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탈白丁(粗俗的屠夫)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정탈
백정탈.jpg

소를 잡는 백정역이 쓴다. 예전에는 백정이 아니라 희광이(死刑執行人)라고도 하였으며, 연희에서도 소 잡는 것이 아닌 사형집행의 시늉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길고 큰 얼굴에 이마가 코끝보다 튀어나온 짱구머리에 넓적한 턱과 굵은 주름살에서 힘이 넘쳐 보인다. 코볼이 둥근 방울코이며 콧대는 짧고 치켜 뜬 눈매에서 살기가 느껴진다. 이마에 반점을 찍어 거친 피부를 강조해서 우락부락한 표정이다.

턱은 양끝을 가는 실로 연결해서 치아 사이에 끼워놓아 말을 하면 실제 턱처럼 따라 움직여 여러 표정을 만들어 낸다. 백정탈은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높아 입을 다물면 앞으로 튀어나와 주걱턱이다. 하회탈 중 얼굴이 가장 길고 주름살도 많고 굵다. 이마에 작은 혹이 있으며 거친 피부를 강조하려고 여드름 같은 반점을 이마 곳곳에 찍었다. 백정탈은 오른쪽 얼굴이 좁고 광대뼈가 낮다. 때문에 오른쪽 입매가 올라가고 광대뼈도 튀어나와 있다.

얼굴바탕은 주황색으로, 약간 검붉다. 미간에 혹이 있는데 중의 것보다는 좀 작다. 이마, 미간, 양 볼에 주름살을 새겨 험상궂은 인상, 눈은 실눈에 약간의 미소가 험상궂은 효과를 더한다. 옷차림은 천인 복색에 띠를 매고 도끼와 칼을 가졌다.


탈의 형상 ○ 색상 - 암황색(흑색+황색, 어두운 얼굴빛으로 암황색 계통) - 어두운 얼굴빛으로 건강하지 않은 인상 - 고려시대 백정은 양민이지만 끊임없이 지배계층으로부터 노동력을 수탈당함, 피곤하고 고된 일상을 표현

○ 입체성 - 콧대와 눈꼬리, 평범한 양인 신분이지만 힘든 삶에 대한 불만 표현 - 과장되지 않은 중간형의 콧대 : 양인으로서의 젊고 건강한 평범한 인물 표현 - 치켜올라간 눈꼬리 : 양인으로서 힘든 노동과 삶에 대한 불만으로 화나고 험한 표정

○ 좌우균형 - 이마의 두드러진 정도와 주름살의 흐름과 깊이, 눈꼬리의 치켜든 상태를 보았을 때, 측면에서 왼쪽 옆모습이 오른쪽에 비해 한층 험악한 표정

○ 역동성 - 움직임점이 귀밑에서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으며, 연결끈이 전혀 늘어져있지 않고 턱 구멍과 겹치도록 당겨서 고정 - 탈의 움직임이 가장 낮아 표정이 다양하지 않고 험상궂게만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