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주 대산리 진사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성주대산리진사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1240000 성주 대산리...)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성주대산리진사댁.jpg
 
|사진=성주대산리진사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1240000 성주 대산리 진사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1240000 성주 대산리 진사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성주대산리진사댁
+
|대표명칭=성주 대산리 진사댁
|영문명칭=
+
|영문명칭=Jinsadaek House in Daesan-ri, Seongju
|한자=星州大山里進士宅
+
|한자=星州 大山里 進士宅
|주소=
+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0 (대산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
31번째 줄: 31번째 줄:
  
 
===영문===
 
===영문===
 
+
'''Jinsadaek House in Daesan-ri, Seongju'''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집은 이주진(1748-1825)이 1798년에 또는 이문상(1810-1879)이 1858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예안댁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이문상의 부인이 안동 예안면 출신이기 때문이다.
  
 +
이후 현 소유자의 선조인 이국희(1868-1939)가 이 집을 샀고, 그가 1894년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치러진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면서 진사댁으로 불리게 되었다.
  
 
+
현재 이 집은 안채, 사랑채, 새사랑채, 화장실 등 모두 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사랑채는 모두 초가지붕을 얹었다. 사랑채는 마루와 온돌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새사랑채는 난간을 두른 누마루, 온돌방, 창고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을 두었고, 앞쪽에는 툇마루가 있다.
 
 
=='''참고자료'''==
 
  
  

2021년 3월 1일 (월) 04:08 판


성주 대산리 진사댁
Jinsadaek House in Daesan-ri, Seongju
성주 대산리 진사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성주 대산리 진사댁
영문명칭 Jinsadaek House in Daesan-ri, Seongju
한자 星州 大山里 進士宅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0 (대산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
지정일 2000년 9월 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동
웹사이트 성주 대산리 진사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사댁 안채에는 상량문*이 있어 조선 정조 22년(1798) 이주진 또는 조선 철종 9년(1858) 이문상이 처음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이국희가 살림을 내면서 이 집을 샀고, 그가 1894년 조선 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있었던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면서 진사댁으로 불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예안댁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이문상의 부인이 안동 예안에서 시집을 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안채, 사랑채, 새사랑채, 화장실 등 모두 4동인데 ‘ㅡ’자 모양의 안채와 사랑채, ‘ㄱ’자 모양의 새사랑채가 ‘튼 ㄷ’자 모양을 하고 있다. 새사랑채는 앞쪽에 난간을 세우고 누마루처럼 꾸민 마루 1칸과 온돌방 1칸, 창고 등으로 이루어졌다. 누마루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문은 卍자 장식으로 멋을 내었다.


  • 상량문(上樑文): 집을 새로 짓거나 고친 내력, 공역 일시 등을 적어둔 문서.

영문

Jinsadaek House in Daesan-ri, Seongju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이주진(1748-1825)이 1798년에 또는 이문상(1810-1879)이 1858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예안댁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이문상의 부인이 안동 예안면 출신이기 때문이다.

이후 현 소유자의 선조인 이국희(1868-1939)가 이 집을 샀고, 그가 1894년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치러진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면서 진사댁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 이 집은 안채, 사랑채, 새사랑채, 화장실 등 모두 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사랑채는 모두 초가지붕을 얹었다. 사랑채는 마루와 온돌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새사랑채는 난간을 두른 누마루, 온돌방, 창고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을 두었고, 앞쪽에는 툇마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