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귀암정사

HeritageWiki
(토론:구암정사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년 국문집필

기존 국문

이 건물은 의성김씨 구미리 입향조인 김근(金近, 1579~1656)의 덕을 기리기 위해 김근의 6대손 김굉(金㙆, 1739~1816)이 조선 정조(正祖) 15년(1791)에 건립하였다. 이 정사는 사주문, 정사,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주문 정면에 3칸 규모의 정사가 있으며, 정사 뒤에는 대문을 두어 사당인 영모사(永慕祠)로 통하게 하였다. 정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우물마루를 깐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이 있다. 대청과 온돌방 사이에 모두 쌍여닫이문을 달았다. 영모사는 정사보다 2년 뒤에 건립한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돌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운 건물이다.

귀암정사의 배치형태는 18세기 이후 강학(講學)공간이 서원으로 확대되어 나가는 과정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수정 국문

초고

구암정사는 의성김씨 중 구미리에 처음 들어와 정착한 입향조 김근(金近, 1579~1656)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으며, 김근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김근은 광해군 7년(1615)에 이곳에 터를 잡았으며, 이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김근의 6대손 김굉(金㙆, 1739~1816)은 정조 15년(1791)부터 4년에 걸쳐 이곳에 정사 건물과 사당인 영모사(永慕祠)를 비롯한 여러 건물을 마련했다고 한다. 후에 서원으로 승격할 것을 염두에 두고 서원과 유사하게 경내 건물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내에는 사주문과 정사, 사당 건물만 남아 있다. 정사는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구조이며, 정조 17년(1793)에 완공된 사당은 담장을 둘러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 서남쪽으로 100m 가량 떨어진 곳에 김근이 살던 옛집의 터에 세워진 생담정사(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50호)가 있다.

1차 수정

구암정사는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근(金近, 1579~1656)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정조 19년(1795)에 지어졌다.

김근은 안동 출신으로 인조 20년(1642)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 구미리로 이주하여 초가를 짓고 은거하였으며, 이후 의성김씨 후손들이 구미리에 대대로 살게 되었다.

김근의 6대손 김굉(金㙆, 1739~1816)은 김근을 기리기 위해 정조 15년(1791)부터 4년에 걸쳐 사당, 강당, 동재와 서재 등 여러 건물을 마련하였다. 후에 서원으로 승격할 것을 염두에 두고 건물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내에는 정문, 정사, 사당인 영모사(永慕祠)만 남아 있다. 정사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을 두었고, 사당은 담장을 둘러 별도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구암정사에서 서남쪽으로 100여 m 떨어진 곳에는 김근이 살던 집터에 세워진 생담정사(경상북도 문화재자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