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Cultivating Rice - Dry Farming

classics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5월 30일 (수) 01:36 판 (새 문서: {{NJ2018 TOC}} =='''Original Script'''== {|class="wikitable" style="width:70%" ! style="width:80%" | Text with Punctuation || style="width:20%" | Text Image |- |○〔乾耕〕:<br/>...)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ngsa jikseol
Table of Contents
  1. Preface
  2. Preparing the Seed Grain
  3. Plowing the Soil
  4. Cultivating Hemp
  5. Cultivating Rice
  6.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7. Cultivating Barnyard Grass
  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9.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10. Cultivating Sesame
  11. Cultivating Buckwheat

Original Script

Text with Punctuation Text Image
○〔乾耕〕:
春旱不可水耕, 宜乾耕。【唯種晩稻】
其法, 耕訖, 以檑木【鄕名: 古音波】打破土塊, 又以木斫【鄕名 所訖羅】 縱橫摩平, 熟治後, 以稻種一斗和熟糞或尿灰一石爲度【作尿灰法: 牛廏外, 作池貯尿, 以穀秸及糠秕之類, 燒爲灰, 用所貯池尿拌均。】, 足種。
驅鳥。【以苗生爲限】
苗未成長, 不可灌水。
雜草生, 則雖旱苗槀, 不可停鋤。【古語曰:「鋤頭自有百本禾。」 老農亦曰: 「苗知人功。」】


08

09

Korean Translation

○ 봄철에 가뭄이 들면 수경(水耕)을 할 것이 아니라, 건경(乾耕)을 해야 한다.이 경우에는 오직 늦벼[晩稻]만 심는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논을) 간 다음 뇌목(檑木)향명(鄕名)으로는 고음파(古音波)이다. 으로 흙덩이를 깨뜨리고, 다시 목작(木斫)향명(鄕名)으로는 소흘라(所訖羅)이다. 으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고른다. 숙치 후, 볍씨 1말에 잘 삭힌 거름[熟糞] 혹은 요회(尿灰) 1섬을 섞고,요회 만드는 법: 외양간 바깥에 웅덩이를 만들어 오줌을 저장한다. 볏짚, 겨, 쭉정이 따위를 태워 만든 재를 웅덩이에 저장한 오줌과 잘 섞는다. 족종(足種) 방식[역주 1]으로 파종한다. (파종한 다음에는) 새를 쫓는다.모가 자랄 때까지 한다. 모가 클 때까지는 물을 대서는 안 된다. 잡초가 자라는 경우에는 가물고 모가 마른 상태이더라도 김매기를 쉬어서는 안 된다.옛말에 '호미 머리에 이삭 백 줄기가 달려있다'고 했고, 늙은 농부들도 말하기를 '모[苗]는 사람의 공(功)을 알아준다'고 했다.


  1. 왼발 뒤꿈치로 흙을 밟아 누르면서 종자를 뿌리고, 오른발로 흙을 덮어 주는 파종 방식.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English Translation

○ If a drought occurs in spring,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practice wet farming, one should practice dry farming.[In this case,] sow only the late-ripening varieties.The method is as follows: after [finishing the] plowing, break the clods with noemok known as goeumpa, and harrow the fields with mokjak known as soheulla. Then, mix one mal [about 18 liters] of rice with one seom [about 180 liters] of aged manure or the mixture of urine and ash,Method of making urine and ash fertilizer:Make a small pool outside the cattle shed to store urine. Burn grain-stalks, bran, chaff and the like into ashes, and mix it with the urine from the poolto plant them using "foot planting" method.<ref group="TN">In the "foot planting" method, a farmer leaves a depressed hole in the soil, using his/her left heel, to throw a seed into the hole. Then, with right foot, dirt is thrown back into the hole to cover the seed. (After planting,) keep the birds away [continuously].until the seedlings start to grow.Do not irrigate the field until the seedlings grow enough. If weeds grows, do not stop hoeing, even if there is a drought and the seedlings wither.There is an old saying: "A hundred rice plants depend on the head of a hoe." Old farmers also said: "Seedlings appreciate a man's efforts [at hoeing]."

Glossary

Noemok

Mokjak

Jokjong

Footnote


Further Reading

  • "늦벼파종",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