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대율리 대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군위대율리대청.jpg
 
|사진=군위대율리대청.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2620000 군위 대율리 대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2620000 군위 대율리 대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군위 대율리 대청
 
|대표명칭=군위 대율리 대청
|영문명칭=
+
|영문명칭=Wooden Pavilion in Daeyul-ri, Gunwi
 
|한자=軍威 大栗里 大廳
 
|한자=軍威 大栗里 大廳
 
|주소=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858번지
 
|주소=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858번지
28번째 줄: 27번째 줄:
  
 
===영문===
 
===영문===
 +
'''Wooden Pavilion in Daeyul-ri, Gunwi'''
  
This building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s original function is unknown. The building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reconstructed in 1632. During this time, it served as a village study hall. The building underwent renovations in 1651 and 1705, and due to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was also used as a gathering place. Currently its is occupied by a local senior citizen center.  
+
This building is presumed to have been first buil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but its original function is unknown.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was reconstructed in 1632 as a village study hall.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it also came to be used as a community gathering place. The building underwent renovations in 1651 and 1705.
  
The building was originally divided into rooms and a wooden-floored hall, but in 1992, when it was dismantled and renovated, all walls were taken out and the whole area of the building was laid with Korean-style?* wooden floor. The ceiling is an open type, so the rafters can be seen from inside. The structure and decorations of this building are not commonly seen in residential houses.  
+
In 1992, the design and function of the study hall was lost when it was dismantled and rebuilt. At this time, all of its walls and its two underfloor-heated rooms were removed, thus turning it into an open-air wooden-floored pavilion. The building is now used as a space for the village's senior citizens.
 
 
 
 
*우물마루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 건물은 조선 초기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본래의 용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2년에 다시 지어 마을 학당으로 사용하였고, 1651년, 1705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마을 중심부에 위치해서 마을의 모임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지금은 마을의 경로당으로 사용한다.  
+
이 건물은 조선 초기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본래의 용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2년에 다시 지어 마을 학당으로 사용하였고, 마을 중심부에 위치해서 마을의 모임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1651년, 1705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본래 마루와 방이 있었으나 1992년에 완전히 해체한 후 보수하면서 벽체를 모두 없애고 방 자리까지 마루를 깔았다고 한다. 마루는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서까래가 그대로 드러난다.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나 장식은 일반 민가에서 보기 어려운 양식이다.
+
1992년에 완전히 해체한 후 보수하면서 원래의 구조와 기능을 잃었다. 보수 당시 벽체를 모두 없애고 방 자리까지 마루를 깔아 사면이 열린 누각 형태로 만들었다. 현재는 마을의 경로당으로 사용한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0년 11월 19일 (목) 04:54 기준 최신판

군위 대율리 대청
Wooden Pavilion in Daeyul-ri, Gunwi
군위 대율리 대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군위 대율리 대청
영문명칭 Wooden Pavilion in Daeyul-ri, Gunwi
한자 軍威 大栗里 大廳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858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지정일 1991년 5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군위 대율리 대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율리 대청은 조선 전기에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서 없어졌다.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어 학교처럼 사용되었다. 효종 2년(1651)과 숙종 32년(1705)에 각각 손보고 고쳤으며, 현재는 마을의 경로당으로 사용한다.

대청은 돌담에 둘러싸인 고옥들이 산재한 중심부에 위치해서 마을에서 무슨 일이 생기면 모여드는 그런 장소이기도 하다.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2칸이며, 기둥은 둥근 다락집의 형태이다. 마루는 우물마루며, 천장은 서까래가 그대로 다 드러나지만 장식은 요란스럽지 않다. 건물의 모습이나 꾸민 수법은 일반 민가 건물에서는 그 예를 찾기가 힘든 짜임새 있는 건물이다.

영문

Wooden Pavilion in Daeyul-ri, Gunwi

This building is presumed to have been first buil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but its original function is unknown.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was reconstructed in 1632 as a village study hall.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it also came to be used as a community gathering place. The building underwent renovations in 1651 and 1705.

In 1992, the design and function of the study hall was lost when it was dismantled and rebuilt. At this time, all of its walls and its two underfloor-heated rooms were removed, thus turning it into an open-air wooden-floored pavilion. The building is now used as a space for the village's senior citizens.

영문 해설 내용

이 건물은 조선 초기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본래의 용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2년에 다시 지어 마을 학당으로 사용하였고, 마을 중심부에 위치해서 마을의 모임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1651년, 1705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1992년에 완전히 해체한 후 보수하면서 원래의 구조와 기능을 잃었다. 보수 당시 벽체를 모두 없애고 방 자리까지 마루를 깔아 사면이 열린 누각 형태로 만들었다. 현재는 마을의 경로당으로 사용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