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오죽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종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강릉오죽헌.jpg
 
|사진=강릉오죽헌.jpg
33번째 줄: 32번째 줄:
  
 
====개별====
 
====개별====
강릉 오죽헌은 조선시대 가옥의 별당 건물로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5)이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를 출산한 몽룡실이 있는 곳이다.  
+
강릉 오죽헌은 조선시대 가옥의 별당 건물로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를 출산한 몽룡실이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세종 때 문신인 최치운이 지은 집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은 여덟 팔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건물 좌측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우측 한 칸은 율곡 이이가 태어난 몽룡실이다.  
 
조선시대 세종 때 문신인 최치운이 지은 집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은 여덟 팔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건물 좌측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우측 한 칸은 율곡 이이가 태어난 몽룡실이다.  
  
오죽헌에는 신사임당과 율곡이이의 흔적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어머니와 아들이 직접 가꾸었다는 천연기념물 「오죽헌 율곡매」가 있으며 율곡의 영정을 봉안한 문성사가 있다. 또 어제각에는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율곡유품(벼루, 토지양여서)’이 보관되어 있다. 특히 벼루 뒷면에는 정조대왕이 율곡이이의 학덕을 기리고자 친필로 쓴 글이‘어제어필(御製御筆)’이라는 글자와 함께 새겨져 있다.  
+
오죽헌에는 신사임당과 율곡이이의 흔적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어머니와 아들이 직접 가꾸었다는 천연기념물 「오죽헌 율곡매」가 있으며 율곡의 영정을 봉안한 문성사가 있다. 또 어제각에는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율곡유품(벼루, 토지양여서)’이 보관되어 있다. 특히 벼루 뒷면에는 정조대왕이 율곡이이의 학덕을 기리고자 친필로 쓴 글이 ‘어제어필(御製御筆)’이라는 글자와 함께 새겨져 있다.  
  
강릉 오죽헌은 조선전기 주택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유서깊은 건축물이자 율곡이이 선생이 탄생한 역사적인 장소로서 강릉의 대표적인 국가유산이다,  
+
강릉 오죽헌은 조선전기 주택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유서깊은 건축물이자 율곡이이 선생이 탄생한 역사적인 장소로서 강릉의 대표적인 국가유산이다,
  
 
===영문===
 
===영문===
 
====종합====
 
====종합====
Ojukheon House is the birthplace of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econd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e: Yulgok). The house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the civil official Choe Chi-un (1390-1440), who was one of Yi I's great-great-great grandfathers on his mother's side. The name Ojukheon means “House of the Black Bamboo,” referring to the abundance of bamboo trees growing in the vicinity.  
+
Ojukheon House is the birthplace of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econd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e: Yulgok). Designated as a Treasure, it is an outstanding example of an upper-class house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nd a representative heritage of the Gangneung area.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Sin’s great-great grandfather, the civil official Choe Chi-un (1390-1440), the house was passed down to the sons-in-law of the family, as was a common practice in the early Joseon period. Sin Saimdang, the second of five daughters, often stayed at her childhood home to take care of her mother after her father died in 1522.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quarters, a detached quarters, a royal calligraphy pavilion, and a shrine which are separated by enclosure walls and gates. The main quarters comprises a men's and women's quarters that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entral courtyard. To the right of the main quarters is the detached quarters, named Ojukheon Hall, where Sin Saimdang and Yi I were born. To the left of main quarters is the royal calligraphy pavilion, which was built to house a preface handwritten in 1788 by King Jeongjo (r. 1776-1800) to one of Yi I's books (''The Secret of Expelling Ignorance'', 1577), as well as other items that belonged to Yi I. The shrine, which is located in the courtyard of the detached quarters, was built in 1975 to house Yi I's portrait and is named Munseongsa, or "Shrine of the Literary Sage." Behind the detached quarters, there is also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and Yi.
+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quarters, a royal calligraphy pavilion to the left, and a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o the right. The main quarters comprises a men’s quarters and women’s quarters that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The house’s name Ojukheon, meaning “House of the Black Bamboo” in reference to the abundance of bamboo trees in the vicinity, comes from the name of the detached quarters, Ojukheon Hall, which is where Sin and Yi were both born. Behind the detached quarters, there is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and Yi. The royal calligraphy pavilion was built to house a preface handwritten in 1788 by King Jeongjo (r. 1776-1800) to one of Yi I’s books (''The Secret of Expelling Ignorance'', 1577), as well as other items that belonged to Yi I, while the shrine was built in 1975 to house Yi’s portrait.
  
This house is a notable example of the custom of men inheriting the house of his wife's family, which was common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n this case, the house was passed down from Choe Eung-hyeon (1428-1507), the son of the house's founder, to his son-in-law Yi Sa-on, who then passed it down to his son-in-law Sin Myeong-hwa (1476-1522), who was Sin Saimdang's father. Sin Saimdang, who was the second of five daughters, often stayed at her parents' house to take care of her mother, as her father died just a few months after she married Yi Won-su (1501-1561) in 1522. The house was later passed down to one of her younger sisters' son, Gwon Cheo-gyun, who gave the house its name.
+
====개별====
 
+
This building,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Choe Chi-un (1390-1440), is the eponymous detached quarters of Ohjukheon House. It is here that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e: Yulgok), were born.
Ojukheon House, which is designated as a Treasure, is an outstanding example of an upper-class house of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s a representative heritage of the Gangneung area. Other nearby cultural facilities include Gangneung Municipal Museum, Yulgok Memorial Hall, Gangneung Museum of Money, Yulgok Education Center, and an outdoor exhibition hall.
 
 
 
*Yukgok Memorial Hall / Education Center --> Yi I? 사용중인 영문 이름 찾을 수가 없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개별====
+
Facing east to the right of the main quarters, Ojukheon Hall features a hip-and-gable roof and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It comprises a two-bay wooden-floored hall finished with a traditional Korean parquet on the left and a one-bay underfloor-heated room, which is where Yi I was born, on the right. The room is known as Mongnyongsil, or “Room of the Dragon Dream,” as it is said that Sin Saimdang dreamt of a black dragon rising from the sea and flying into the house before giving birth to Yi I.
Ojukheon Hall,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Choe Chi-un (1390-1440), is the eponymous detached quarters of Ohjukheon House. It is here that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econd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 Yulgok), were born. The name Ojukheon, meaning "House of the Black Bamboo,” was given by Yi I's cousin, Gwon Cheo-gyun, who inherited the house from their maternal grandfather, Sin Myeong-hwa (1476-1522).  
 
  
Located to the right of the main quarters, Ojukheon Hall faces east with its back to the main quarters rather than south as is typical. The building, which features a hip-and-gable roof,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On the left, there is a two-bay wooden-floored hall finished with traditional Korean parquet flooring, while on the right, there is a one-bay underfloor-heated room, which is where Yi I was born. This room is known as Mongnyongsil, or “Room of the Dragon Dream,” as Sin Saimdang is said to have dreamt of a black dragon rising from the sea and flying into their house before giving birth to Yi I. For this reason, Yi I was called Hyeon-ryong, or the "Appearing Dragon ," as a child. The building shares a yard with Munseongsa Shrine, which was built in 1975 to house Yi I's portrait. It also features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known as "Yulgok's Tree" in its back yard, which is 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Saimdang and Yi I.
+
The building shares a yard with Munseongsa Shrine, built in 1975 to hold Yi I’s portrait, and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known as “Yulgok’s Plum Tree,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Saimdang and Yi I.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종합====
 
====종합====
오죽헌은 조선 전기 사대부 저택으로, 뛰어난 화가였던 신사임당(1504-1551)과 그녀의 아들이자 저명한 학자인 이이(1536-1584)태어난 곳이다. 한국 전통 고택의 백미로 꼽히는 유서 깊은 국가유산이자 강릉을 대표하는 역사문화 공간이다.
+
오죽헌은 저명한 예술가 신사임당(1504-1551)과 그녀의 둘째 아들이자 유명한 학자인 이이(1536-1584, 호: 율곡)태어난 곳이다. 보물로 지정된 이곳은 조선 전기 상류층 주택의 뛰어난 예로, 강릉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다. 신사임당의 고조부인 문신 최치운(1390-1440)이 15세기 초에 처음 지었다고 전해지며, 이 집은 조선 초기의 일반적인 관습에 따라 사위들에게 대물림되었다. 신사임당은 다섯 딸 중 둘째로, 1522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종종 그녀의 어린 시절 집에 머물렀다.
 
 
이 집은 문신 최치운(1390-1440)이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하며 그의 아들 최응현(1428-1507)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남자가 결혼을 하면 처가의 재산을 물려받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최응현은 딸과 사위 이사온에게 이 집을 물려주었다. 이후 이사온은 딸과 사위 신명화(1476-1522)에게 다시 집을 물려주었으며, 신명화는 외손인 권처균에게 집을 물려주었다. 권처균은 집주변에 검은 대나무가 많이 자라는 것을 보고 집의 이름을 “검은 대나무의 집”이라는 뜻의 “오죽헌”으로 지었다.
 
 
 
신명화와 이씨 부인은 딸만 다섯을 두었는데 그중 둘째가 신사임당이다. 신사임당은 1522년 이원수(1501-1561)와 결혼하였으나, 결혼 몇달 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를 위해 고향집에서 자주 지냈다. 신사임당의 둘째 아들 이이도 1536년 이 집의 별당에서 태어났다. 신사임당은 검은 용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 들어오는 꿈을 꾸고 이이를 낳았다고 한다. 따라서 별당은 “용꿈을 꾼 방”이라는 뜻의 “몽룡실”로 불리게 되었고, 이이의 어릴적 이름은 “용을 보았다”는 뜻의“현룡”이었다.
 
 
 
오죽헌에는 1577년 이이가 친필로 쓴 『격몽요결』이라는 책이 보관되어 있었다. 1788년 정조(재위 1776-1800)는 이 소식을 듣고 책을 가져오게 하여 직접 본 후 서문을 지어 하사하였다. 현재 오죽헌 경내에는 정조의 글과 이이의 유품을 보관하기 위한 어제각과 이이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가 있고, 신사임당과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는 매화나무(천연기념물)도 있다. 이밖에도 오죽현 주변에는 강릉시립박물관, 율곡기념관, 강릉화폐전시관, 율곡인성교육관, 야외전시장 등 중요 문화시설이 들어서 있다.
 
  
* 국문에 비해 너무 길어지지 않게 좀 줄여도 좋을 것 같아요.
+
이 집은 안채, 왼쪽의 어제각, 오른쪽의 별채와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사랑채와 안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검은 대나무의 집'이라는 뜻의 오죽헌이라는 이름은 집 주변에 대나무가 많다는 점에서 유래했으며, 신사임당과 이이가 태어난 별채인 오죽헌에서 비롯되었다. 별채 뒤에는 신사임당과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고 전해지는 천연기념물 매화나무가 있다. 어제각은 1788년 정조(재위 1776-1800)가 이이의 저서 『격몽요결』의 서문을 직접 써서 보관하기 위해 지었으며, 율곡 이이의 소지품들도 함께 보관되어 있다. 사당은 율곡 이이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1975년에 지어졌다.
  
 
====개별====
 
====개별====
오죽헌은 조선시대 가옥의 별당 건물로 신사임당(1504-1555)이 아들 이이(1536-1584)를 출산한 곳이다. 조선 전기 주택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유서깊은 건축물이자, 대학자 이이가 태어난 역사적인 장소로서 강릉의 대표적인 국가유산이다,
+
이 건물은 최치운(1390-1440)이 15세기 초에 처음 지은 것으로 오죽헌의 별당이다. 이곳은 저명한 예술가 신사임당(1504-1551)과 그녀의 아들인 유명한 학자 이이(1536-1584, 호: 율곡)태어난 곳이다.
 
 
문신 최치운(1390-1440)이 처음 지은 집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건물 왼쪽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오른쪽 한 칸은 이이가 태어난 방이다.  
 
  
오죽헌에는 신사임당과 이이의 흔적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어머니와 아들이 직접 가꾸었다는 매화나무(천연기념물)가 있으며, 이 매화나무는 이이의 호를 따서 율곡매라고 불린다. 어제각에는 벼루 등 이이의 유품이 보관되어 있는데, 벼루 뒷면에는 정조(재위 1776-1800)가 이이의 학덕을 기리고자 친필로 쓴 글이 새겨져 있다. 문성사는 율곡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
안채 오른쪽 동쪽을 바라보며 위치한 오죽헌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전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다. 왼쪽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오른쪽 한 칸은 이이가 태어난 온돌방이다. 방은 “용 꿈을 꾼 방”이라는 뜻의 몽룡실로 알려져 있는데, 신사임당이 이이를 낳기 전에 검은 용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오는 꿈을 꾸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이 건물은 1975년에 율곡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지어진 문성사와 신사임당과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고 전해지는 천연기념물 ‘율곡매’와 함께 하나의 마당을 공유하고 있다.
  
  

2024년 7월 9일 (화) 18:00 기준 최신판

강릉 오죽헌
Ojukheon House, Gangneung
강릉 오죽헌,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강릉 오죽헌
영문명칭 Ojukheon House, Gangneung
한자 江陵 烏竹軒
주소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죽헌동)
국가유산 종목 보물
지정(등록)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탄생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강릉 오죽헌,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종합

오죽헌은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과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가 태어난 조선전기 사대부의 저택이다. 조선 세종 때 문신으로 이조참판을 지낸 최치운이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하며, 그의 아들 최응현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최응현은 딸 강릉최씨와 사위 이사온에게 이 저택을 물려주었고, 이사온은 딸 용인이씨와 사위 신명화에게 물려주었다. 신사임당의 어머니이자 율곡의 외조모인 용인이씨는 남편 신명화 사후 외손인 권처균에게 다시 이 저택을 물려주었다. 저택 뒤뜰에 오죽(검은 대나무)이 자라고 있어 권처균이 당호를 ‘오죽헌’이라 했다.

오죽헌에는 신사임당이 율곡을 낳은 별당인 몽룡실이 있는데, 율곡을 낳기 직전 검은 용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 들어와 서리는 꿈을 꾸었다 해서 몽룡실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때문에 율곡의 어릴 때 이름이 ‘현룡(見龍)’이다.

오죽헌 주변에는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는 천연기념물 ‘오죽헌 율곡매’가 있으며, 경내에는 정조 임금이 율곡의 학덕을 기리고자 직접 보고 글을 하사한 『격몽요결』과 벼루를 보관한 어제각, 율곡 영정을 봉안한 문성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보관‧전시되어 있다. 또한 강릉시립박물관, 율곡기념관, 강릉화폐전시관, 율곡인성교육관, 야외전시장 등 중요 문화시설이 들어서 있다.

오죽헌은 한국 전통 고택의 백미로 꼽히는 유서 깊은 국가유산이자 강릉을 대표하는 역사문화 공간이다.

개별

강릉 오죽헌은 조선시대 가옥의 별당 건물로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를 출산한 몽룡실이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세종 때 문신인 최치운이 지은 집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은 여덟 팔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건물 좌측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우측 한 칸은 율곡 이이가 태어난 몽룡실이다.

오죽헌에는 신사임당과 율곡이이의 흔적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어머니와 아들이 직접 가꾸었다는 천연기념물 「오죽헌 율곡매」가 있으며 율곡의 영정을 봉안한 문성사가 있다. 또 어제각에는 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율곡유품(벼루, 토지양여서)’이 보관되어 있다. 특히 벼루 뒷면에는 정조대왕이 율곡이이의 학덕을 기리고자 친필로 쓴 글이 ‘어제어필(御製御筆)’이라는 글자와 함께 새겨져 있다.

강릉 오죽헌은 조선전기 주택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유서깊은 건축물이자 율곡이이 선생이 탄생한 역사적인 장소로서 강릉의 대표적인 국가유산이다,

영문

종합

Ojukheon House is the birthplace of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econd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e: Yulgok). Designated as a Treasure, it is an outstanding example of an upper-class house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nd a representative heritage of the Gangneung area.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Sin’s great-great grandfather, the civil official Choe Chi-un (1390-1440), the house was passed down to the sons-in-law of the family, as was a common practice in the early Joseon period. Sin Saimdang, the second of five daughters, often stayed at her childhood home to take care of her mother after her father died in 1522.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quarters, a royal calligraphy pavilion to the left, and a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o the right. The main quarters comprises a men’s quarters and women’s quarters that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The house’s name Ojukheon, meaning “House of the Black Bamboo” in reference to the abundance of bamboo trees in the vicinity, comes from the name of the detached quarters, Ojukheon Hall, which is where Sin and Yi were both born. Behind the detached quarters, there is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and Yi. The royal calligraphy pavilion was built to house a preface handwritten in 1788 by King Jeongjo (r. 1776-1800) to one of Yi I’s books (The Secret of Expelling Ignorance, 1577), as well as other items that belonged to Yi I, while the shrine was built in 1975 to house Yi’s portrait.

개별

This building,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y Choe Chi-un (1390-1440), is the eponymous detached quarters of Ohjukheon House. It is here that the prominent artist Sin Saimdang (1504-1551) and her son, the renowned scholar Yi I (1536-1584, pen name: Yulgok), were born.

Facing east to the right of the main quarters, Ojukheon Hall features a hip-and-gable roof and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and two bays in depth. It comprises a two-bay wooden-floored hall finished with a traditional Korean parquet on the left and a one-bay underfloor-heated room, which is where Yi I was born, on the right. The room is known as Mongnyongsil, or “Room of the Dragon Dream,” as it is said that Sin Saimdang dreamt of a black dragon rising from the sea and flying into the house before giving birth to Yi I.

The building shares a yard with Munseongsa Shrine, built in 1975 to hold Yi I’s portrait, and a plum tree (Natural Monument) known as “Yulgok’s Plum Tree,” said to have been personally tended to by Sin Saimdang and Yi I.

영문 해설 내용

종합

오죽헌은 저명한 예술가 신사임당(1504-1551)과 그녀의 둘째 아들이자 유명한 학자인 이이(1536-1584, 호: 율곡)이 태어난 곳이다. 보물로 지정된 이곳은 조선 전기 상류층 주택의 뛰어난 예로, 강릉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다. 신사임당의 고조부인 문신 최치운(1390-1440)이 15세기 초에 처음 지었다고 전해지며, 이 집은 조선 초기의 일반적인 관습에 따라 사위들에게 대물림되었다. 신사임당은 다섯 딸 중 둘째로, 1522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종종 그녀의 어린 시절 집에 머물렀다.

이 집은 안채, 왼쪽의 어제각, 오른쪽의 별채와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사랑채와 안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검은 대나무의 집'이라는 뜻의 오죽헌이라는 이름은 집 주변에 대나무가 많다는 점에서 유래했으며, 신사임당과 이이가 태어난 별채인 오죽헌에서 비롯되었다. 별채 뒤에는 신사임당과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고 전해지는 천연기념물 매화나무가 있다. 어제각은 1788년 정조(재위 1776-1800)가 이이의 저서 『격몽요결』의 서문을 직접 써서 보관하기 위해 지었으며, 율곡 이이의 소지품들도 함께 보관되어 있다. 사당은 율곡 이이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1975년에 지어졌다.

개별

이 건물은 최치운(1390-1440)이 15세기 초에 처음 지은 것으로 오죽헌의 별당이다. 이곳은 저명한 예술가 신사임당(1504-1551)과 그녀의 아들인 유명한 학자 이이(1536-1584, 호: 율곡)가 태어난 곳이다.

안채 오른쪽 동쪽을 바라보며 위치한 오죽헌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전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다. 왼쪽 두 칸은 우물마루로 된 대청이고, 오른쪽 한 칸은 이이가 태어난 온돌방이다. 이 방은 “용 꿈을 꾼 방”이라는 뜻의 몽룡실로 알려져 있는데, 신사임당이 이이를 낳기 전에 검은 용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오는 꿈을 꾸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건물은 1975년에 율곡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지어진 문성사와 신사임당과 이이가 직접 가꾸었다고 전해지는 천연기념물 ‘율곡매’와 함께 하나의 마당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