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2018 Glossary - Method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ChangSub (토론 | 기여) (→Winnowing) |
LeeChangSub (토론 | 기여) (→Making urine and ash fertilizer)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J2018 TOC}} | {{NJ2018 TOC}} | ||
− | {{Contribution |contributor=LeeChangSub | + | {{Contribution |contributor=LeeChangSub}} |
− | ==Farming Technic== | + | =='''Farming Technic'''== |
− | === | + | ===To plow or to till===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耕 | |Hanja=耕 | ||
|Hangeul=갈다 | |Hangeul=갈다 | ||
− | |RR= | + | |RR=gyeong |
− | |MR= | + | |MR=kyŏ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땅을 뒤엎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 땅을 뒤엎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 ||
− | |||
− | |||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밭갈이의 이유로 굳거나 풀어진 흙의 물리성을 바꾸고, 습하거나 메마른 흙의 수분조건을 바꾸며 걸거나 헤식은 땅의 비옥도를 바꾸기 위함이다. 또한 밭갈이로 풀을 깨끗이 제거해 주면 토양의 단립화(團粒化)와 비옥화(肥玉化)가 이루어진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agriculture/agriculture-view.view?artNo=0130100000009 밭갈이 원리와 조파법]", 한국전통지식포탈.</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Hemp|Cultivating Hemp]] | ||
+ | |||
+ | ===To plow lengthwise===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耕...縱... | |Hanja=耕...縱... | ||
|Hangeul=세로로 갈다 | |Hangeul=세로로 갈다 | ||
− | |RR= | + | |RR=gyeong...jong... |
− | |MR= | + | |MR=kyŏng...jo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40번째 줄: | 45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밭을 갈 때 세로로 가는 것이다. | 밭을 갈 때 세로로 가는 것이다.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 | |
+ | 밭갈이를 할 때 방향에 따라 두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세로로 가는 방법을 말한다. 이 동작이 이루어져야 밭이 평평하게 되어 농사짓기에 편해진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agriculture/agriculture-view.view?artNo=0160100000004 밭갈이]", 한국전통지식포탈.</ref> | ||
− | === | + | '''Related Article''' |
+ | *[[NJ2018 Cultivating Hemp|Cultivating Hemp]] | ||
+ | |||
+ | ===To plow breathwise===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耕...橫... | |Hanja=耕...橫... | ||
|Hangeul=가로로 갈다 | |Hangeul=가로로 갈다 | ||
− | |RR= | + | |RR=gyeong...hoeng... |
− | |MR= | + | |MR=kyŏng...hoe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63번째 줄: | 72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밭을 갈 때 가로로 가는 것이다. | 밭을 갈 때 가로로 가는 것이다.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 = | + | 밭갈이를 할 때 방향에 따라 두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가로로 가는 방법을 말한다. 이 동작이 이루어져야 밭이 평평하게 되어 농사짓기에 편해진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agriculture/agriculture-view.view?artNo=0160100000004 밭갈이]", 한국전통지식포탈.</ref>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Hemp|Cultivating Hemp]] | ||
+ | |||
+ | ===Winnowing===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簸揚 | |Hanja=簸揚 | ||
|Hangeul=키로 까불다 | |Hangeul=키로 까불다 | ||
− | |RR= | + | |RR=payang |
− | |MR= | + | |MR=p'aya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83번째 줄: | 96번째 줄: | ||
|Common Name RR= | |Common Name RR= | ||
|Common Name MR=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 | + | |If Alternate= |
− | |Alternate terms= | +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곡식의 껍질이나 껍찔만 있는 쭉정이를 곡식과 분리하는 행동 | 곡식의 껍질이나 껍찔만 있는 쭉정이를 곡식과 분리하는 행동 | ||
− | + | '''Explanation''' | |
− | |||
− | === | + |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가볍고 불량한 종자는 날려버리고 무거운 종자만 채취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쭉정이가 날라가고 튼실한 종자만 남는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menuId=PS00064&searchWord=%EB%82%A0%EB%A0%A4%EA%B3%A0%EB%A5%B4%EA%B8%B0&totalSearchYn=Y 날려고르기]", 농업용어사전.</ref> |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Preparing the Seed Grain|Preparing the Seed Grain]] | ||
+ | |||
+ | ===Weeding===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 鋤 | |Hanja= 鋤 | ||
|Hangeul=김매기 | |Hangeul=김매기 | ||
− | |RR= | + | |RR=gimmaegi |
− | |MR= | + | |MR=kimmaegi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110번째 줄: | 126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 | 논밭에서 잡초 및 필요없는 식물을 제거하는 행위 | |
− | |||
− | |||
−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 |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잡초를 없애는 관리 작업을 말한다. 넓게는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는 의미로 쓰일때도 있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Weeding&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Weeding 김매기]", 농업용어사전.</ref> |
− | [[NJ2018 Cultivating Rice | + | '''Related Article'''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NJ2018 Cultivating Hemp|Cultivating Hemp]] | ||
− | === | + | ===Multiple cropping===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多毛作 | |Hanja=多毛作 | ||
|Hangeul=다모작 | |Hangeul=다모작 | ||
− | |RR= | + | |RR=damojak |
− | |MR= | + | |MR=tamojak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144번째 줄: | 154번째 줄: | ||
|Alternate terms=Double cropping | |Alternate terms=Double cropping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한 논에 여러번 경작하거나, 여러 종류의 곡식을 같은 시기에 심는 방법. | 한 논에 여러번 경작하거나, 여러 종류의 곡식을 같은 시기에 심는 방법. | ||
− | + | '''Explanation''' | |
− | |||
− | ==== | + | 한 경지(耕地)에서 1년에 세 번 이상 경작, 수확하는 일 이나 논밭에서 일년에 2회이상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농작물을 계속 파종하여 수확하는 일을 말한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Multiple+cropping&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Multiple+cropping# 다모작]", 농업용어사전.</ref> |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Barnyard Grass|Cultivating Barnyard Grass]] | ||
+ | |||
+ | ===Sow=== | ||
{{Term info | {{Term info | ||
− | |Hanja= 足種 | + | |Hanja=播種 |
+ | |Hangeul=파종 | ||
+ | |RR=Pajong | ||
+ | |MR=P'ajong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 | ||
+ | |Common Name Hanja= | ||
+ | |Common Name Hangeul= | ||
+ | |Common Name RR=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 | ||
+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논이나 밭에 씨를 뿌리는 것을 말한다. | ||
+ | |||
+ | '''Explanation''' | ||
+ | |||
+ | 곡물의 종자를 땅속에 뿌리는 행위를 말한다. 곡식 종자에 따라서 세 종류로 나누어 지는데 산파 조파 점파 세가지 방식이 있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jsessionid=4zpx1NIY5qsf8n6masZOqubwrBLmBac4vze3cpwBBa4bfPvC0R7r1311J5Mk3VVr.nongsaro-web_servlet_engine1?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ED%8C%8C%EC%A2%85&option=0&sWordNm=%ED%8C%8C%EC%A2%85 파종]",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NJ2018 Cultivating Barnyard Grass|Cultivating Barnyard Grass]] | ||
+ | *[[NJ2018 Cultivating Buckwheat|Cultivating Buckwheat]] | ||
+ | *[[NJ2018 Cultivating Barley and Wheat|Cultivating Barley and Wheat]] | ||
+ | *[[NJ2018 Cultivating Hemp|Cultivating Hemp]] | ||
+ | *[[NJ2018 Plowing the Soil|Plowing the Soil]] | ||
+ | *[[NJ201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 ||
+ | *[[NJ2018 Cultivating Sesame|Cultivating Sesame]] | ||
+ | *[[NJ2018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 ||
+ | |||
+ | ===Foot Sowing=== | ||
+ | {{Term info | ||
+ | |Hanja=足種 | ||
|Hangeul=족종 | |Hangeul=족종 | ||
− | |RR= | + | |RR=jokjong |
+ | |MR=jokchong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 | ||
+ | |Common Name Hanja= | ||
+ | |Common Name Hangeul= | ||
+ | |Common Name RR=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 | ||
+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발을 이용한 파종 방식이다. | ||
+ | |||
+ | '''Explanation''' | ||
+ | |||
+ | 왼발 뒤꿈치로 흙을 밟아 누르면서 종자를 뿌리고, 오른발로 흙을 덮어 주는 족종(足種) 방식이라고 한다.<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A%B1%B4%EA%B2%BD(%E4%B9%BE%E8%80%95) 건경(乾耕)]", 위키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
+ | ===Wet farming=== | ||
+ | {{Term info | ||
+ | |Hanja=水耕 | ||
+ | |Hangeul=수경법 | ||
+ | |RR=sugyeongbeop | ||
|MR= | |MR=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yes | ||
+ | |Common Name Hanja=水沙彌 | ||
+ | |Common Name Hangeul=수사미 | ||
+ | |Common Name RR=Musalmi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yes | ||
+ | |Alternate terms=수파법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조선시대에 벼를 재배할 때 무논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直播)하던 경종법(耕種法)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826 수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Explanation''' | ||
+ | |||
+ | 수경(水耕)은 논에 물을 가둔 다음 써레질을 하여 논을 고른 후 싹을 틔운 볍씨종자를 논 표면에 뿌리는 수경직파법을 줄여 말하는 용어이다. 수경직파법을 줄여서 수파법(水播法)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826 수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수원이 항상 필요하기 때문에 강 근처에서 수로를 개설하여 논 까지 끌어오거나, 흐르는 강 길목에 댐을 만들어서 수자원을 확보한다.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
+ | ===Dry farming=== | ||
+ | {{Term info | ||
+ | |Hanja=乾耕 | ||
+ | |Hangeul=건경법 | ||
+ | |RR=geongyeongbeop | ||
+ | |MR=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yes | ||
+ | |Common Name Hanja=乾沙彌 | ||
+ | |Common Name Hangeul=건사미 | ||
+ | |Common Name RR=Mareunsami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yes | ||
+ | |Alternate terms=건파법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조선시대 농가에서 벼를 재배할 때 건답(乾畓)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直播)하던 경종법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273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Explanation''' | ||
+ | |||
+ | 건경(乾耕)은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 봄철에 가뭄이 들어 수경(水耕)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가피하게 채택하는 경종법(耕種法)이었다. 건경은 물을 채운 무논 대신 물이 없는 건답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하는 건경직파법(乾耕直播法)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었다. 이를 건파법(乾播法)이라고 달리 부르기도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273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
+ | ===Transplanting seedings=== | ||
+ | {{Term info | ||
+ | |Hanja=苗種法 | ||
+ | |Hangeul=묘종법 | ||
+ | |RR=myojongbeop | ||
+ | |MR=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yes | ||
+ | |Common Name Hanja=移秧法 | ||
+ | |Common Name Hangeul=이양법 | ||
+ | |Common Name RR=Yiyang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 | ||
+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조선시대에 벼를 재배할 때 모판을 만들어 일정기간 동안 육묘(育苗)한 다음 모내기하는 경종법(耕種法)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386 이양]",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Explanation''' | ||
+ | |||
+ | 이앙(移秧)은 본래 모내기 자체를 의미하지만, 모내기를 하기 위해 못자리를 마련하여 옮겨심을 모[秧]를 키우는 작업을 포함한 경종법인 이앙법(移秧法) 자체를 가리킨다. 이앙법이란 논에서 벼를 경작하기 위해 기경, 파종, 초기 묘(苗) 관리에 이르는 전반적인 작업과정을 포괄하는 경종법(耕種法)의 하나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386 이양]",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
+ | ===Relay cropping=== | ||
+ | {{Term info | ||
+ | |Hanja=間作 | ||
+ | |Hangeul=사이심기 | ||
+ | |RR=saisimgi | ||
+ | |MR=saishimgi | ||
+ | |Pinyin= | ||
+ | |If Common Name= | ||
+ | |Common Name Hanja= | ||
+ | |Common Name Hangeul= | ||
+ | |Common Name RR= | ||
+ | |Common Name MR= | ||
+ | |If Alternate=yes | ||
+ | |Alternate terms=Intercropping | ||
+ | }} | ||
+ | |||
+ | '''Definition''' | ||
+ | |||
+ | 주가 되는 작물의 사이에 다른 종류의 작물을 심어 가꾸는 것이다. | ||
+ | |||
+ | '''Explanation''' | ||
+ | |||
+ | 한 작물이 파종을 하고 나서 수확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 사이에 새로운 작물을 파종하는 것을 말한다. 작물 종류 중에서 파종 및 수확 시기가 전자 종자보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 한 곳에서 이런 방식으로 농사를 하여 수확을 배로 늘릴 수 있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E9%96%93%E4%BD%9C&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E9%96%93%E4%BD%9C 간작]",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Cultivating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 ||
+ | |||
+ | ===Threshing=== | ||
+ | {{Term info | ||
+ | |Hanja=輾 | ||
+ | |Hangeul=타작 | ||
+ | |RR=tajak | ||
+ | |MR=t'ajak |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168번째 줄: | 351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 |||
− | |||
− | === | + | '''Definition''' |
− | [[NJ2018 Cultivating | + | |
+ | 벼나 보리 등의 곡립을 볏짚이나 이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3%88%EA%B3%A1 탈곡]", 한글위키백과.</ref> | ||
+ | |||
+ | '''Explanation''' | ||
+ | |||
+ | 곡식을 이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에서 넓은 의미에는 곡류이외의 두류 등의 열매를 줄기와 가지 등에서 채취하는 작업까지를 포함한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menuId=PS00064&searchWord=%ED%83%88%EA%B3%A1&totalSearchYn=Y 탈곡]",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Barley and Wheat|Cultivating Barley and Wheat]] | ||
− | ==Time Plowing== | + | =='''Time Plowing'''== |
− | === | + | ===Spring plowing===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春耕 | |Hanja=春耕 | ||
|Hangeul=봄갈이 | |Hangeul=봄갈이 | ||
− | |RR= | + | |RR=chungyeong |
− | |MR= | + | |MR=ch'un'gyŏ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192번째 줄: | 379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봄 시기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 봄 시기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 ||
− | + | '''Explanation''' | |
− | 이른 봄 싹이 트기 전에 거름을 뿌리고, 이랑 사이의 제초와 씨를 뿌린 후 흙을 덮는다. 그 다음 얕게 땅을 갈은 다음 논에 물을 대어 모내기를 할 수 있게 논을 판판하게 고르게 한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EB%B4%84%EA%B0%88%EC%9D%B4&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EB%B4%84%EA%B0%88%EC%9D%B4 | + | |
+ | 이른 봄 싹이 트기 전에 거름을 뿌리고, 이랑 사이의 제초와 씨를 뿌린 후 흙을 덮는다. 그 다음 얕게 땅을 갈은 다음 논에 물을 대어 모내기를 할 수 있게 논을 판판하게 고르게 한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EB%B4%84%EA%B0%88%EC%9D%B4&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EB%B4%84%EA%B0%88%EC%9D%B4 봄갈이]", 농업용어사전.</ref><ref>"[http://krdic.naver.com/user.nhn?docid=bb46dbf8fddc1156be21a96232124e69 로타리]", 네이버 국어사전.</ref>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Plowing the Soil]] | + | *[[NJ2018 Plowing the Soil|Plowing the Soil]] |
− | === | + | ===Summer plowing===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夏耕 | |Hanja=夏耕 | ||
|Hangeul=여름갈이 | |Hangeul=여름갈이 | ||
− | |RR= | + | |RR=hagyeong |
− | |MR= | + | |MR=hagyŏ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216번째 줄: | 406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여름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 여름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 ||
− | |||
−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 봄갈이 작업을 여름에 하는 것이다. 모든 작업은 봄갈이와 똑같으며, 단지 시기만 봄갈이 보다 늦을 뿐이다. 봄갈이와 마찬가지로 땅을 얕게 간다.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Plowing the Soil|Plowing the Soil]] | ||
+ | |||
+ | ===Autumn plowing===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秋耕 | |Hanja=秋耕 | ||
|Hangeul=가을갈이 | |Hangeul=가을갈이 | ||
− | |RR= | + | |RR=chugyeong |
− | |MR= | + | |MR=ch'ugyŏng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238번째 줄: | 433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가을 시기에 논을 미리 갈아두는 일이다. | 가을 시기에 논을 미리 갈아두는 일이다. | ||
− | |||
− | |||
− | |||
− | |||
− | == | + | '''Explanation''' |
− | + | ||
+ | 봄 및 여름처럼 땅을 가는 행위이다. 한 가지 다른 점은 봄갈이와 여름갈이 처럼 땅을 얕게 파는 것이 아니라 땅을 깊게 간다. 가을갈이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은 유기물의 분해촉진 토양통기의 조장, 충해경감 등의 효과가 있다. 반면에 단점은 거름 성분이나 토양의 유실이 진행되어 불리할 경우도 있다.<ref>"[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pageIndex=1&pageSize=4&menuId=PS00064&searchWord=%EA%B0%80%EC%9D%84%EA%B0%88%EC%9D%B4&option=0&tabType=&farmngWordNo=0&sWordNm=%EA%B0%80%EC%9D%84%EA%B0%88%EC%9D%B4 가을갈이]", 농업용어사전.</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Plowing the Soil|Plowing the Soil]] | ||
+ | |||
+ | =='''Soil Managements'''== | ||
+ | ===Shifting cultivation=== |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火田 | |Hanja=火田 | ||
|Hangeul=화전 | |Hangeul=화전 | ||
− | |RR= | + | |RR=hwajeon |
− | |MR= | + | |MR=hwajŏn |
|Pinyin= | |Pinyin= | ||
|If Common Name= | |If Common Name= | ||
261번째 줄: | 461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
+ | '''Definition''' | ||
+ | |||
땅 위의 잡초 및 풀을 태워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방법이다. | 땅 위의 잡초 및 풀을 태워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방법이다. | ||
− | + | '''Explanation''' | |
− | 화전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랜 농경방식이다. 중국에서는 화경(火耕) 일본에서는 야키바다(燒畑)이라고 불린다. 화전을 하면 그동안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화전에 의한 농업은 유랑화전농업(流浪火田農業)과 정착화전농업(定着火田農業)으로 구별된다. 전자는 작물재배를 계속하여 지력이 수탈되면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전을 개척하므로 이것을 전경화전농업(轉耕火田農業)이라고도 한다.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많은 데 반하여 인구가 적으면 전경이 가능하였다. 반면, 인구가 증가하고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적어지면 전경이 곤란해지므로 일정한 곳에 정착하여 화전을 경작할 수밖에 없게 된다. 정착경작을 하면 지력의 소모가 문제가 되므로 지력이 소모되면 일단 휴경하였다가 지력의 회복을 기다려서 다시 불을 놓고 경작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휴경과 경작을 엇바꿔서 하는 경우를 윤경(輪耕)이라고 한다. 화전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비옥한 땅에 알맞은 작물(감자 따위), 다음에는 보통 토양에 알맞은 작물(조 따위), 나중에는 척박한 땅에 적응하는 작물(귀리 따위) 등의 작물종류를 선택하는 등의 배려와 함께 콩·팥 등의 콩과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의 소모를 완화하는 데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화전농업은 작물의 재배와 더불어 시작되어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 등 북부 여러 종족에서는 화전식 농경이 있었다고 하며, 경작도구로는 위원에서 발굴된 쇠가래가 있다. 또한 고구려·백제·신라 등 삼국시대 토지제도하의 토지이용은 수전(水田)·한전(旱田)·화전(火田) 등의 분화된 농경방식이었으며, 작물은 쌀·보리·밀·콩·기장 등의 오곡이 재배되었고, 삼·뽕나무·닥나무 등의 섬유작물도 재배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859 | + | |
+ | 화전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랜 농경방식이다. 중국에서는 화경(火耕) 일본에서는 야키바다(燒畑)이라고 불린다. 화전을 하면 그동안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화전에 의한 농업은 유랑화전농업(流浪火田農業)과 정착화전농업(定着火田農業)으로 구별된다. 전자는 작물재배를 계속하여 지력이 수탈되면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전을 개척하므로 이것을 전경화전농업(轉耕火田農業)이라고도 한다.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많은 데 반하여 인구가 적으면 전경이 가능하였다. 반면, 인구가 증가하고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적어지면 전경이 곤란해지므로 일정한 곳에 정착하여 화전을 경작할 수밖에 없게 된다. 정착경작을 하면 지력의 소모가 문제가 되므로 지력이 소모되면 일단 휴경하였다가 지력의 회복을 기다려서 다시 불을 놓고 경작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휴경과 경작을 엇바꿔서 하는 경우를 윤경(輪耕)이라고 한다. 화전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비옥한 땅에 알맞은 작물(감자 따위), 다음에는 보통 토양에 알맞은 작물(조 따위), 나중에는 척박한 땅에 적응하는 작물(귀리 따위) 등의 작물종류를 선택하는 등의 배려와 함께 콩·팥 등의 콩과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의 소모를 완화하는 데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화전농업은 작물의 재배와 더불어 시작되어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 등 북부 여러 종족에서는 화전식 농경이 있었다고 하며, 경작도구로는 위원에서 발굴된 쇠가래가 있다. 또한 고구려·백제·신라 등 삼국시대 토지제도하의 토지이용은 수전(水田)·한전(旱田)·화전(火田) 등의 분화된 농경방식이었으며, 작물은 쌀·보리·밀·콩·기장 등의 오곡이 재배되었고, 삼·뽕나무·닥나무 등의 섬유작물도 재배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859 화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 + | *[[NJ2018 Cultivating Barley and Wheat|Cultivating Barley and Wheat]] |
− | === | + | ===Making urine and ash fertilizer=== |
{{Term info | {{Term info | ||
|Hanja=作尿灰法 | |Hanja=作尿灰法 | ||
− | |Hangeul= | + | |Hangeul=요회 만드는 법 |
− | |RR= | + | |RR= |
|MR= | |MR= | ||
|Pinyin= | |Pinyin= | ||
285번째 줄: | 488번째 줄: | ||
|Alternate terms= | |Alternate terms= | ||
}} | }} | ||
− | + | '''Definition''' | |
+ | |||
농사에 필요한 거름으로 동물을 이용한다. | 농사에 필요한 거름으로 동물을 이용한다. | ||
− | |||
− | |||
− | + | '''Explanation''' | |
− | [[NJ2018 Cultivating Rice | + | |
+ | 요회 만드는 법은 외양간 바깥에 웅덩이를 만들어 소의 오줌을 저장한다. 그 다음 볏짚, 겨, 쭉정이 따위를 태워 만든 재를 웅덩이에 저장한 오줌과 잘 섞는다. 본래 조선 시대에서 거름을 주는 행위를 통칭하여 시비(施肥)라 하였는데, 가축의 분뇨와 초목을 태워 거름으로 사용한 것이 바로 요회(尿灰)다. 요회가 만들어진 이유는 사람의 인분 자체가 그리 흔한 거름 재료가 아니었으며, 차라리 동물의 배설물이나 초목을 태우는 것으로 거름을 만드는 것이 편하였기 때문이다.<ref>"[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8B%9C%EB%B9%84(%E6%96%BD%E8%82%A5) 시비(施肥)]", 위키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Related Article''' | ||
+ | *[[NJ2018 Cultivating Rice|Cultivating Rice]] | ||
− | + | <br/> | |
+ | <br/> | ||
+ | ---- | ||
+ | <references/> | ||
[[분류:농사직설]] | [[분류:농사직설]] |
2018년 6월 18일 (월) 15:52 기준 최신판
Nongsa jikseol | |
---|---|
Table of Contents | |
Farming Technic
To plow or to till
Basic Info | |||
• Hanja: 耕 | • Hangeul: 갈다 | • RR: gyeong | • MR: kyŏng |
Definition
땅을 뒤엎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Explanation
밭갈이의 이유로 굳거나 풀어진 흙의 물리성을 바꾸고, 습하거나 메마른 흙의 수분조건을 바꾸며 걸거나 헤식은 땅의 비옥도를 바꾸기 위함이다. 또한 밭갈이로 풀을 깨끗이 제거해 주면 토양의 단립화(團粒化)와 비옥화(肥玉化)가 이루어진다.[1]
Related Article
To plow lengthwise
Basic Info | |||
• Hanja: 耕...縱... | • Hangeul: 세로로 갈다 | • RR: gyeong...jong... | • MR: kyŏng...jong... |
Definition
밭을 갈 때 세로로 가는 것이다.
Explanation
밭갈이를 할 때 방향에 따라 두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세로로 가는 방법을 말한다. 이 동작이 이루어져야 밭이 평평하게 되어 농사짓기에 편해진다.[2]
Related Article
To plow breathwise
Basic Info | |||
• Hanja: 耕...橫... | • Hangeul: 가로로 갈다 | • RR: gyeong...hoeng... | • MR: kyŏng...hoeng... |
Definition
밭을 갈 때 가로로 가는 것이다.
Explanation
밭갈이를 할 때 방향에 따라 두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가로로 가는 방법을 말한다. 이 동작이 이루어져야 밭이 평평하게 되어 농사짓기에 편해진다.[3]
Related Article
Winnowing
Basic Info | |||
• Hanja: 簸揚 | • Hangeul: 키로 까불다 | • RR: payang | • MR: p'ayang |
Definition
곡식의 껍질이나 껍찔만 있는 쭉정이를 곡식과 분리하는 행동
Explanation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가볍고 불량한 종자는 날려버리고 무거운 종자만 채취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쭉정이가 날라가고 튼실한 종자만 남는다.[4]
Related Article
Weeding
Basic Info | |||
• Hanja: 鋤 | • Hangeul: 김매기 | • RR: gimmaegi | • MR: kimmaegi |
Definition
논밭에서 잡초 및 필요없는 식물을 제거하는 행위
Explanation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잡초를 없애는 관리 작업을 말한다. 넓게는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는 의미로 쓰일때도 있다.[5]
Related Article
Multiple cropping
Basic Info | |||
• Hanja: 多毛作 | • Hangeul: 다모작 | • RR: damojak | • MR: tamojak |
Alternate English Terms | |||
• Double cropping |
Definition
한 논에 여러번 경작하거나, 여러 종류의 곡식을 같은 시기에 심는 방법.
Explanation
한 경지(耕地)에서 1년에 세 번 이상 경작, 수확하는 일 이나 논밭에서 일년에 2회이상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농작물을 계속 파종하여 수확하는 일을 말한다.[6]
Related Article
Sow
Basic Info | |||
• Hanja: 播種 | • Hangeul: 파종 | • RR: Pajong | • MR: P'ajong |
Definition
논이나 밭에 씨를 뿌리는 것을 말한다.
Explanation
곡물의 종자를 땅속에 뿌리는 행위를 말한다. 곡식 종자에 따라서 세 종류로 나누어 지는데 산파 조파 점파 세가지 방식이 있다.[7]
Related Article
- Cultivating Rice
- Cultivating Barnyard Grass
- Cultivating Buckwheat
- Cultivating Barley and Wheat
- Cultivating Hemp
- Plowing the Soil
- Soybeans, Red Beans, and Mung Beans
- Cultivating Sesame
- Cultivating Proso and Foxtail Millet
Foot Sowing
Basic Info | |||
• Hanja: 足種 | • Hangeul: 족종 | • RR: jokjong | • MR: jokchong |
Definition
발을 이용한 파종 방식이다.
Explanation
왼발 뒤꿈치로 흙을 밟아 누르면서 종자를 뿌리고, 오른발로 흙을 덮어 주는 족종(足種) 방식이라고 한다.[8]
Related Article
Wet farming
Basic Info | |||
• Hanja: 水耕 | • Hangeul: 수경법 | • RR: sugyeongbeop | |
Common Name | |||
• Hanja: 水沙彌 | • Hangeul: 수사미 | • RR: Musalmi | |
Alternate English Terms | |||
• 수파법 |
Definition
조선시대에 벼를 재배할 때 무논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直播)하던 경종법(耕種法)이다.[9]
Explanation
수경(水耕)은 논에 물을 가둔 다음 써레질을 하여 논을 고른 후 싹을 틔운 볍씨종자를 논 표면에 뿌리는 수경직파법을 줄여 말하는 용어이다. 수경직파법을 줄여서 수파법(水播法)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10] 수원이 항상 필요하기 때문에 강 근처에서 수로를 개설하여 논 까지 끌어오거나, 흐르는 강 길목에 댐을 만들어서 수자원을 확보한다.
Related Article
Dry farming
Basic Info | |||
• Hanja: 乾耕 | • Hangeul: 건경법 | • RR: geongyeongbeop | |
Common Name | |||
• Hanja: 乾沙彌 | • Hangeul: 건사미 | • RR: Mareunsami | |
Alternate English Terms | |||
• 건파법 |
Definition
조선시대 농가에서 벼를 재배할 때 건답(乾畓)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直播)하던 경종법이다.[11]
Explanation
건경(乾耕)은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 봄철에 가뭄이 들어 수경(水耕)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가피하게 채택하는 경종법(耕種法)이었다. 건경은 물을 채운 무논 대신 물이 없는 건답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하는 건경직파법(乾耕直播法)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었다. 이를 건파법(乾播法)이라고 달리 부르기도 하였다.[12]
Related Article
Transplanting seedings
Basic Info | |||
• Hanja: 苗種法 | • Hangeul: 묘종법 | • RR: myojongbeop | |
Common Name | |||
• Hanja: 移秧法 | • Hangeul: 이양법 | • RR: Yiyang |
Definition
조선시대에 벼를 재배할 때 모판을 만들어 일정기간 동안 육묘(育苗)한 다음 모내기하는 경종법(耕種法)이다.[13]
Explanation
이앙(移秧)은 본래 모내기 자체를 의미하지만, 모내기를 하기 위해 못자리를 마련하여 옮겨심을 모[秧]를 키우는 작업을 포함한 경종법인 이앙법(移秧法) 자체를 가리킨다. 이앙법이란 논에서 벼를 경작하기 위해 기경, 파종, 초기 묘(苗) 관리에 이르는 전반적인 작업과정을 포괄하는 경종법(耕種法)의 하나다.[14]
Related Article
Relay cropping
Basic Info | |||
• Hanja: 間作 | • Hangeul: 사이심기 | • RR: saisimgi | • MR: saishimgi |
Alternate English Terms | |||
• Intercropping |
Definition
주가 되는 작물의 사이에 다른 종류의 작물을 심어 가꾸는 것이다.
Explanation
한 작물이 파종을 하고 나서 수확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 사이에 새로운 작물을 파종하는 것을 말한다. 작물 종류 중에서 파종 및 수확 시기가 전자 종자보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 한 곳에서 이런 방식으로 농사를 하여 수확을 배로 늘릴 수 있다.[15]
Related Article
Threshing
Basic Info | |||
• Hanja: 輾 | • Hangeul: 타작 | • RR: tajak | • MR: t'ajak |
Definition
벼나 보리 등의 곡립을 볏짚이나 이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이다.[16]
Explanation
곡식을 이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에서 넓은 의미에는 곡류이외의 두류 등의 열매를 줄기와 가지 등에서 채취하는 작업까지를 포함한다.[17]
Related Article
Time Plowing
Spring plowing
Basic Info | |||
• Hanja: 春耕 | • Hangeul: 봄갈이 | • RR: chungyeong | • MR: ch'un'gyŏng |
Definition
봄 시기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Explanation
이른 봄 싹이 트기 전에 거름을 뿌리고, 이랑 사이의 제초와 씨를 뿌린 후 흙을 덮는다. 그 다음 얕게 땅을 갈은 다음 논에 물을 대어 모내기를 할 수 있게 논을 판판하게 고르게 한다.[18][19]
Related Article
Summer plowing
Basic Info | |||
• Hanja: 夏耕 | • Hangeul: 여름갈이 | • RR: hagyeong | • MR: hagyŏng |
Definition
여름에 땅을 가는 것을 말한다.
Explanation
봄갈이 작업을 여름에 하는 것이다. 모든 작업은 봄갈이와 똑같으며, 단지 시기만 봄갈이 보다 늦을 뿐이다. 봄갈이와 마찬가지로 땅을 얕게 간다.
Related Article
Autumn plowing
Basic Info | |||
• Hanja: 秋耕 | • Hangeul: 가을갈이 | • RR: chugyeong | • MR: ch'ugyŏng |
Definition
가을 시기에 논을 미리 갈아두는 일이다.
Explanation
봄 및 여름처럼 땅을 가는 행위이다. 한 가지 다른 점은 봄갈이와 여름갈이 처럼 땅을 얕게 파는 것이 아니라 땅을 깊게 간다. 가을갈이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은 유기물의 분해촉진 토양통기의 조장, 충해경감 등의 효과가 있다. 반면에 단점은 거름 성분이나 토양의 유실이 진행되어 불리할 경우도 있다.[20]
Related Article
Soil Managements
Shifting cultivation
Basic Info | |||
• Hanja: 火田 | • Hangeul: 화전 | • RR: hwajeon | • MR: hwajŏn |
Definition
땅 위의 잡초 및 풀을 태워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방법이다.
Explanation
화전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랜 농경방식이다. 중국에서는 화경(火耕) 일본에서는 야키바다(燒畑)이라고 불린다. 화전을 하면 그동안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화전에 의한 농업은 유랑화전농업(流浪火田農業)과 정착화전농업(定着火田農業)으로 구별된다. 전자는 작물재배를 계속하여 지력이 수탈되면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전을 개척하므로 이것을 전경화전농업(轉耕火田農業)이라고도 한다.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많은 데 반하여 인구가 적으면 전경이 가능하였다. 반면, 인구가 증가하고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적어지면 전경이 곤란해지므로 일정한 곳에 정착하여 화전을 경작할 수밖에 없게 된다. 정착경작을 하면 지력의 소모가 문제가 되므로 지력이 소모되면 일단 휴경하였다가 지력의 회복을 기다려서 다시 불을 놓고 경작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휴경과 경작을 엇바꿔서 하는 경우를 윤경(輪耕)이라고 한다. 화전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비옥한 땅에 알맞은 작물(감자 따위), 다음에는 보통 토양에 알맞은 작물(조 따위), 나중에는 척박한 땅에 적응하는 작물(귀리 따위) 등의 작물종류를 선택하는 등의 배려와 함께 콩·팥 등의 콩과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의 소모를 완화하는 데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화전농업은 작물의 재배와 더불어 시작되어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 등 북부 여러 종족에서는 화전식 농경이 있었다고 하며, 경작도구로는 위원에서 발굴된 쇠가래가 있다. 또한 고구려·백제·신라 등 삼국시대 토지제도하의 토지이용은 수전(水田)·한전(旱田)·화전(火田) 등의 분화된 농경방식이었으며, 작물은 쌀·보리·밀·콩·기장 등의 오곡이 재배되었고, 삼·뽕나무·닥나무 등의 섬유작물도 재배되었다.[21]
Related Article
Making urine and ash fertilizer
Basic Info | |||
• Hanja: 作尿灰法 | • Hangeul: 요회 만드는 법 |
Definition
농사에 필요한 거름으로 동물을 이용한다.
Explanation
요회 만드는 법은 외양간 바깥에 웅덩이를 만들어 소의 오줌을 저장한다. 그 다음 볏짚, 겨, 쭉정이 따위를 태워 만든 재를 웅덩이에 저장한 오줌과 잘 섞는다. 본래 조선 시대에서 거름을 주는 행위를 통칭하여 시비(施肥)라 하였는데, 가축의 분뇨와 초목을 태워 거름으로 사용한 것이 바로 요회(尿灰)다. 요회가 만들어진 이유는 사람의 인분 자체가 그리 흔한 거름 재료가 아니었으며, 차라리 동물의 배설물이나 초목을 태우는 것으로 거름을 만드는 것이 편하였기 때문이다.[22]
Related Article
- ↑ "밭갈이 원리와 조파법", 한국전통지식포탈.
- ↑ "밭갈이", 한국전통지식포탈.
- ↑ "밭갈이", 한국전통지식포탈.
- ↑ "날려고르기", 농업용어사전.
- ↑ "김매기", 농업용어사전.
- ↑ "다모작", 농업용어사전.
- ↑ "파종",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 ↑ "건경(乾耕)", 위키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수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수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건경",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양",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양", 조선왕조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간작",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 ↑ "탈곡", 한글위키백과.
- ↑ "탈곡",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 ↑ "봄갈이", 농업용어사전.
- ↑ "로타리", 네이버 국어사전.
- ↑ "가을갈이", 농업용어사전.
- ↑ "화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시비(施肥)", 위키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