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Cultivating Ri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n Translation) |
(→Korean Translation) |
||
90번째 줄: | 90번째 줄: | ||
'''벼 심고 키우기 {{원주|한도를 덧붙임}}''' | '''벼 심고 키우기 {{원주|한도를 덧붙임}}''' | ||
− |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재배법으로는 '''수경법'''{{원주|향명 | + |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재배법으로는 '''수경법'''{{원주|향명 수사미}}이 있고, '''건경법'''{{원주|향명 건사미}}이 있고, 또한 '''삽종법'''{{원주|향명 묘종}}이 있다.{{원주|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동일하다.}} |
○ 올벼는 [재배하려면] 가을에 수확한 후에, 수원과 이어져 있는 비옥한 논{{원주|무릇 논은 위쪽에서는 물을 끌어올 수 있어야 하고, 아래쪽에서는 물을 빼낼 수 있어야 한다. 가물면 물을 대고, 비가 오면 물을 빼내는 논이 가장 좋다. 웅덩이에 물이 고이는 논이 그 다음이다. 그런데 오랜 비에 [논이] 진흙뻘이 되면 모가 썩는다.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비만 기다려 농사짓는 논, 이것은 가장 나쁘다.}}을 골라서 간다. | ○ 올벼는 [재배하려면] 가을에 수확한 후에, 수원과 이어져 있는 비옥한 논{{원주|무릇 논은 위쪽에서는 물을 끌어올 수 있어야 하고, 아래쪽에서는 물을 빼낼 수 있어야 한다. 가물면 물을 대고, 비가 오면 물을 빼내는 논이 가장 좋다. 웅덩이에 물이 고이는 논이 그 다음이다. 그런데 오랜 비에 [논이] 진흙뻘이 되면 모가 썩는다.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비만 기다려 농사짓는 논, 이것은 가장 나쁘다.}}을 골라서 간다. | ||
− | 겨울철에 거름을 투입하고{{원주|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혹은 새로운 흙을 투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목작''' {{원주|향명 | + | 겨울철에 거름을 투입하고{{원주|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혹은 새로운 흙을 투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목작''' {{원주|향명 소흘라}}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만든 후, 다시 '''철치파''' {{원주|향명 수수음}}로 흙덩이를 깨뜨려 부드럽게 만든다. |
− |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3일이 지난 후에 건져 내어 '''호천''' {{원주|향명 | + |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3일이 지난 후에 건져 내어 '''호천''' {{원주|향명 빈섬}}에 담아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둔다. |
자주 열어 보아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 자주 열어 보아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 ||
− | 싹의 길이가 2'''푼'''(약 0.4cm) 쯤 자라면 논에다가 골고루 뿌리고 '''판로'''{{원주|향명 | + | 싹의 길이가 2'''푼'''(약 0.4cm) 쯤 자라면 논에다가 골고루 뿌리고 '''판로'''{{원주|향명 번지'}}혹은 '''파로'''로{{원주|향명 밀개}} 씨를 덮어주고 난 뒤에 물을 공급하고 [묘가 자랄 동안에 한해서]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
− |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뺀다. 손으로 김을 매면서{{원주|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철로 된 ''호미''를 사용할 수 없지만 물이 말라 흙이 굳어진 상태에서는 마땅히 | + |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뺀다. 손으로 김을 매면서{{원주|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철로 된 ''호미''를 사용할 수 없지만 물이 말라 흙이 굳어진 상태에서는 마땅히 호미를 써야 한다.}}모와 모 사이의 가느다란 잡초를 뽑고 다시 물을 투입한다. {{원주|매번 물을 빼고 김을 매고 다시 물을 공급하는데 묘가 약할 때에는 물을 얕게, 강할 때에는 깊게 공급한다.}}개천과 같이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은 김을 맨 후에 물을 빼고 뿌리까지 햇볕을 쬘 수 있도록 하고 2일 후에 다시 물을 관개한다. {{원주|바람과 가뭄에 강하게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모의 길이가 반 '''자'''쯤 될 정도로 자라면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원주|모가 이미 강해져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손으로 만져서 부드럽게 만들고, 김매기는 3~4번 하며 [벼의 성장은] 오직 김매기에 달려 있다. | 모의 길이가 반 '''자'''쯤 될 정도로 자라면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원주|모가 이미 강해져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손으로 만져서 부드럽게 만들고, 김매기는 3~4번 하며 [벼의 성장은] 오직 김매기에 달려 있다. | ||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김매기를] 조금이라도 늦춰서는 안 된다. [벼가] 익을 무렵이 되면 물을 뺀다.{{원주|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게 지체된다.}}벼는 잘 떨어지므로 익는 즉시 벤다. |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김매기를] 조금이라도 늦춰서는 안 된다. [벼가] 익을 무렵이 되면 물을 뺀다.{{원주|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게 지체된다.}}벼는 잘 떨어지므로 익는 즉시 벤다. | ||
107번째 줄: | 107번째 줄: | ||
○'''늦벼'''의 '''수경''' | ○'''늦벼'''의 '''수경''' | ||
− |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간다. '''거름'''을 넣거나 흙을 넣는 것은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올해 흙을 넣었다면 내년에는 거름을 넣거나 잡초를 넣는 방식으로 교대한다.}}흙이 진흙투성이거나 푸석푸석하거나 찬물 기운이 있다면 완전히 새 흙이나 '''사토'''를 채워 넣는다. [토질이] 척박하다면 소똥, 말똥 및 가지에 달린 '''갈잎''' {{원주|향명 | + |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간다. '''거름'''을 넣거나 흙을 넣는 것은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올해 흙을 넣었다면 내년에는 거름을 넣거나 잡초를 넣는 방식으로 교대한다.}}흙이 진흙투성이거나 푸석푸석하거나 찬물 기운이 있다면 완전히 새 흙이나 '''사토'''를 채워 넣는다. [토질이] 척박하다면 소똥, 말똥 및 가지에 달린 '''갈잎''' {{원주|향명 가을초}}을 깔아주는데, '''인분''', '''누에똥잠사'''도 좋다.{{원주|다만 많이 구하는 것이 어렵다.}}'''3월 상순'''에서 '''망종''' 사이에 다시 간다. {{원주|대체로 망종보다 늦게 갈고 파종하면 [수확이] 부실하다.}}종자 담그기, 파종하기, 종자 덮기, 물대기, 김매기 방법은 모두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원주|'''6월 보름''' 이전에 3번 김매는 것이 가장 좋다. 6월 이내에 3번 김매는 것이 그 다음이다. 여기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가장 나쁘다.}} |
− | ○ 봄철에 가뭄이 들면 '''수경'''을 할 것이 아니라, '''건경'''을 해야 한다.{{원주|이 경우에는 오직 '''늦벼'''만 심는다.}}그 방법으로는 [먼저 논을] 간 다음 '''뇌목'''{{원주|향명 | + | ○ 봄철에 가뭄이 들면 '''수경'''을 할 것이 아니라, '''건경'''을 해야 한다.{{원주|이 경우에는 오직 '''늦벼'''만 심는다.}}그 방법으로는 [먼저 논을] 간 다음 '''뇌목'''{{원주|향명 고음파}}으로 흙덩이를 깨뜨리고, 다시 '''목작'''{{원주|향명 소흘라}}으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고른다. '''숙치''' 후, 볍씨 1'''말'''에 잘 삭힌 '''거름''' 혹은 '''요회'''를 섞고,{{원주|요회 만드는 법: 외양간 바깥에 웅덩이를 만들어 오줌을 저장한다. '''볏짚''', '''겨''', '''쭉정이''' 따위를 태워 만든 재를 웅덩이에 저장한 오줌과 잘 섞는다.}}'''족종''' 방식<ref group="역주">왼발 뒤꿈치로 흙을 밟아 누르면서 종자를 뿌리고, 오른발로 흙을 덮어 주는 파종 방식.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273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으로 파종한다. [파종한 다음에는] 새를 쫓는다.{{원주|모가 자랄 때까지 한다.}}모가 클 때까지는 물을 대서는 안 된다. 잡초가 자라는 경우에는 가물고 모가 마른 상태이더라도 김매기를 쉬어서는 안 된다.{{원주|옛말에 '호미 머리에 이삭 백 줄기가 달려있다'고 했고, 늙은 농부들도 말하기를 '모는 사람의 공을 알아준다'고 했다.}} |
○'''묘종법''' | ○'''묘종법''' | ||
'''모내기'''로 재배하는 방법은 물이 있는 논을 갈되 비록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 사이에 갈 수 있으며 논마다 10분의 1은 모를 기르고 나머지 10분의 9는 모를 심도록 헤아린다.{{원주|모를 뽑고 나면 못자리에도 아울러 모를 심는다.}} | '''모내기'''로 재배하는 방법은 물이 있는 논을 갈되 비록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 사이에 갈 수 있으며 논마다 10분의 1은 모를 기르고 나머지 10분의 9는 모를 심도록 헤아린다.{{원주|모를 뽑고 나면 못자리에도 아울러 모를 심는다.}} | ||
− | 먼저 못자리로 할 곳을 갈아 방법대로 잘 다스리고 물을 뺀 다음 '''연한 버들가지'''를 잘게 썰어서 두껍게 편 다음 발로 밟아 넣고 흙을 볕에 쪼여 말린 후에 물을 댄다. 우선 '''볍씨'''를 3일 동안 담갔다가 걸러내서 | + | 먼저 못자리로 할 곳을 갈아 방법대로 잘 다스리고 물을 뺀 다음 '''연한 버들가지'''를 잘게 썰어서 두껍게 편 다음 발로 밟아 넣고 흙을 볕에 쪼여 말린 후에 물을 댄다. 우선 '''볍씨'''를 3일 동안 담갔다가 걸러내서 '''호천'''{{원주|향명 빈섬}}에 넣고, 하루 뒤에 파종한 다음 '''판로'''{{원주|향명 번지}}로 볍씨를 덮는다. |
모가 한 줌 이상 자라서 옮겨 심을 수 있게 되면, 먼저 모를 심을 곳을 간 다음에 '''갈잎'''{{원주|향명 ''가을초''}}이나 '''소똥․말똥'''을 깐다. 모를 옮겨 심을 무렵에 다시 농법대로 갈되 흙이 아주 부드럽게 되도록 잘 간다. [옮겨 심는] 1'''''과''''' 당 4~5모가 넘지 않도록 하고, 흙에 착근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너무 깊게 물을 대서는 안 된다.{{원주|이 방법은 제초에는 편리하지만, 만의 하나 크게 가물면 실수하게 되니, 농가의 위기이다.}} | 모가 한 줌 이상 자라서 옮겨 심을 수 있게 되면, 먼저 모를 심을 곳을 간 다음에 '''갈잎'''{{원주|향명 ''가을초''}}이나 '''소똥․말똥'''을 깐다. 모를 옮겨 심을 무렵에 다시 농법대로 갈되 흙이 아주 부드럽게 되도록 잘 간다. [옮겨 심는] 1'''''과''''' 당 4~5모가 넘지 않도록 하고, 흙에 착근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너무 깊게 물을 대서는 안 된다.{{원주|이 방법은 제초에는 편리하지만, 만의 하나 크게 가물면 실수하게 되니, 농가의 위기이다.}} | ||
− | ○벼의 품종은 아주 많지만 대체로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특별한 품종이 있으니 | + | ○벼의 품종은 아주 많지만 대체로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특별한 품종이 있으니 '''한도'''{{원주|향명 메벼}}라고 부른다. |
높은 지대의 토지나 찬물 기운이 있는 토지에도 두루 적합하다. 하지만 토지가 너무 건조하면 자라지 않는다. | 높은 지대의 토지나 찬물 기운이 있는 토지에도 두루 적합하다. 하지만 토지가 너무 건조하면 자라지 않는다. | ||
'''2 월 상순'''에 갈고, 다시 '''3 월 상순'''에서 '''중순''' 사이에 갈아서 '''이랑'''을 만든다. | '''2 월 상순'''에 갈고, 다시 '''3 월 상순'''에서 '''중순''' 사이에 갈아서 '''이랑'''을 만든다. | ||
'''발로 밟으면서 파종'''한 후에는 '''이랑''' 등을 밟아 단단하게 만든다. 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제거하여 흙으로 [모를] 덮지 않도록 한다.만약 척박하다면 [볍씨를] 잘 삭힌 '''거름''' 혹은 '''뇨회'''와 섞어 심는다. | '''발로 밟으면서 파종'''한 후에는 '''이랑''' 등을 밟아 단단하게 만든다. 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제거하여 흙으로 [모를] 덮지 않도록 한다.만약 척박하다면 [볍씨를] 잘 삭힌 '''거름''' 혹은 '''뇨회'''와 섞어 심는다. | ||
− | 또는 | + | 또는 '''한도''' 2 '''푼'''․'''찰기장''' 2 '''푼'''․'''팥''' 1 '''푼'''을 섞어서 심는다.{{원주|대체로 여러 종자를 섞어서 심는 방식은 해에 따라 홍수․가뭄이 있고 '''9곡'''도 해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혼합하여 심게 되면 농사를 완전히 망치지는 않게 되기 때문이다.}} |
---- | ---- |
2018년 6월 16일 (토) 04:42 판
Nongsa jikseol | |
---|---|
Table of Contents | |
Contributor: Jeeeun Kwon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ion Editing)
Contributor: Lyndsey Twining (English Translation Editing)
목차
Original Script
Text with Punctuation | Text Image | ||||||
---|---|---|---|---|---|---|---|
種稻 附 旱稻
稻種有早有晩。 耕種法有水耕【鄕名: 水沙彌】有乾耕【鄕名: 乾沙彌】, 又有揷種【鄕名: 苗種】。 除草之法, 則大抵皆同。 ○早稻: 秋收後, 擇連水源肥膏水田,【凡水田, 上可以引水, 下可以決去。 旱則灌之, 雨則洩之者, 爲上。 洿下渟水處, 次之, 然久雨泥渾, 則苗腐。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耕之。 冬月入糞。【正月氷解, 耕之入糞。或入新土亦得。】 二月上旬又耕之。 以木斫【鄕名: 所訖羅】縱橫摩平, 復以鐵齒擺【鄕名: 手愁音】打破土塊令熟。 先以稻種漬水, 經三日漉出, 納蒿篅中【鄕名: 空石】, 置溫處。 頻頻開視, 勿致鬱浥。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以板撈【鄕名: 翻地】或把撈【鄕名: 推介】覆種。 灌水驅鳥。【以苗生爲限】 苗生二葉, 則去水, 以手耘。【苗弱, 不可用鋤。 然水渴土强, 則當用鋤。】 去苗間細草, 訖又灌水。【每去水而耘, 耘訖灌之。 苗弱時宜淺, 苗强時宜深。】 如川水連通, 雖旱不渴處, 則每耘訖決去水, 曝根二日, 後還灌水。【耐風與旱】 苗長半尺許, 又耘以鋤。【苗强, 可以用鋤。】 耘時, 以手挼軟苗間土面。 耘至三四度,【禾穀成長, 唯賴鋤功。 且旱稻性速, 不可小緩。】 將熟去水。【有水, 則熟遲。】 早稻善零, 隨熟隨刈。 ○晩稻水耕: ○春旱不可水耕, 宜乾耕。【唯種晩稻】 ○苗種法: 擇水田, 雖遇旱不乾處。 二月下旬至三月上旬可耕。 每水田十分, 以一分養苗, 餘九分以擬裁苗。 【拔苗訖, 幷裁養苗處。】 先耕養苗處如法, 熟治去水, 剉柳枝軟梢厚布, 訖足踏之。 曝土令乾, 後灌水。 先漬稻種三日, 漉入蒿篅【鄕名: 空石】。 經一日下種, 後以板撈【鄕名: 翻地】覆種。 苗長一握以上, 可移裁之。 先耕苗種處, 布杼葉【鄕名: 加乙草】或牛馬糞。 臨移裁時, 又耕之如法, 熟治, 令土極軟。 每一科裁不過四五苗。 根未着土, 灌水不可令深。【此法, 便於除草, 萬一大旱, 則失手, 農家之危事也。】 ○稻種甚多。大抵皆同, 別有一種, 曰旱稻【鄕名: 山稻】。 徧宜於高地及水冷處, 然土大燥則不成。 二月上旬耕之。 三月上旬至中旬, 又耕之, 作畝足種。訖踏畝背令堅。 耘時, 去苗間土勿擁。地若瘠薄, 和熟糞或尿灰,種之。 或旱稻二分、稷二分、小豆一分, 相和而種。【大抵雜種之術, 以歲有水旱。 九穀隨歲異宜, 故交種, 則不至全失。】。 |
|
Korean Translation
벼 심고 키우기 한도를 덧붙임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재배법으로는 수경법향명 수사미 이 있고, 건경법향명 건사미 이 있고, 또한 삽종법향명 묘종 이 있다.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동일하다.
○ 올벼는 [재배하려면] 가을에 수확한 후에, 수원과 이어져 있는 비옥한 논무릇 논은 위쪽에서는 물을 끌어올 수 있어야 하고, 아래쪽에서는 물을 빼낼 수 있어야 한다. 가물면 물을 대고, 비가 오면 물을 빼내는 논이 가장 좋다. 웅덩이에 물이 고이는 논이 그 다음이다. 그런데 오랜 비에 [논이] 진흙뻘이 되면 모가 썩는다.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비만 기다려 농사짓는 논, 이것은 가장 나쁘다. 을 골라서 간다.
겨울철에 거름을 투입하고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혹은 새로운 흙을 투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목작 향명 소흘라 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만든 후, 다시 철치파 향명 수수음 로 흙덩이를 깨뜨려 부드럽게 만든다.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3일이 지난 후에 건져 내어 호천 향명 빈섬 에 담아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둔다.
자주 열어 보아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싹의 길이가 2푼(약 0.4cm) 쯤 자라면 논에다가 골고루 뿌리고 판로향명 번지' 혹은 파로로향명 밀개
씨를 덮어주고 난 뒤에 물을 공급하고 [묘가 자랄 동안에 한해서]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뺀다. 손으로 김을 매면서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철로 된 호미를 사용할 수 없지만 물이 말라 흙이 굳어진 상태에서는 마땅히 호미를 써야 한다. 모와 모 사이의 가느다란 잡초를 뽑고 다시 물을 투입한다. 매번 물을 빼고 김을 매고 다시 물을 공급하는데 묘가 약할 때에는 물을 얕게, 강할 때에는 깊게 공급한다. 개천과 같이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은 김을 맨 후에 물을 빼고 뿌리까지 햇볕을 쬘 수 있도록 하고 2일 후에 다시 물을 관개한다. 바람과 가뭄에 강하게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의 길이가 반 자쯤 될 정도로 자라면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모가 이미 강해져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손으로 만져서 부드럽게 만들고, 김매기는 3~4번 하며 [벼의 성장은] 오직 김매기에 달려 있다.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김매기를] 조금이라도 늦춰서는 안 된다. [벼가] 익을 무렵이 되면 물을 뺀다.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게 지체된다. 벼는 잘 떨어지므로 익는 즉시 벤다.
○늦벼의 수경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간다. 거름을 넣거나 흙을 넣는 것은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올해 흙을 넣었다면 내년에는 거름을 넣거나 잡초를 넣는 방식으로 교대한다. 흙이 진흙투성이거나 푸석푸석하거나 찬물 기운이 있다면 완전히 새 흙이나 사토를 채워 넣는다. [토질이] 척박하다면 소똥, 말똥 및 가지에 달린 갈잎 향명 가을초 을 깔아주는데, 인분, 누에똥잠사도 좋다.다만 많이 구하는 것이 어렵다. 3월 상순에서 망종 사이에 다시 간다. 대체로 망종보다 늦게 갈고 파종하면 [수확이] 부실하다. 종자 담그기, 파종하기, 종자 덮기, 물대기, 김매기 방법은 모두 올벼 재배법과 동일하다. 6월 보름 이전에 3번 김매는 것이 가장 좋다. 6월 이내에 3번 김매는 것이 그 다음이다. 여기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가장 나쁘다.
○ 봄철에 가뭄이 들면 수경을 할 것이 아니라, 건경을 해야 한다.이 경우에는 오직 늦벼만 심는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논을] 간 다음 뇌목향명 고음파
으로 흙덩이를 깨뜨리고, 다시 목작향명 소흘라
으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고른다. 숙치 후, 볍씨 1말에 잘 삭힌 거름 혹은 요회를 섞고,요회 만드는 법: 외양간 바깥에 웅덩이를 만들어 오줌을 저장한다. 볏짚, 겨, 쭉정이 따위를 태워 만든 재를 웅덩이에 저장한 오줌과 잘 섞는다.
족종 방식[역주 1]으로 파종한다. [파종한 다음에는] 새를 쫓는다.모가 자랄 때까지 한다.
모가 클 때까지는 물을 대서는 안 된다. 잡초가 자라는 경우에는 가물고 모가 마른 상태이더라도 김매기를 쉬어서는 안 된다.옛말에 '호미 머리에 이삭 백 줄기가 달려있다'고 했고, 늙은 농부들도 말하기를 '모는 사람의 공을 알아준다'고 했다.
○묘종법
모내기로 재배하는 방법은 물이 있는 논을 갈되 비록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 사이에 갈 수 있으며 논마다 10분의 1은 모를 기르고 나머지 10분의 9는 모를 심도록 헤아린다.모를 뽑고 나면 못자리에도 아울러 모를 심는다.
먼저 못자리로 할 곳을 갈아 방법대로 잘 다스리고 물을 뺀 다음 연한 버들가지를 잘게 썰어서 두껍게 편 다음 발로 밟아 넣고 흙을 볕에 쪼여 말린 후에 물을 댄다. 우선 볍씨를 3일 동안 담갔다가 걸러내서 호천향명 빈섬 에 넣고, 하루 뒤에 파종한 다음 판로향명 번지 로 볍씨를 덮는다. 모가 한 줌 이상 자라서 옮겨 심을 수 있게 되면, 먼저 모를 심을 곳을 간 다음에 갈잎향명 가을초 이나 소똥․말똥을 깐다. 모를 옮겨 심을 무렵에 다시 농법대로 갈되 흙이 아주 부드럽게 되도록 잘 간다. [옮겨 심는] 1과 당 4~5모가 넘지 않도록 하고, 흙에 착근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너무 깊게 물을 대서는 안 된다.이 방법은 제초에는 편리하지만, 만의 하나 크게 가물면 실수하게 되니, 농가의 위기이다.
○벼의 품종은 아주 많지만 대체로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특별한 품종이 있으니 한도향명 메벼 라고 부른다. 높은 지대의 토지나 찬물 기운이 있는 토지에도 두루 적합하다. 하지만 토지가 너무 건조하면 자라지 않는다. 2 월 상순에 갈고, 다시 3 월 상순에서 중순 사이에 갈아서 이랑을 만든다. 발로 밟으면서 파종한 후에는 이랑 등을 밟아 단단하게 만든다. 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제거하여 흙으로 [모를] 덮지 않도록 한다.만약 척박하다면 [볍씨를] 잘 삭힌 거름 혹은 뇨회와 섞어 심는다. 또는 한도 2 푼․찰기장 2 푼․팥 1 푼을 섞어서 심는다.대체로 여러 종자를 섞어서 심는 방식은 해에 따라 홍수․가뭄이 있고 9곡도 해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혼합하여 심게 되면 농사를 완전히 망치지는 않게 되기 때문이다.
English Translation
Cultivating Rice Including Upland Rice
There are early-sowing varieties and late-sowing varieties. As for cultivation and sowing methods, there are wet farming Its common name is musalmi, dry farming Its common name is mareunsami, and transplanting seedlings Its common name is myojong. The weeding method is generally the same for all varieties.
○ For the early-sowing variety, after the autumn harvest, choose the most fertile wet fields with an accessible source of water In general, terraced paddy fields should be irrigated from above and drained below. The best (fields) are those that can be irrigated during droughts and drained during the rain. The second (best) are those where still water collects on the low ground. However, long rains may make the water sludgy and turbid, causing the seedlings to rot. The worst are those on high ground where farming is only possible when it rains. and plow them.
In the winter months, apply manure (onto the fields). When the (spring) thaw occurs in the first (lunar) month, plow the fields and apply manure, or alternatively, bring in new soil. Then, plow again in the first week[EN 1] of the second month. With a mokjak Its common name is soheulla, harrow the soil lengthwise and breadthwise. Then again, with a cheolchipa commonly called susueum, break up the clods of soil to make it ready (for planting).
Before sowing the seeds, soak them in water. After three days, take them out to drain, put them inside a hocheon Its common name is binseom or gongseom, and store in a warm place. Frequently open (the hocheon)] and check (the seeds), making sure they do not become damp and smelly.
When the sprouts become two bun [EN 2] long, place them evenly in the paddies and cover the them (with soil) using a pallo Its common name is beonji or a paro Its common name is chugae or milgae. Then, irrigate the fields and keep the birds out (until the seedlings grow).
When the seedlings sprout two leaves, drain the water (from the paddy). After completely removing by hand (the tiny weeds) The seedlings are fragile so a homi cannot be used. However, if the water evaporates and the soil firms up, a homi should be used. between the seedlings, irrigate again. Drain the water each time before weeding. Once weeding is complete, irrigate it. While the seedlings are still young and fragile, irrigate lightly, and when the seedlings are mature and strong, irrigate heavily. If the field has a constant source of water such as a stream, so that it does not dry out even in drought, then every time weeding is completed, drain the water, and expose the base (of the plant) to the sunlight. After two days, restart irrigation so (the plants) withstand wind and drought.
When the seedlings grow to about half a cheok[EN 3], weed again with a homi The seedlings are firmly rooted, so using a homi is allowed. When weeding, use your hands to gently rub the soil surface between the seedlings. Weed up to three or four times. The growth of the plants depends solely on weeding. Moreover, the early-sowing variety grows quickly by nature, so the slightest delay in weeding is not allowed. When the plant is about to ripen, drain the water. If the water remains, it delays the ripening.
The grain of early-sowing varieties is prone to drop (from the ear), so harvest it as soon as it is ripe.
○ For wet farming of late-sowing varieties:
Plow the fields when the (spring) thaw occurs in the first (lunar) month.
As for applying manure and bringing in new soil, follow the same method prescribed for the early-sowing varieties. If new soil is brought in this year, then apply manure or spread weeds the following year, and alternate them. If the soil is muddy or crumbly, or the subsoil water is cold, then bring in new soil or sod. If the soil is infertile and barren, then spread cattle and horse manure and oak stems with leaves Its common name is gaeulcho.. Night soil and silkworm droppings are also good. But they are difficult to procure in large amount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week[EN 4] of the third month and Grain in Ear[EN 5], plow the fields again (and sow the seeds). In general, plowing and sowing after Grain in Ear brings poor harvest.
Soaking seeds, sowing seeds, covering seeds, irrigating water, and weeding methods are all the same as for early-sowing varieties. Weeding three times by the middle of the sixth month is best. Weeding three times by the (end of) the sixth month is the second best. Not doing even this amount of weeding is the worst.
○ If a drought occurs in spring,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practice wet farming, one should practice dry farming. (In this case), sow only the late-sowing varieties.
The method is as follows:
After plowing, break the clods with noemok Its common name is goeumpa, and harrow the fields with a mokjak. Its common name is soheulla.
After preparing the soil in this way, mix one mal [EN 6] of rice with one seom [EN 7] of aged manure or a mixture of urine and ash.
Urine and ash fertilizer making method: Dig a small pool outside the cow stable to store urine. Burn stalks, bran, chaff and the like into ashes, and mix it with the urine from the pool)
Plant (the seeds) using the foot sowing method.[EN 8] (After sowing,) (continue to) keep the birds away until the seedlings start to grow. Do not irrigate the field until the seedlings grow enough.
If weeds grow, do not cease weeding (with a homi), even if there is a drought and the seedlings wither. There is an old saying that "A hundred rice plants depend on the head of a homi." Old farmers also said, "Seedlings appreciate a man's efforts (at weeding)."
○ Transplanting Method:
Select wet fields where the seedlings will not become dry, even in the case of a drought.
Plowing should be done between the last week[EN 9] of the second (lunar) month and the first week of the third month.
Each paddy field is divided into ten parts: One part is for raising the seedlings and the other nine parts are for (transplanting) the seedlings. When the seedlings have completely been picked (and transplanted into the other nine parts), also transplant them into the part where the seedlings were raised.
First, plow the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ill be grown according to the plowing method (mentioned previously), make the soil soft and levelled, and drain the water. Chop the soft ends of willow branches. Spread them thickly all over the fields and then stamp them underfoot. Let the soil dry completely under the sun and (then) irrigate the field.
First, soak the seeds for three days. Then, put them in a hocheon Its common name is binseom to drain. After one day, plant the seeds in the soil and cover them (with soil) using a panno. {{Original Commentary|Its common name is beonji.)
When the seedlings have grown taller than the height of one's fist, they are able to be transplanted, First, plow the place where the seedlings will be transplanted. Then, spread the oak branches with leaves Its common name is gaeulcho or cow or horse manure. When it is time to transplant the seedlings, plow again according to the method (mentioned previously) to make the soil loose and level, making it extremely soft. Plant four or five seedlings for each transplantation. Since they have not yet taken root, do not irrigate them deeply. This method is convenient for weeding, in case of severe drought the crops will be lost, which is a matter of risk for the farm.
○ Though there are many varieties of rice, in general they are all alike. (However,) there is a special variety called hando. Its common name is mebyeo.
Highlands and locations with sources of cold water are all appropriate (for this variety). However, if the soil is too dry, then this variety cannot grow.
Plow the soil in the first week[EN 10] of the second (lunar) month, then plow aga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eek of the third month. Then, make ridges.
After finishing sowing by using the foot sowing method, stamp down the ridges, making them hard.
When weeding, remove the soil around the sprouts to prevent them from being covered by soil.
If the soil is barren, mix (the seeds) with aged manure or ash and urine fertilizer and sow them. Alternatively, mix two parts hando seeds with two parts barnyard grass seeds and one part red beans and sow them. In general, this technique of mixing seeds and sowing them is (to prevent the loss of crops even in) years of flood or drought. As which of the nine grains will be appropriate for the following year's (weather conditions) differs, mixing seeds and sowing them helps prevent a total loss.
- ↑ A lunar month has three weeks of 10 days each.
- ↑ Two bun is approx. 0.4 cm
- ↑ Half a cheok is approx. 10 cm
- ↑ A lunar month has three weeks of 10 days each.
- ↑ "Grain in Ear," or Mangjong, refers to a solar term which usually falls at the beginning of the fifth lunar month.
- ↑ One mal is approx. 18 liters
- ↑ One seom is approx. 180 liters
- ↑ In the "foot sowing" method, a farmer leaves a depressed hole in the soil, using his/her left heel, to throw a seed into the hole. Then, with right foot, dirt is thrown back into the hole to cover the seed.
- ↑ A lunar month has three weeks of 10 days each.
- ↑ A lunar month has three weeks of 10 days each.
Glossary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