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울산 오봉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5월 11일 (토) 17:3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대방광불화엄경_권제20(울산_오봉사).png |사진출처= |대표명칭=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 |영문명칭= |한자=大...)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울산 오봉사).png
대표명칭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
한자 大方廣佛華嚴經 卷第二十
지정일 2021년 06월 24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권
웹사이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5,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화엄경』이라고 한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직후 그 경지를 설명하고, 도달하는 방법을 전한 대승불교 경전이다. 한역본(漢譯本)은 권수에 따라 60화엄, 80화엄, 40화엄이 있으며 모두 우리나라에 전해진다.

오봉사 소장 『화엄경』 은 권제 20 목판본으로 두루마리 형태이다. 간기가 누락되어있지만 동일판본과 비교해 볼 때 고려 1244년(고려 고종 31)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재조장경(해인사 재조대장경판)의 판본임을 알 수 있다. 이후 17세기 무렵 인출 한 것으로 보인다.

두루마리 형태지만 권축(卷軸)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종이의 상·하단을 불규칙하게 자른 형태, 독서용 인본보다 얇은 종이의 두께 등으로 볼 때 부피를 작게 만들어 불복장에 납입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