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Cultivating Buckwheat

classics
LeeChangSub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5월 30일 (수) 00:52 판 (Glossary)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ngsa jikseol
Table of Contents
  1. Preface
  2. Preparing the Seed Grain
  3. Plowing the Soil
  4. Cultivating Hemp
  5. Cultivating Rice
  6.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7. Cultivating Barnyard Grass
  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9.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10. Cultivating Sesame
  11. Cultivating Buckwheat

Original Script

Text with Punctuation Text Image Text Image
○種蕎麥【鄕名木麥】:
蕎麥趂時爲良。【失時遇霜不收。】
立秋在六月, 則節前三日內, 立秋在七月, 則節後三日內, 乃其時也。
宜荒地。 五月耕之。 得草爛, 六月又耕。 下種時, 又耕之。
種子一斗, 糞灰一石爲度。 【灰小, 則漬種亦可。】 田雖塉薄, 多糞灰, 則可收。
其實半黑半白, 刈之。倒竪, 則皆黑。 其早霜處, 宜早耕, 不必待立秋前後也。
若山林肥厚之地, 火耕撒種, 所收倍常。
○漬種法: 燒牛馬糞爲灰, 以廐池尿盛貯木槽中, 漬蕎麥種半日, 漉出。投灰中, 令灰粘着種子。
油麻。 【本草白油麻, 唐人稱芝麻, 俗所爲眞荏子。】 水蘇子。【俗稱水荏子】


19


20

Korean Translation

○교맥 재배법.향명(鄕名)으로는 목맥(木麥)이다.

○교맥(蕎麥)은 때에 맞추는 게 가장 좋다.때를 놓치거나 서리를 만나면 수확하지 못한다.

황무지[荒地]가 <교맥 재배에> 적당하다. 5월에 밭을 간 후 풀이 무성해지면 6월에 다시 갈며, 종자를 심을 때 또 다시 간다.

종자 1말을 기준으로 분회(糞灰) 1섬을 <섞는 게> 적당하다.분회가 적다면 종자를 적시는 방법도 가능하다. 밭이 척박하더라도 분회가 많으면 수확할 수 있다. 열매가 절반은 검고 절반은 흴 때 베어낸다. 뒤집어 세우면 모두 검어진다.

만약 산림(山林)으로 인해 비옥하고 흙이 두꺼운 땅이라면 화경(火耕)하여 종자를 뿌리는데, 수확이 보통 때의 두 배가 된다.

○종자를 적시는 방법: 소똥․말똥을 태워 재로 만든다. 외양간 웅덩이에 모인 오줌을 나무구유[木槽]에 담고, 교맥 종자를 한나절 동안 <여기에> 담갔다가 걸러낸다. <이것을> 잿속에 던져서 재가 종자에 달라붙도록 만든다.

○유마(油麻).본초(本草)에서는 백유마(白油麻)라고 하고, 중국사람들[唐人]은 지마(芝麻)라고 부르는데, 보통 사람들은 진임자(眞荏子)라고 부른다. 수소자(水蘇子).속칭 수임자(水荏子)이다.


English Translation

○Growing Buckwheat.mokmaek known locally as ○[Planting] buckwheat in time is best.Missing the timing meets frost, preventing harvest. If autumn starts in the sixth month, then [the time to plant is] within three days before the season. If autumn starts in the seventh month, then the time [to plant] is within three days after the season.

Wastelands are appropriate [for planting buckwheat]. After plowing in the fifth month, wait for the grass to grow thick and plow again in the sixth month, and plow again when sowing.

For one mal of seed grain, [mix] one sŏm of manure and ash.If lacking ashes, then drenching the seeds in water is fine.Even if the fields are barren, if there is enough ash, then there can be a harvest.

If half of the grain is black and half is white, then cut it. If turned upright, then all of it will blacken.

In a place with early frost, plowing should be done early, without necessarily waiting for the start of autumn.

If the soil is fertile and dense due to forests, slash-and-burn farming will double the normal harvest.

○Drenching Method of Seed Grain: Burn cow and horse manure to make ashes. With the urine in the pit near the shed, pour it into a wooden trough, soaking and drying the buckwheat seeds [in it] for half a day.

Throw into the ashes and have the ashes adhere to the seeds.

○Yuma.In medicine it is called paekyuma, the Chinese call it chima, and it is commonly called chinimjaSosucha.The vulgar name for it is suimcha

Glossary

"교맥"

  • 한글: 교맥
  • 한자: 蕎麥
  • 영문: Buckwheat
  • 향명
    • 항명 한자: 木麥
    • 항명 한자음: 목맥

이 글에서 교맥은 메밀이다. 종류는 대부분 여름 메밀과 가을 메밀로 나누어지는데, 여름 메밀은 5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파종되고, 가을 메밀은 7월 중에 파종된다. 수확하는 시기는 여름 메밀의 경우 7월 하순이고 가을 메밀은 10월에 수확한다. [1]

관련 사료

  • 清, 郭雲陞 『救荒簡易書』, 권1, 清 光緖二十二年(1896) 郭氏刻本, 救荒月令, 六月條, pp49~50.
    • 蠶六月種

...

    • 大子蕎麥, 六月種. 【九月熟.】
    • 小子蕎麥, 六月種. 【九月熟.】

...

    • 苜蓿菜六月和蕎麥種.
    • 莙薘菜六月和蕎麥種.

...

  • 大子蕎麥, 六月種解. 王象晉羣芳譜曰, 蕎麥一名荍麥·一名烏麥·一名花蕎·一名甜蕎. 莖弱而翹, 然易長易收磨麫如麥. 故曰蕎而與麥同名. 又名甜蕎, 以别苦蕎也. 南北皆有之. 立秋前後下種. 宻種則實多, 稀種則實少. 王禎農書曰, 蕎麥立秋前後種. 宻種則實多, 稀種則實少. 齊民要術曰, 種蕎麥, 立秋前後, 皆十日内種也. 洧曲舊聞曰, 麥備四時之氣, 蕎麥葉靑, 花白, 莖赤, 子黑, 根黄. 亦具五方之色. 然方結實時, 最畏霜. 此時得雨, 則於結實, 尤宜且不成. 霜農家呼爲解, 霜雨雲聞. 洛陽縣老農曰, 立秋後, 聞雷聲, 則百日無霜, 蕎麥可廣種也.
  • 小子蕎麥, 六月種解. 小子蕎麥, 一名京子. 蕎麥一名, 快蕎麥, 六月種之, 比於大子蕎麥,其熟更早也.


"두"

  • 한글: 두
  • 한자: 斗
  • 영문: Du

곡식이나 액체 가루 종류 등의 분량을 측정하는 그릇 및 단위이다. 본래 우리나라에서는 1석(石)을 15말[斗]로 규정하고 있었다. 상고에서 고려 문종시기 이전까지도 말은 단일 제도가 아니었고, 조선 세종 때 단위제 개혁이 일어나 단일 단위로 정형화 된 것이다. 조선 세종 시기 한 말은 5,964 입방 센티미터 이며, 현재는 한 말에 20리터이다. [2]

Footnote

  1. 한국민족대백과사전:메밀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말[斗]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