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구 풍각면사무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1930년대에 건립된 장방형 평면의 면사무소 목조건물이다. 돌출시킨 현관 포치에 의해 중앙현관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지붕의 박공부분에 구성된 여러 단의 특이한 환기창, 돌출된 현관의 캐노피, 목재 비늘 판벽과 시멘트 모르타르 2단으로 마감된 외벽 등 의장적 특징이 보인다. 지붕은 용마루 양단부를 삼각형으로 모를 낸 ‘반절맞배지붕’형식을 취하고 있다. 마당에는 측량의 기준이 되는 수준점이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지방 면사무소의 건축형태와 공간 구성 및 재료 등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근대 사무소 건물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으며 건축적, 향토사적, 지방행정사적 가치가 있다.
+
이곳은 1930년대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이 건물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건축물이며, 건물 전체가 남향으로 놓여 있다. 주 출입구인 중앙 현관에는 나무로 된 사각기둥을 세워 포치*를 두었고, 그 위는 지붕처럼 표현하였다. 건물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처럼 보이며, 처마 아래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현재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고, 이건물은 ‘청도 작은도서관’으로 개관되어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정 국문===
+
이 건물은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 강점기 지방 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초고====
 
1930년대 건축된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풍각면(豐角面)은 청도군의 가장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풍각면의 지형과 위치가 마치 소뿔 사이의 넓은 곳처럼 생겨서 풍성할 '풍(豊)' 자를 붙여 풍각(豊角)이라고 하였다.
 
  
풍각면사무소는 좌우로 긴 장방형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현관에는 비바람을 막는 시설물인 포치(porch)를 설치했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비늘판벽 위 지붕 부분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건물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
2005년에 풍각면사무소가 새로운 청사로 이전한 이후, 풍각면사무소 건물은 작은 도서관으로 탈바꿈하여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지역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구 풍각면사무소는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강점기 지방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다.
+
----
 +
*포치: 건물의 입구나 현관에 지붕을 갖추어 잠시 차를 대거나 사람들이 비바람을 피하도록 만든 곳
 +
*모르타르: 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것
  
====1차 수정====
+
===영문===
1930년대에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풍각면은 청도군의 가장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풍각면의 지형과 위치가 마치 소뿔 사이의 넓은 곳처럼 생겨서 풍성할 '풍(豊)' 자를 붙여 풍각(豊角)이라고 하였다.
+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구 풍각면사무소는 좌우로 긴 장방형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현관에는 비바람을 막는 시설물인 포치(porch)를 설치했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비늘판벽 위 지붕 부분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건물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
This is the former building of Punggak-myeon Office built in the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9-1945). After the office moved to a new location in 2005, this building was renovated into a library and is currently used as a local cultural space for adults and children.
  
구 풍각면사무소는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강점기 지방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풍각면사무소는 2005년에 새 청사로 이전하였다.
+
The building is rectangular and faces south. Its main entrance has a porch with its own gable roof supported by two wooden, rectangular pillar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features wooden weatherboard cladding, while the area right below the eaves is finished with cement mortar. In front of the building is a benchmark that was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measuring the altitude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자문의견====
+
The building is well-preserved and is valuable in the understanding of early 20th-century administrative architecture.
  
 +
===영문 해설 내용===
 +
1930년대에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2005년에 면사무소가 신청사로 이전한 이후, 도서관으로 개관하여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지역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2차 수정====
+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건물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주 출입구인 중앙 현관에는 나무로 된 사각 기둥을 세워 포치를 두었고, 그 위는 지붕처럼 표현하였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처마 아래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
이 건물은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20세기 초 지방 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55번째 줄: 56번째 줄:
 
[[분류:청도군 문화유산]]
 
[[분류:청도군 문화유산]]
 
[[분류:국가등록문화재]]
 
[[분류:국가등록문화재]]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영문명칭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한자 淸道 舊 豊角面事務所
주소 경북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 600-1번지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256호
지정일 2006년 6월 19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업무시설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수준점 포함), 1층 연면적 219.8㎡
웹사이트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은 1930년대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이 건물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건축물이며, 건물 전체가 남향으로 놓여 있다. 주 출입구인 중앙 현관에는 나무로 된 사각기둥을 세워 포치*를 두었고, 그 위는 지붕처럼 표현하였다. 건물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처럼 보이며, 처마 아래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이 건물은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일제 강점기 지방 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5년에 풍각면사무소가 새로운 청사로 이전한 이후, 구 풍각면사무소 건물은 작은 도서관으로 탈바꿈하여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지역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포치: 건물의 입구나 현관에 지붕을 갖추어 잠시 차를 대거나 사람들이 비바람을 피하도록 만든 곳
  • 모르타르: 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것

영문

Former Punggak-myeon Office, Cheongdo

This is the former building of Punggak-myeon Office built in the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9-1945). After the office moved to a new location in 2005, this building was renovated into a library and is currently used as a local cultural space for adults and children.

The building is rectangular and faces south. Its main entrance has a porch with its own gable roof supported by two wooden, rectangular pillar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features wooden weatherboard cladding, while the area right below the eaves is finished with cement mortar. In front of the building is a benchmark that was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measuring the altitude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The building is well-preserved and is valuable in the understanding of early 20th-century administrative architecture.

영문 해설 내용

1930년대에 지어진 옛 풍각면사무소 건물이다. 2005년에 면사무소가 신청사로 이전한 이후, 도서관으로 개관하여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지역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건물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주 출입구인 중앙 현관에는 나무로 된 사각 기둥을 세워 포치를 두었고, 그 위는 지붕처럼 표현하였다. 외벽은 기다란 목재판으로 비늘과 같이 마감하였고, 처마 아래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앞마당에는 높이를 측량하는 기준이 되는 수준점(水準點)이 있다.

이 건물은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어 20세기 초 지방 행정 기관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