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39번째 줄: 39번째 줄:
 
In the pagoda’s first-story body stone, a wooden Buddha statue '''dating to an unknown period''' was found.  
 
In the pagoda’s first-story body stone, a wooden Buddha statue '''dating to an unknown period''' was found.  
  
In the second-story body stone, several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were found. These include a worship hall-shaped gilt-bronze reliquary and a tree-shaped gilt-silver ornament that were both contained within a tortoise-shaped stone box. Within the worship hall-shaped reliquary was a green glass cup with green glass bottle inside of it.  
+
In the second-story body stone,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were found. These include a worship hall-shaped gilt-bronze reliquary and a tree-shaped gilt-silver ornament that were both contained within a tortoise-shaped stone box. Inside the worship hall-shaped reliquary was also a green glass cup containing a green glass bottle.  
  
In the base of the pagoda’s decorative top, several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Goryeo period (918-1392) were found. These include a round celadon lidded bowl with inlaid designs and two gilt-bronze button-shaped objects. It is a rare example of a celadon object having been deposited inside a Buddhist pagoda.
+
In the base of the decorative top,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Goryeo period (918-1392) were found. These include a round celadon lidded bowl with inlaid designs and two gilt-bronze button-shaped objects. It is a rare example of a celadon object having been deposited inside a Buddhist pagoda.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2년 4월 20일 (수) 11:25 판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Chilgok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영문명칭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Chilgok
한자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황금동,국립대구박물관)
지정번호 보물 제325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사리장치/사리장치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일괄
웹사이트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는 1959년 4월 오층전탑을 해체 수리 하면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오층전탑의 1층 몸돌에서는 목조 불상이, 2층 몸돌에서는 거북 모양의 석함이 나왔는데 이 석함 안에서 금동전각형사리기(金銅殿閣形舍利器)와 금은제수형장식구(金銀製樹形裝飾具)가 발견되었다. 금동전각형사리기 안에 있는 녹색 유리잔에 녹색 유리 사리병이 담겨 있었다. 5층 옥개석 위의 복발**에서는 청자상감원형합(靑磁象嵌圓形盒)과 금동원륜(金銅圓輪) 2개가 나왔다. 청자 대부분은 분묘에서 출토되는데 이 청자상감원형합은 특이하게 탑에서 발견되어 주목받았다.


  •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부처의 사리와 사리를 봉안하는 그릇, 탑 안에 들어가는 각종 공양구를 말한다.
  • 복발(覆鉢): 탑의 노반(露盤) 위에 주발을 엎어 놓은 것처럼 만든 장식.
  • 1층 몸돌에서 발견된 유물 확인 필요. 문화유적총람에는 목불 1구라고 하지만, 국가문화유산포털에는 나무, 돌, 동으로 만든 불상이 각각 2구씩 나왔다고 함.

영문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Chilgok

A reliquary, in the Buddhist tradition, refers to a vessel containing the relics or remains of the Buddha that is deposited inside a pagoda. These reliquaries, together with other artifacts, were found inside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when it was dismantled for renovation in April 1959. They are now kept at the Daegu National Museum.

In the pagoda’s first-story body stone, a wooden Buddha statue dating to an unknown period was found.

In the second-story body stone,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were found. These include a worship hall-shaped gilt-bronze reliquary and a tree-shaped gilt-silver ornament that were both contained within a tortoise-shaped stone box. Inside the worship hall-shaped reliquary was also a green glass cup containing a green glass bottle.

In the base of the decorative top, items presumed to date to the Goryeo period (918-1392) were found. These include a round celadon lidded bowl with inlaid designs and two gilt-bronze button-shaped objects. It is a rare example of a celadon object having been deposited inside a Buddhist pagoda.

영문 해설 내용

사리장엄구는 불탑에 사리를 봉안할 때 사용하는 용기를 말한다. 1959년 4월 송림사 오층전탑을 해체 수리하던 중 탑 안에서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탑의 1층 몸돌에서는 목조 불상이, 2층 몸돌에서는 거북 모양의 석함이 나왔다. 이 석함 안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전각 모양의 금동 사리기와 나무 모양의 금은제 장식구가 발견되었으며, 금동 사리기 안에 있는 녹색 유리잔에 녹색 유리 사리병이 담겨 있었다. 머리장식에서는 고려시대의 청자상감원형합과 금동제 원륜 2개가 나왔다. 불탑에서 청자가 발견되는 것은 특이한 사례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