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금동 느티나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금동느티나무.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0930000 금동 느티나무], 국...)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0930000 금동 느티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0930000 금동 느티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금동느티나무
 
|대표명칭=금동느티나무
|영문명칭=0
+
|영문명칭=Saw-leaf Zelkova of Geumdong Village
 
|한자=琴洞느티나무
 
|한자=琴洞느티나무
 
|주소=전북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 744-1번지
 
|주소=전북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 744-1번지
26번째 줄: 26번째 줄:
  
 
===영문===
 
===영문===
 
+
'''Saw-leaf Zelkova of Geumdong Villag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한다. 보통 크기가 크고 줄기가 굵어서 쉼터로 쓰이곤 한다.
+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부지역, 대만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한다.  
  
이 나무는 조선 태종의 장남이었던 양녕대군(1394~1462)의 4대손이 심었다고 전해진다.  
+
이 나무는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의 장남이었던 양녕대군(1394~1462)의 후손이 심었다고 전해진다. 수령은 400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가슴 높이 둘레는 7m이다.  
 
 
나무의 수령은 500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가슴둘레는 7m이다.  
 
  
 
나무의 잎이 아래에서부터 피면 풍년이 들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흉년이 든다는 전설이 있다. 또 나라에 역사적인 사건이 있을 때마다 나무가 둘로 갈라지거나 피 같은 물이 흘러내리는 등의 조짐을 보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나무의 잎이 아래에서부터 피면 풍년이 들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흉년이 든다는 전설이 있다. 또 나라에 역사적인 사건이 있을 때마다 나무가 둘로 갈라지거나 피 같은 물이 흘러내리는 등의 조짐을 보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7월 이 나무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7월 이 나무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양녕대군은 정읍에서 잠시 은둔생활을 했었다고 한다.
 
*백중날(음력 7월 15일)과 칠석날(음력 7월 7일)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20년 6월 18일 (목) 20:42 판


금동느티나무
Saw-leaf Zelkova of Geumdong Village
금동 느티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금동느티나무
영문명칭 Saw-leaf Zelkova of Geumdong Village
한자 琴洞느티나무
주소 전북 정읍시 소성면 화룡리 744-1번지
지정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93호
지정일 1998년 1월 9일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수량/면적 1주
웹사이트 금동 느티나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금동 느티나무는 수령이 약 400년이며, 높이는 20m, 둘레는 7m이다. 이 나무는 조선 세조 때 이곳으로 피신해 와 살던 양녕대군의 후손이 심었다고 전한다. 이 나무에는 많은 전설과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8·15 해방과 4·19 혁명 등 역사적 사건이 있을 때마다 이를 예고하는 듯한 조짐이 나타났는데 나무가 둘로 갈라지거나 피 같은 물이 흘러내렸다 한다. 또 이 나무의 잎이 아래에서부터 피면 풍년이 들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흉년이 든다고 전한다. 지금도 매년 백중날과 칠석날이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 이 나무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영문

Saw-leaf Zelkova of Geumdong Village

영문 해설 내용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부지역, 대만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한다.

이 나무는 조선 태종(재위 1400-1418)의 장남이었던 양녕대군(1394~1462)의 후손이 심었다고 전해진다. 수령은 400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가슴 높이 둘레는 7m이다.

나무의 잎이 아래에서부터 피면 풍년이 들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흉년이 든다는 전설이 있다. 또 나라에 역사적인 사건이 있을 때마다 나무가 둘로 갈라지거나 피 같은 물이 흘러내리는 등의 조짐을 보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7월 이 나무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