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칠곡송림사오층전탑사리장엄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2203250000...)
 
53번째 줄: 53번째 줄:
 
[[분류:대구광역시 문화유산]]
 
[[분류:대구광역시 문화유산]]
 
[[분류:보물]]
 
[[분류:보물]]
 +
[[분류:칠곡 송림사]]
 
[[분류:사리장엄구]]
 
[[분류:사리장엄구]]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2022 영문집필]]

2022년 3월 28일 (월) 13:07 판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Chilgok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영문명칭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Brick Pagoda of Songnimsa Temple, Chilgok
한자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황금동,국립대구박물관)
지정번호 보물 제325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사리장치/사리장치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일괄
웹사이트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는 1959년 4월 오층전탑을 해체 수리 하면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오층전탑의 1층 몸돌에서는 목조 불상이, 2층 몸돌에서는 거북 모양의 석함이 나왔는데 이 석함 안에서 금동전각형사리기(金銅殿閣形舍利器)와 금은제수형장식구(金銀製樹形裝飾具)가 발견되었다. 금동전각형사리기 안에 있는 녹색 유리잔에 녹색 유리 사리병이 담겨 있었다. 5층 옥개석 위의 복발**에서는 청자상감원형합(靑磁象嵌圓形盒)과 금동원륜(金銅圓輪) 2개가 나왔다. 청자 대부분은 분묘에서 출토되는데 이 청자상감원형합은 특이하게 탑에서 발견되어 주목받았다.


  •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부처의 사리와 사리를 봉안하는 그릇, 탑 안에 들어가는 각종 공양구를 말한다.
  • 복발(覆鉢): 탑의 노반(露盤) 위에 주발을 엎어 놓은 것처럼 만든 장식.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