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5월 7일 (화) 02:42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한자 南原 實相寺 片雲和尙塔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지정번호 보물
지정일 2022년 12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시대 신라말기 / 910(후백제)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실상사 경내에서 다소 떨어진 지점에 세워져 있어 스님을 위한 묘탑(墓塔) 성격의 승탑(僧塔)임을 알 수 있다. 탑신 상부에 새겨진 총 24자의 글자를 통하여 신라 최초의 선문 실상산문(實相山門)을 열었던 증각대사(證覺大師)의 제자 편운화상(片雲和尙)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임이 밝혀졌다. 편운화상은 수철화상(秀澈和尙)과 함께 실상사를 중흥시킨 대표적인 승려였다.

이 승탑은 보기 드물게 원형 평면을 적용한 석조물로 주인공과 조성 시기를 알 수 있으며, 후백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정개(正開)라는 연호(年號)가 새겨져 있어 역사와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국가유산이다.

영문

Stupa of Monk Pyeonun of Silsangsa Temple, Namwon

A stupa is a structure built to enshrine the relics or cremated remains of a Buddhist monk.

This stupa was made in 910 as the stupa of monk Pyeonun, an eminent Buddhist mon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Monk Pyeonun was a disciple of Jeunggag (Hongcheok) who founded the Silsang School, one of the nine schools of Korean Seon (Meditation) Buddhism, and h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minent Buddhist monks who helped restore Silsangsa Temple's power.

The typical style of stupas from the late Silla kingdom (57 BCE-935 CE) is octagonal in shape, but this stupa consists of a round base, body stone, roof stone, and a decorative top, which is an unusual shape. The owner and date of creation of the stupa were revealed through the total of 24 charactes inscrib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stone.

영문 해설 내용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시기 위해 세운 탑이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편운화상의 부도로 910년에 조성되었다. 편운화상은 한국 선종의 9개 산문 중 하나인 실상산문을 개창한 증각대사 홍척의 제자로, 실상사를 중흥시킨 대표적인 승려 중 한 명이다.

신라 말 승탑의 전형적인 양식은 팔각 형태인데, 이 승탑은 둥근 받침돌, 몸돌,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진 보기 드문 형태이다. 몸돌 상부에 새겨진 총 24자의 글자를 통해 승탑의 주인공과 조성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