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자(창원 진해 웅천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 기존 국문해자(垓子)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
{{개별안내판
{{문화유산정보
+
|사진=창원진해웅천읍성.jpg
|사진=창원진해웅천읍성_창원시문화관광.jpg
+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0150000 창원 진해 웅천읍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0150000 창원 진해 웅천읍성], 창원시문화관광, 창원시청.
 
 
|대표명칭=창원 진해 웅천읍성
 
|대표명칭=창원 진해 웅천읍성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昌原 鎭海 熊川邑城
 
|한자=昌原 鎭海 熊川邑城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519-6
+
|종합안내판=창원 진해 웅천읍성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남도 기념물 제15호
 
|지정일=1974년 12월 28일
 
|분류=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지
 
|소유자=
 
|관리자=
 
|시대=
 
|제작시기=
 
|수량/면적=일곽
 
|웹사이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0150000 창원 진해 웅천읍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위도=35.11196320456
 
|위도=35.11196320456
 
|경도=128.751066204645
 
|경도=128.751066204645

2021년 4월 23일 (금) 15:03 판

창원 진해 웅천읍성 昌原 鎭海 熊川邑城
창원 진해 웅천읍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창원 진해 웅천읍성



해설문

기존 국문[1]

해자(垓子)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어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해자와 관련된 용어는 『朝鮮王朝實錄』에 垓字, 坑坎, 濠池, 塹濠, 隍池, 海子, 池壕, 垓子, 壕등이 사용되고 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增補文獻備考』에는 垓子라고 기록되어 있다. 웅천읍성에서는 길이 300m의 동벽과 남벽 해자가 확인되었다. 웅천읍성의 해자는 조선 세종 16년 (1434) 초축이 시작된 이후 총 3번 이상에 걸친 수·개축이 이루어졌으며 옹성 및 치성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해자 일부를 폐기하고 새로이 해자를 축조하였다. 웅천읍성 체성부와 해자의 이격거리는 동북벽이 12m, 동문지 옹성 주변 7.2~8.1m, 동남벽은 8m, 남벽 7.5m 이다. 해자의 폭은 남벽 해자는 상부 폭 4.3m, 하부 폭 4m으로서 최대 깊이 2.5m 이며, 동남벽 해자는 상부 폭 4.2~4.6m, 하부 폭 4m, 최대 깊이 3m, 동북벽 해자는 상부 폭 7~7.6m, 하부 6~6.5m, 최대 깊이 3.5m 에 이른다. 전체적으로 단면 U자형을 이룬다. 웅천읍성 해자의 석축 축조수법은 허튼층쌓기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축조 해자 바닥에는 전체적으로 돌이 깔려 있고 그 사이사이로 목익을 설치한 반면에 증개축된 해자인 남쪽 구간에서는 해자벽에 붙어 약 1.2m 간격으로만 나오고 그 안쪽으로 목익이 확인된다. 또한 동문지 옹성 밖 해자 내부에서 조교가 확인된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1. (한자 보시기 힘들까봐 참고용 ^^;) 해자(垓子)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어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해자와 관련된 용어는 『조선왕조실록』에 해자(垓字), 갱감(坑坎), 호지(濠池), 참호(塹濠), 황지(隍池), 해자(海子), 지호(池壕), 해자(垓子), 호(壕) 등이 사용되고 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해자(垓子)라고 기록되어 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