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동의성김씨서지재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701820000 안동 의성...)
 
(영문 해설 내용)
42번째 줄: 42번째 줄: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국가민속문화재]]
 
[[분류:국가민속문화재]]
[[분류:재사]]
+
[[분류:재실]]

2020년 2월 3일 (월) 16:36 판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
Seojijaesa Ritual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Andong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
영문명칭 Seojijaesa Ritual House of the Uiseong Kim Clan, Andong
한자 安東 義城金氏 西枝齋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수내길 8-12 (서지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82호
지정일 1984년 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필지/1,650㎡
웹사이트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지재사는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의 묘제*를 지내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위치는 학봉의 묘소가 있는 동쪽 산기슭의 동남쪽을 바라보는 방향이며, 1700년대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학봉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부제학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경상도 초유사**로 있으면서 죽음을 무릅쓰고 진주성을 지켰다.

재사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5칸이다. 2층 건물의 아래에는 광과 대문간, 외양간 등이 있다. 위에는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가 있는데, 제사를 지낸 후에 음복***하는 장소로 이용하였다고 한다. 특이한 점은 경사지를 이용해 앞면을 2층으로 만든 것이다.


  • 묘제: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 초유사: 난리가 일어났을 때, 백성을 타일러 경계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 음복: 제사를 마치고 제사에 쓴 술이나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일.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