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덕 처인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기존 국문===
+
없음.
 +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29번째 줄: 30번째 줄:
  
 
====1차 수정====
 
====1차 수정====
+
처인당은 영덕 영양남씨 문중의 종가에 속했던 건물의 하나이다. 건립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
 
 +
조선 후기 유학자인 남필대(南必大, 1608~1666)가 영양남씨 가운데 영양 지역에 처음 들어온 조상인 남수(南須)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후 후손인 처인당 남달만(處仁堂 南達萬, 1713~1784)이 자신의 호로 건물 이름을 정했다. 처인당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선무원종공신을 지낸 남율(南慄)을 비롯한 다수의 인물이 배출되었다.
 +
 
 +
====자문의견====
 +
 
 +
 
 +
====2차 수정====
 +
 
 
=='''참고자료'''==
 
=='''참고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영덕 처인당.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6660000,37&pageNo=1_1_1_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영덕 처인당.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6660000,37&pageNo=1_1_1_0

2020년 6월 9일 (화) 13:15 판


영덕 처인당
영덕 처인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덕 처인당
한자 盈德 處仁堂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인량2길 36 (창수면)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6호
지정일 2018년 8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영덕 처인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처인당은 영덕 영양남씨 문중의 종가에 속했던 건물의 하나이다. 건립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조선후기 유학자인 남필대(南必大, 1608-1666)가 영영남씨 가운데 영양에 처음 들어온 조상인 남수(南須)의 제사를 위해 사용하였다. 이후 후손인 남달만(南達萬, 1713-1784, 호: 처인당)이 자신의 호인 처인당으로 건물 이름을 정했다. 처인당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선무원종공신을 지낸 남율(南慄)을 비롯한 다수의 인물이 배출되었다.

1차 수정

처인당은 영덕 영양남씨 문중의 종가에 속했던 건물의 하나이다. 건립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조선 후기 유학자인 남필대(南必大, 1608~1666)가 영양남씨 가운데 영양 지역에 처음 들어온 조상인 남수(南須)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후 후손인 처인당 남달만(處仁堂 南達萬, 1713~1784)이 자신의 호로 건물 이름을 정했다. 처인당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선무원종공신을 지낸 남율(南慄)을 비롯한 다수의 인물이 배출되었다.

자문의견

2차 수정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