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인물정보 |표제 = 혜일(慧日)스님 |사진 = 혜일스님.jpg |법명 = 혜일(慧日) |법호 = |속명 =...) |
(→릴레이션 데이터) |
||
127번째 줄: | 127번째 줄: | ||
! style="width:120px" | 항목1 || style="width:24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 style="width:120px" | 항목1 || style="width:24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서울]] || ~에서 출생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명수(明洙)스님]] || ~을 은사로 출가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행원스님]] || ~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명성스님]] || ~으로부터 사집을 수학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동학사]] || ~에서 사교를 수학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석암(昔岩)스님|석암스님]] || ~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선방]] || ~에서 하안거를 성만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선방]] || ~에서 동안거를 성만하다 |
|- | |- | ||
− | | [[혜일스님(慧日, | + |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慧日)스님]] || [[영명사]] || ~를 창건하다 |
|} | |} | ||
2022년 8월 18일 (목) 20:30 판
혜일(慧日)스님 | |
---|---|
법명 | 혜일(慧日) |
법호 | |
속명 | 김혜일(金慧日) |
출생 | 1947년 |
출가 | |
입적 | |
사찰 | 충남 부여군 초촌면 신암리 525 영명사 |
특이사항 |
정의
생애
연도 | 내용 |
---|---|
1947 | 서울 출생 |
1966 | 충남 당진 흥국사에서 명수(明洙)스님을 은사로 출가 |
1967 | 행원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68 | 숭인동 청룡사에서 명성스님으로부터 사집 수학 |
1971 | 동학사 강원 사교 수학 |
1974 | 석암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78 | 석남사 동안거 성만, 약수암 하안거 성만 |
1979 | 불영사 동 하안거 성만 |
1980 | 대성암 6안거 성만 |
1983 | 삼선암 하안거 성만 |
1985 | 견성암 하·동안거 성만 |
1987 | 동화사 양진암 안거 성만 |
1988 | 은혜사 백흥암 동안거 성만 |
1989 | 부여 영명사 창건 |
1996 | 대성암 하안거 성만 |
1997~2000 | 영명사에서 기도 정진 |
2004 | 영명사 주지 |
기타사항
문중 | 실상(實相) |
활동 및 공헌
출가
혜일(慧日)스님은 1947년 8월 14일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김혜일이다. 스님은 일찍이 ‘사람은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는 소리를 듣고 인생의 무상함을 느꼈다. 어려서부터 왠지 스님들이 좋아서 우연히 길에서 스님을 만나면 뒤를 좇다가 헤어지고 나면 울면서 집으로 돌아오곤 했다. 무남독녀인 스님은 12세 때부터 출가하기로 마음먹고 집을 나섰다가 붙잡혀 와서 두들겨 맞고 울기도 했다. 그러다가 19세 되던 해 새벽에 마침내 출가를 했다.
스님은 1967년에 화운사에서 행원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했으며, 1974년에 법주사에서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했다.
무(無)자 화두
스님은 수행생활을 할 때 ‘자신의 경계를 실타래 풀어가듯이 풀되 열심히 정진하는 가운데 각고의 노력이 따라야 신심도 의심도 역력한 법이다. 항상 먹물 옷 입은 스님 노릇을 잘해야겠다는 마음 자세가 깊어지면 분심, 의심이 투철해진다. 흐트러짐 없이 정진 수행하는 가운데 화두가 역력해지면서 공부가 된다.’고 늘 강조한다.
스님이 강원에서 대교를 마치고 화두를 받기 위해 관음사로 향곡 큰스님을 친견하러 갔을 때의 일이다. 졸업 여행 때 향곡 큰스님을 친견한 스님은 ‘큰스님은 용모가 수려하리라 상상했으나 기대한 것보다 못 생기신 데다가 얼굴도 검고 꼭 달마스님 모습 같다.’며 속으로 어리석은 소견을 갖고 있었다.
그때가 마침 향곡 큰스님의 은사스님 기일이었다. 향곡 큰스님은 삼천배를 해야만 화두를 내려 주셨는데, ‘이번만큼은 천배만 하고 은사스님 제사에 쓰도록 후원에서 지짐도 부치고 나물도 하라.’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그때까지 대답을 못하고 있던 학인들 가운데 한 스님이 “사교입문하라 하셔서 다 잊었습니다.” 하고 대답하여 겨우 그 자리를 벗어날 수 있었다. 그 당시 스님은 무(無)자 화두를 받았으나 어떻게 공부를 지어가야 하는지 몰랐다. 의심을 단도직입적으로 캐 들어가지 못하고 불빛에도 짜증내고 조금만 시끄러워도 짜증내며 선방 공부를 지어갔다. 그러다가 도반스님과 함께 토굴을 짓고 계속 정진해나갔는데 그해 도반스님이 백혈병으로 불과 3개월 만에 입적하는 바람에 큰 충격을 받고 말았다.
스님은 간병을 하며 조계사 청년회 및 학생법회, 서울대 학생회 등 학생법회가 있는 곳마다 혈소판을 구하려고 이리저리 뛰어다녔지만 결국에는 도반스님을 잃게 되었다. 39세에 떠난 도반을 위해 스님은 부처님 앞에서 참선 기도에 주력을 했지만 무서움이 쉽게 떠나지 않았다.
도반스님이 마치 옆에 서 있는 것만 같았다. 기도 방법으로 부처님께 헌다 공양도 해보았지만 마음과 몸이 따로였던 것이다.
‘절하는 것도,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행위도, 이게 다 뭐하는 짓인가?’ 하는 생각이 떠오르면 헌공한 다기 그릇을 엎어버렸고, 마음이 가라앉으면 쏟아진 물을 다시 닦으며 참회했다.
‘승려 생활을 하면서 아프고, 무섭고, 괴롭고, 순간순간 앞뒤가 꽉 막힌 것 같은 마음의 작용이 무수히 일건만 어째서 ‘무(無)’라고 했을까?’라는 의심이 스스로 생겨났다.
‘어째서 무(無)라고 했을까?’
‘이것이 무엇인고?’
도반스님이 떠난 경계와 그것이 ‘무(無)’라고 하는 경계는 전강 큰스님 법문에서 일깨우듯이 ‘있다, 없다’ 하는 알음알이가 아니라 ‘무(無)’ 화두 하나만 갖고 아픔이 사무치도록 철저히 진실 되게 화두가 깊어지는 가운데 ‘인연이 해우하는 곳, 그 속에서 마주치는 것이 불법(佛法) 난봉(難逢)이다.’라는 것을 여실히 느꼈다.
‘어찌 무(無)했는고?’
스님은 세월이 지나도 퇴전치 않는 마음으로 선방에 나가 ‘어찌 무(無) 했는고?’, 이 한 가지 경계는 절대로 잊어버리지 않아야 된다고 강조한다. 한 가지 오롯이 해야 할 것, 곧 끝없는 의심 속에는 한 가지 경계인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를 짓기를 바라는 것이다.
‘번뇌 망상을 이기려고 하는 마음이 강하면 번뇌도 강하다.’고 지적하는 혜일스님은 2004년 현재 영명서 주지를 맡고 있으며 평상심으로 용맹 정진하면서 늘 여유로운 마음을 갖고 기도 중이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중. 뜨란출판사, 2007, pp. 362~366.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561.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혜일(慧日)스님 | 본항목 | 혜일스님(慧日, 1947~) | 慧日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혜일스님(慧日,_1947生,_비구니) |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 항목2 | 관계 |
---|---|---|
혜일(慧日)스님 | 서울 | ~에서 출생하다 |
혜일(慧日)스님 | 명수(明洙)스님 | ~을 은사로 출가하다 |
혜일(慧日)스님 | 행원스님 | ~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다 |
혜일(慧日)스님 | 명성스님 | ~으로부터 사집을 수학하다 |
혜일(慧日)스님 | 동학사 | ~에서 사교를 수학하다 |
혜일(慧日)스님 | 석암스님 | ~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다 |
혜일(慧日)스님 | 선방 | ~에서 하안거를 성만하다 |
혜일(慧日)스님 | 선방 | ~에서 동안거를 성만하다 |
혜일(慧日)스님 | 영명사 | ~를 창건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