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영문명칭=Marine Terrace in Jeongdongjin, Gangneung |한자=江陵 正東津...)
 
39번째 줄: 39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곳은 정동진리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계단 형태의 지형으로, 신생대 제3기 말 바다 밑 지면이 해수면 위로 솟아올라 형성되었다.
  
 +
단구 표면은 수평에 가까우며, 절벽인 단구애는 수직 바위이고, 단구의 성분은 적갈색 흙과 모래, 자갈이다. 해수면과 접하는 곳에는 급경사 암벽인 해식애가 있고, 바다 쪽으로 여러 개의 깊은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모두 파도의 침식작용과 관련 있다. 단구의 총 길이는 약 4km, 너비는 약 1km, 높이는 해수면으로부터 75~85m이며, 면적은 45,426㎡이다.
 +
 +
정동진 해안단구는 한반도 지질구조의 발달 과정, 퇴적 환경, 지각 운동, 해수의 침식 작용, 해수면 변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천혜의 자연 학습장이다. 특히 이 지형을 통해 약 200∼250만년 전 한반도의 해수면이 현재보다 약 80m 높은 곳에 위치했으나, 그 후 지반 융기로 인해 현 해수면까지 후퇴했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5월 25일 (토) 16:01 판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Marine Terrace in Jeongdongjin, Gangneung
대표명칭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영문명칭 Marine Terrace in Jeongdongjin, Gangneung
한자 江陵 正東津 海岸段丘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지정일 2004년 4월 9일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지질지형
수량/면적 107,673㎡
웹사이트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정동진 해안단구는 신생대 제3기 말 바다 밑 지면이 해수면 위로 솟아올라 형성되었다.

단구 표면은 수평에 가까우며, 절벽인 단구애는 수직 바위이고, 단구의 성분은 적갈색 흙과 모래, 자갈이다. 해수면과 접하는 곳에는 급경사 암벽인 해식애가 있고, 바다 쪽으로 여러 개의 깊은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모두 파도의 침식작용과 관련 있다.

정동진 해안단구를 통해 약 200∼250만년 전 한반도의 해수면이 현재보다 약 80m 높은 곳에 위치했으나, 그 후 지반 융기로 인해 현 해수면까지 후퇴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질구조의 발달 과정과 퇴적 환경, 지각 운동, 해수의 침식 작용, 해수면 변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천혜의 자연 학습장이다.

단구의 총 길이는 약 4km, 너비는 약 1km, 높이는 해수면으로부터 75~85m이며, 면적은 45,426㎡이다.


  • 해안단구: 해안단구는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계단 형태의 지형으로, 넓고 평평한 표면인 단구면과 그 배후에 나타나는 절벽 모양의 단구애로 구성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정동진리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계단 형태의 지형으로, 신생대 제3기 말 바다 밑 지면이 해수면 위로 솟아올라 형성되었다.

단구 표면은 수평에 가까우며, 절벽인 단구애는 수직 바위이고, 단구의 성분은 적갈색 흙과 모래, 자갈이다. 해수면과 접하는 곳에는 급경사 암벽인 해식애가 있고, 바다 쪽으로 여러 개의 깊은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모두 파도의 침식작용과 관련 있다. 단구의 총 길이는 약 4km, 너비는 약 1km, 높이는 해수면으로부터 75~85m이며, 면적은 45,426㎡이다.

정동진 해안단구는 한반도 지질구조의 발달 과정, 퇴적 환경, 지각 운동, 해수의 침식 작용, 해수면 변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천혜의 자연 학습장이다. 특히 이 지형을 통해 약 200∼250만년 전 한반도의 해수면이 현재보다 약 80m 높은 곳에 위치했으나, 그 후 지반 융기로 인해 현 해수면까지 후퇴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