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월영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月映臺
 
|한자=月映臺
|주소=경북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지정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28번째 줄: 28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잘 다듬어진 자연 암석면에 ‘월영대(月映臺)’라는 세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쓴 사람과 새긴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
 +
원래 안동 월곡면의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 앞에 서 있었다고 하나,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
 +
'달이 비치는 대(臺)'라는 뜻으로, 글씨는 단아한 해서체(楷書體)로 쓰여져 선비의 풍류를 느낄 수 있다. 글씨의 크기는 대략 26cm 정도이다.
  
 
====1차 수정====
 
====1차 수정====
36번째 줄: 41번째 줄: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월영대||Object||월영대||
 +
|-
 +
|금하재||Place||금하재||
 +
|-
 +
|안동댐_건설||Event||안동댐_건설||
 
|}
 
|}
  
43번째 줄: 52번째 줄: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
 
|-
 
+
|월영대 || 금하재 ||isRelatedTo
 +
|-
 +
|월영대 || 안동댐_건설 || isRelatedTo
 
|}
 
|}
  
 
=='''참고자료'''==
 
=='''참고자료'''==
 
+
*월영대,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28 →  월영대(月映臺)란 ‘달이 비치는 대(臺)’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달빛을 감상하던 임원(林苑)의 암벽에 붙인 이름이다. 깔끔한 해서체로 쓰여 있으나, 필자와 새긴 이는 알 수 없다. 월영대는 원래 안동댐 수몰 이전 월곡면 사월동 산351번지 월곡면사무소 뒷산 송림 중에 있던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와 함께 길쭉한 자연 암벽을 다듬어 새겨놓았으나,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옮겨왔다.
 +
*찬바람 부는데 생각난 안동 석빙고... 가을을 만끽하다, 오마이뉴스, 2020.10.2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87143&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 석빙고를 지나 몇 걸음 더 가면 '선성현 객사'가 보이는데 객사 입구 왼쪽에는 '월영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라 새겨진 바위가 보인다. 월영대도 안동댐 건설로 인해 현 위치로 옮겨졌다고 한다. 원래는 월영대라 적혀있는 바위 바로 위에 '금하재'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금하재는 이곳으로 옮겨지지는 못한 듯 '월영대'라 적혀 있는 바위만 이곳에 남아 있다.
  
  

2021년 4월 17일 (토) 13:41 판


월영대
월영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월영대
한자 月映臺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지정일 1973년 8월 31일
분류 유물/일반조각/암벽조각/각석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월영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월영대는 자연 암벽을 다듬어 ‘월영대’라는 석 자를 새긴 바위이다. 원래 이 바위의 바로 위에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월영대는 1972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현 위치로 옮겨졌다. 글자를 새기기 위해 다듬은 장방형 면적은 83×47cm이고, 글씨의 크기는 대략 26cm 정도이다. 글씨는 단아한 해서체(楷書體)로 선비의 풍류를 느낄 수 있다. 이 글을 쓴 사람과 새긴 사람은 금하재의 건립과 직접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단정하기는 어렵다.

수정 국문

초고

잘 다듬어진 자연 암석면에 ‘월영대(月映臺)’라는 세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쓴 사람과 새긴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원래 안동 월곡면의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 앞에 서 있었다고 하나,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달이 비치는 대(臺)'라는 뜻으로, 글씨는 단아한 해서체(楷書體)로 쓰여져 선비의 풍류를 느낄 수 있다. 글씨의 크기는 대략 26cm 정도이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월영대 Object 월영대
금하재 Place 금하재
안동댐_건설 Event 안동댐_건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월영대 금하재 isRelatedTo
월영대 안동댐_건설 isRelatedTo

참고자료

  • 월영대,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28 → 월영대(月映臺)란 ‘달이 비치는 대(臺)’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달빛을 감상하던 임원(林苑)의 암벽에 붙인 이름이다. 깔끔한 해서체로 쓰여 있으나, 필자와 새긴 이는 알 수 없다. 월영대는 원래 안동댐 수몰 이전 월곡면 사월동 산351번지 월곡면사무소 뒷산 송림 중에 있던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와 함께 길쭉한 자연 암벽을 다듬어 새겨놓았으나,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옮겨왔다.
  • 찬바람 부는데 생각난 안동 석빙고... 가을을 만끽하다, 오마이뉴스, 2020.10.2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87143&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 석빙고를 지나 몇 걸음 더 가면 '선성현 객사'가 보이는데 객사 입구 왼쪽에는 '월영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라 새겨진 바위가 보인다. 월영대도 안동댐 건설로 인해 현 위치로 옮겨졌다고 한다. 원래는 월영대라 적혀있는 바위 바로 위에 '금하재'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금하재는 이곳으로 옮겨지지는 못한 듯 '월영대'라 적혀 있는 바위만 이곳에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