전육교는 1969년에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아치형 교량이다. 규모는 길이 201m, 폭 21.4m, 높이 35m이며, 상‧하행선 2개소가 조성되어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후 고속도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1999년 사용이 중단되었다.

대전육교는 산업화의 상징물 중 하나인 경부고속도로 시설물이라는 점과 건설 당시 국내에서 가장 높고 긴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아치형 교량이라는 점에서 현대사 및 기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다. 또한 거대한 반원형 3연속 아치라는 조형성도 근대 문화유산으로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대전육교의 문화재 등록을 신청하였고, 2020년에 국가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대전육교는 1969년에 만들어진 한국 최초의 아치형 교량이다. 규모는 길이 201m, 폭 21.4m, 높이 35m이며, 상‧하행선 2개소가 조성되어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후 고속도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1999년 사용이 중단되었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2020년에 국가등록문화재가 되었다.

대전육교는 산업화의 상징물 중 하나인 경부고속도로 시설물이라는 점과 건설 당시 한국에서 가장 높고 긴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아치형 교량이라는 점에서 현대사 및 기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다. 또한 거대한 반원형 3연속 아치라는 조형성도 근대 문화유산으로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