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백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백야사 |영문명칭= |한자=白冶祠 |주소= |소장처= |지정번호= |지정일= |분류= |소유자...)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백야사
 
|대표명칭=백야사
|영문명칭=
+
|영문명칭=Baegyasa Shrine
 
|한자=白冶祠
 
|한자=白冶祠
 
|주소=
 
|주소=
28번째 줄: 27번째 줄:
  
 
===영문===
 
===영문===
 +
'''Baegyasa Shrine'''
  
 +
Baegyasa Shrine is dedicated to the general Kim Jwa-jin (1889-1930, pen name: Baegya), an educator and prominent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Located in Kim’s hometown of Haengsan-ri Village, the shrine was built in 1997 to enshrine Kim’s portrait. Nearby is a memorial hall built in his honor in 1992, as well as the site of Kim’s birth, which was also reconstructed in 1992.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백야사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좌진(1889-1930, 호: 백야)을 기리는 사당이다. 김좌진의 고향인 행산리에 위치한 백야사는 1997년 김좌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워졌다. 인근에는 1992년에 세워진 기념관과 생가가 있다.
  
  

2024년 5월 21일 (화) 10:36 기준 최신판

백야사
Baegyasa Shrine
대표명칭 백야사
영문명칭 Baegyasa Shrine
한자 白冶祠



해설문

국문

백야사는 구한말~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김좌진장군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며, 백야는 김좌진의 호(號)이다.

김좌진은 1889년 음력 11월 24일, 홍주군 고남면(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태어났다. 1991년부터 이 지역 일대를 김좌진장군 생가지로 성역화하는 사업이 추진되면서 터만 남아 있던 김좌진장군의 생가를 복원하고 전시관을 만들었으며, 1997년에 백야사를 세웠다.

영문

Baegyasa Shrine

Baegyasa Shrine is dedicated to the general Kim Jwa-jin (1889-1930, pen name: Baegya), an educator and prominent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Located in Kim’s hometown of Haengsan-ri Village, the shrine was built in 1997 to enshrine Kim’s portrait. Nearby is a memorial hall built in his honor in 1992, as well as the site of Kim’s birth, which was also reconstructed in 1992.

영문 해설 내용

백야사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좌진(1889-1930, 호: 백야)을 기리는 사당이다. 김좌진의 고향인 행산리에 위치한 백야사는 1997년 김좌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워졌다. 인근에는 1992년에 세워진 기념관과 생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