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물(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대표명칭=장수물
 
|대표명칭=장수물
 
|한자=
 
|한자=
|영문명칭=
+
|영문명칭=Jangsumul Spring
 
|종합안내판=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종합안내판=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위도=
 
|위도=
17번째 줄: 17번째 줄:
  
 
===영문===
 
===영문===
 +
'''Jangsumul Spring'''
  
 
+
This spring originates from a crack in a rock and does not freeze throughout the year. The spring is named Jangsumul or Jangsubaljaguk, meaning “Water of the General” and “Footprint of the General,” respectively. These names originate from a legend about Kim Tong-jeong (?-1273), the general of the military unit Sambeyolcho that faced the allied forces of Goryeo (Korea) and Yuan (the Mongols) in the final battle at the fortress in Hangpadu-ri. According to this legend, during the attack on the fortress, General Kim Tong-jeong jumped off the fortress wall and landed on a rock leaving a crack with his foot from which clear water began to flow.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장수물은 움푹 패인 돌 틈에서 솟아나온 샘으로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다.  
+
장수물은 움푹 패인 돌 틈에서 솟아나온 샘으로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다. 이 샘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대장 김통정(?-1273)에 관한 전설이 전해져 ‘장수물’ 또는 ‘장수발자국’으로 알려져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1273년 고려와 몽골 연합군이 항파두리성을 공격할 때 김통정 장군이 성 위에서 뛰어 내리자 바위에 발자국이 패이면서 그곳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샘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대장 김통정(?-1273)에 관한 전설이 전해져 ‘장수물’ 또는 ‘장수발자국’으로 알려져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1273년 고려와 몽골 연합군이 항파두리성을 공격할 때 김통정 장군이 성 위에서 뛰어 내리자 바위에 발자국이 패이면서 그 곳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나게 되었다고 한다.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1년 8월 22일 (일) 20:18 기준 최신판

장수물
Jangsumul Spring
Goto.png 종합안내판: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해설문

국문

이 샘은 삼별초의 대장 김통정 장군에 관한 전설이 얽힌 유적지로 흔히 ‘장수물’ 또는 ‘장수발자국’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것은 1273년 고려 원종 14년 5월 여몽연합군이 삼별초의 최후 보루인 항파두성을 공격할 때 김통정 장군이 성 위에서 뛰어 내리자 바위에 발자국이 패이면서 그 곳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샘물은 움푹 페인 돌 틈에서 흐르는 물로 사시사철 마르는 일이 없다.

영문

Jangsumul Spring

This spring originates from a crack in a rock and does not freeze throughout the year. The spring is named Jangsumul or Jangsubaljaguk, meaning “Water of the General” and “Footprint of the General,” respectively. These names originate from a legend about Kim Tong-jeong (?-1273), the general of the military unit Sambeyolcho that faced the allied forces of Goryeo (Korea) and Yuan (the Mongols) in the final battle at the fortress in Hangpadu-ri. According to this legend, during the attack on the fortress, General Kim Tong-jeong jumped off the fortress wall and landed on a rock leaving a crack with his foot from which clear water began to flow.

영문 해설 내용

장수물은 움푹 패인 돌 틈에서 솟아나온 샘으로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다. 이 샘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대장 김통정(?-1273)에 관한 전설이 전해져 ‘장수물’ 또는 ‘장수발자국’으로 알려져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1273년 고려와 몽골 연합군이 항파두리성을 공격할 때 김통정 장군이 성 위에서 뛰어 내리자 바위에 발자국이 패이면서 그곳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나게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