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하양 육영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산하양육영재.jpg
 
|사진=경산하양육영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701790000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701790000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경산 하양 육영재
 
|대표명칭=경산 하양 육영재
|영문명칭=Yugyeongjae Lecture Hall in Hayang-eup, Gyeongsan
+
|영문명칭=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한자=慶山 河陽 育英齋
 
|한자=慶山 河陽 育英齋
 
|주소=경상북도 경산시 교리길 39-19 (하양읍)
 
|주소=경상북도 경산시 교리길 39-19 (하양읍)
37번째 줄: 36번째 줄:
 
'''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Yugyeongjae Lecture Hall is a local education institution built in 1823 by Yi Taeseung, the local magistrate, to teach the scholars of the Hayang-eup region.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we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established nationwide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schools affiliated to the local Confucian school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select the outstanding students that were enrolled in the local Confucian schools and to teach them so they could enter the Seonggyungwan National Academy. Yugyeongjae Lecture Hall was one of these schools affiliated to a local Confucian school.
+
This school was established in 1823 by the local magistrate Yi Tae-seung to educate the scholars of the Hayang-eup area. It was affiliated with the local Confucian school, Hayanghyanggyo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07).
  
Such affiliated schools were usually built inside a local Confucian school under the authority of the Magistrate's Office. However, Yugyeongjae Lecture Hall (Gyeongsangbuk-do Province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07) and the local Confucian school of Hayang-eup were established independently but close to each other, and they were run by nongovernmental and governmental entities (민관?). Without the Magistrate's Office’s help regarding building costs and operating costs, the local group of Confucian scholars covered these expenses by donating land and money. The locals also supported this by creating  a kind of traditional private fund (계). There are left detailed records of the building and running process of this lecture hall, which are an important resource for researching these outstanding student’s education process in the late Joseon period.  
+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we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established nationwide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ffiliated schools were established as advanced study institutions in which the most outstanding students enrolled in the local Confucian schools were selected and underwent intensive study to prepare to enter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The complex currently consists of four buildings, separating the study space, the administrative space, the storehouse and the restroom.
+
Such affiliated schools were usually built inside a local Confucian school under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Yugyeongjae School was built independently in the vicinity of the local Confucian school and was operated in-part by non-governmental entiti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were funded by local Confucian scholars without the help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donations of land and money. The locals also created a private collective fund to help finance the lecture hall. Detailed records remain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is school, which are important resources for researching the way in which bright students were educ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
 
 +
The complex consists of a lecture hall, administrative hall, storehouse, and restroom.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육영재는 1823년 현감 이태승이 하양 지역의 학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이다. 원래 조선시대에는 국립교육기관인 향교가 각 지방에 설립되어 유학 교육을 담당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향교의 부속 학교를 세우고, 향교의 학생 중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상급학교인 성균관에 진학시킬 수 있도록 가르쳤다. 육영재도 이러한 향교 부속 학교였다.  
+
육영재는 1823년 현감 이태승이 하양 지역의 학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으로, 하양향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의 부속 학교였다.
 +
 
 +
향교는 조선시대에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각 지방에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 후기에는 향교에 부속 학교를 세우고, 향교의 학생 중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상급학교인 성균관에 진학시킬 수 있도록 가르쳤다.  
  
이러한 부속 학교는 보통 관청의 주도 하에 향교 안에 지어졌다. 그러나 육영재는 하양향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와 가까운 곳에 독립적으로 세워졌으며, 민관이 함께 운영하였다. 건립 비용과 운영 비용도 관청의 경제적 지원 없이, 지역 유림들이 기증한 논밭과 성금으로 충당하였고, 주민들이 계를 만들어 지원하기도 하였다. 육영재는 건립 과정과 운영 내역에 대한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지방의 인재 교육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이러한 부속 학교는 보통 관청의 주도 하에 향교 안에 지어졌다. 그러나 육영재는 향교와 가까운 곳에 독립적으로 세워졌으며, 민관이 함께 운영하였다. 건립 비용과 운영 비용도 관청의 경제적 지원 없이, 지역 유림들이 기증한 논밭과 성금으로 충당하였고, 주민들이 계를 만들어 지원하기도 하였다. 육영재는 건립 과정과 운영 내역에 대한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지방의 인재 교육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현재 경내에는 총 4동의 건물이 있는데, 각각 공부를 위한 공간, 학교 관리를 위한 공간, 창고, 화장실이다.  
+
경내에는 총 4동의 건물이 있는데, 각각 공부를 위한 공간, 학교 관리를 위한 공간, 창고, 화장실이다.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10월 30일 (금) 11:48 기준 최신판

경산 하양 육영재
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산 하양 육영재
영문명칭 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한자 慶山 河陽 育英齋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교리길 39-19 (하양읍)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79호
지정(등록)일 2020년 7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경산 하양 육영재는 조선 순조 23년(1823)에 하양 현감 이태승(李台升)이 세운 향교의 부속 학당이다. 하양 유림들의 기부금 등을 모아 환성사(環城寺)에 있던 안양실을 옮겨 와 세웠다. 육영재는 향교에서 선발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여 과거에 응시하게 하고 상급 학교인 성균관에 진학시키고자 건립한 양사재*이다.

양사재는 주로 관청의 주도로 향교 안에 지어졌으나 하양 육영재는 하양 향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와 가까운 곳에 독립적으로 세워졌으며 민관이 함께 운영하였다. 건립 비용과 학자금도 관청의 경제적 지원 없이 유림들이 기증한 논밭과 성금, 각 면별로 육영계(育英契), 보인계(輔仁契)를 만들어 충당하였다.

이 건물은 전체적으로 ‘ㅁ’자형으로 되어 있다. 대문을 지나서 보이는 정면에는 공부하는 공간인 청사(廳事)가 있고, 왼쪽에는 살림을 담당하는 포사(庖舍), 오른쪽에는 창고와 화장실이 있다.

경산 하양 육영재는 건립 역사와 그동안 운영해 온 실태를 기록한 『하양 육영재지(河陽 育英齋誌)』, 관련 문서, 현판 등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지방에서 이루어진 인재 교육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높이 평가된다.


  • 양사재: 향교, 서원과 함께 선비를 양성하는 조선 후기 지방 교육 기관으로 낙일재, 양사당, 육영재, 흥학당 등이 이에 포함된다.

영문

Yugyeongjae School in Hayang-eup, Gyeongsan

This school was established in 1823 by the local magistrate Yi Tae-seung to educate the scholars of the Hayang-eup area. It was affiliated with the local Confucian school, Hayanghyanggyo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07).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we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established nationwide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ffiliated schools were established as advanced study institutions in which the most outstanding students enrolled in the local Confucian schools were selected and underwent intensive study to prepare to enter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Such affiliated schools were usually built inside a local Confucian school under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Yugyeongjae School was built independently in the vicinity of the local Confucian school and was operated in-part by non-governmental entiti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were funded by local Confucian scholars without the help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donations of land and money. The locals also created a private collective fund to help finance the lecture hall. Detailed records remain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is school, which are important resources for researching the way in which bright students were educ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omplex consists of a lecture hall, administrative hall, storehouse, and restroom.

영문 해설 내용

육영재는 1823년 현감 이태승이 하양 지역의 학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으로, 하양향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의 부속 학교였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각 지방에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 후기에는 향교에 부속 학교를 세우고, 향교의 학생 중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상급학교인 성균관에 진학시킬 수 있도록 가르쳤다.

이러한 부속 학교는 보통 관청의 주도 하에 향교 안에 지어졌다. 그러나 육영재는 향교와 가까운 곳에 독립적으로 세워졌으며, 민관이 함께 운영하였다. 건립 비용과 운영 비용도 관청의 경제적 지원 없이, 지역 유림들이 기증한 논밭과 성금으로 충당하였고, 주민들이 계를 만들어 지원하기도 하였다. 육영재는 건립 과정과 운영 내역에 대한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지방의 인재 교육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경내에는 총 4동의 건물이 있는데, 각각 공부를 위한 공간, 학교 관리를 위한 공간, 창고, 화장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