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 청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1761년(영조 37) 정조가 동궁으로 있을 때 이 절에 원당을 설치한 뒤 밤나무 3,000주를 심고 원감(園監)을 두었으며, 1798년(정조 22) 조무의(趙武毅)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1876년(고종 13) 3월 26일 실화로 수십 칸의 건물이 소실되자 4년 후인 1879년에 음곡(陰谷)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종교 탄압정책으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이어 오다가 1955년 비구니 아연(娥演)이 주지로 취임한 뒤 중창을 시작하였고, 월덕(月德) · 탄성(呑星) · 월탄(月誕) 등이 그 뜻을 이어 당우를 회복하였다.</br>
 
1761년(영조 37) 정조가 동궁으로 있을 때 이 절에 원당을 설치한 뒤 밤나무 3,000주를 심고 원감(園監)을 두었으며, 1798년(정조 22) 조무의(趙武毅)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1876년(고종 13) 3월 26일 실화로 수십 칸의 건물이 소실되자 4년 후인 1879년에 음곡(陰谷)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종교 탄압정책으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이어 오다가 1955년 비구니 아연(娥演)이 주지로 취임한 뒤 중창을 시작하였고, 월덕(月德) · 탄성(呑星) · 월탄(月誕) 등이 그 뜻을 이어 당우를 회복하였다.</br>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 · 산신각 · 종각 · 수각(水閣) · 봉향각(奉香閣) · 대방(大房) 등이 있다. 이 중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양식으로 처마는 이중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사인비구(思印比丘)가 제작한 동종이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청계사 소장 목판이 198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신중도가 201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절 입구에는 201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청계사사적기비(淸溪寺事蹟記碑)와 2014년 경기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청계사조정숙공사당기비(淸溪寺趙貞肅公祠堂記碑)가 있고, 사찰 주위의 계곡이 좋다.</br>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 · 산신각 · 종각 · 수각(水閣) · 봉향각(奉香閣) · 대방(大房) 등이 있다. 이 중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양식으로 처마는 이중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사인비구(思印比丘)가 제작한 동종이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청계사 소장 목판이 198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신중도가 201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절 입구에는 201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청계사사적기비(淸溪寺事蹟記碑)와 2014년 경기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청계사조정숙공사당기비(淸溪寺趙貞肅公祠堂記碑)가 있고, 사찰 주위의 계곡이 좋다.</br>
청계산의 본래 이름은 청룡산이다. 청룡 백호가 서울 수도를 옹호한다 하여 이름된 청룡산은 일제 강점기에 그 이름이 차차 잊혀지고 청계사가 있는 산, 청계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 청계사에는 '청룡산 청계사'라 새겨진 옛비석이 존재하고 서초구 원지동 등산로 입구에는 청룡 원마을이라는 안내판이 있다. 고려시대 문신 이색의 시에서도 그 이름이 나타나 있다.
+
청계산(淸溪山)의 본래 이름은 청룡산(靑龍山)이다. 청룡 백호가 서울 수도를 옹호한다 하여 이름된 청룡산은 일제 강점기에 그 이름이 차차 잊혀지고 청계사가 있는 산, 청계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 청계사에는 '청룡산 청계사'라 새겨진 옛비석이 존재하고 서초구 원지동 등산로 입구에는 청룡 원마을이라는 안내판이 있다. 고려시대 문신 이색의 시에서도 그 이름이 나타나 있다.</br>
 
<poem>
 
<poem>
  
22번째 줄: 22번째 줄:
 
[출처 및 참고자료]</br>
 
[출처 및 참고자료]</br>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5624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계사</br>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5624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계사</br>
- [http://www.youngunjungsa.kr/bin/minihome/neo_main2.htm?seq=106&_aldo=41 영운정사] 영운정사 소개
+
- [http://www.youngunjungsa.kr/bin/minihome/neo_main2.htm?seq=106&_aldo=41 영운정사] 영운정사 소개</br>
- [https://cafe.daum.net/sdmtc/T9i/49?q=청계산 선데이마운틴크럽] 서울시 서초구 청계산, 수원 광교산의 역사와 문화(월간산 2001년 8월호)
+
- [https://cafe.daum.net/sdmtc/T9i/49?q=청계산 선데이마운틴크럽] 서울시 서초구 청계산, 수원 광교산의 역사와 문화(월간 산 2001년 8월호)
</br>
+
</br></br>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의왕시_청계로_475 청계사]</br></br>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의왕시_청계로_475 청계사]</br></br>
  
 
[[분류 : 사찰]]
 
[[분류 : 사찰]]

2024년 8월 24일 (토) 19:17 기준 최신판

  • 사찰명 : 의왕 청계사(義王 淸溪寺)
  •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11 (경기도 의왕시 청계로 475)

대한불교조계종 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대찰의 모습을 갖춘 것은 1284년(충렬왕 10) 시중 조인규(趙仁規)가 막대한 사재를 투입하여 중창하고 그의 원찰로 삼은 뒤부터이다. 그때부터 이 절에는 100명이 넘는 수도승이 상주하였다. 자손들이 여기에 그의 사당을 짓고, 전장과 노비를 두어 대대로 제사를 지냈다.
1407년(태종 7) 조정에서는 이 절을 자복사(資福寺)로 지정하고 천태종에 소속시켰으며, 1431년(세종 13) 조인규 영당을 중건하였고, 연산군이 도성 내의 사찰에 대한 폐쇄령을 내렸을 때 이 절은 봉은사(奉恩寺)를 대신하여 선종본찰(禪宗本刹)의 기능을 행하는 정법호지도량(正法護持道場)이 되었다. 광해군 때는 이 절의 소속 전장과 노비를 모두 관에 소속시켰고, 1689년(숙종 15) 3월 화재로 모든 건물이 불탔을 때 성희(性熙)가 중건하였다.
1761년(영조 37) 정조가 동궁으로 있을 때 이 절에 원당을 설치한 뒤 밤나무 3,000주를 심고 원감(園監)을 두었으며, 1798년(정조 22) 조무의(趙武毅)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1876년(고종 13) 3월 26일 실화로 수십 칸의 건물이 소실되자 4년 후인 1879년에 음곡(陰谷)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종교 탄압정책으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이어 오다가 1955년 비구니 아연(娥演)이 주지로 취임한 뒤 중창을 시작하였고, 월덕(月德) · 탄성(呑星) · 월탄(月誕) 등이 그 뜻을 이어 당우를 회복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 · 산신각 · 종각 · 수각(水閣) · 봉향각(奉香閣) · 대방(大房) 등이 있다. 이 중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양식으로 처마는 이중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사인비구(思印比丘)가 제작한 동종이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청계사 소장 목판이 198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신중도가 201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절 입구에는 201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청계사사적기비(淸溪寺事蹟記碑)와 2014년 경기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청계사조정숙공사당기비(淸溪寺趙貞肅公祠堂記碑)가 있고, 사찰 주위의 계곡이 좋다.
청계산(淸溪山)의 본래 이름은 청룡산(靑龍山)이다. 청룡 백호가 서울 수도를 옹호한다 하여 이름된 청룡산은 일제 강점기에 그 이름이 차차 잊혀지고 청계사가 있는 산, 청계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 청계사에는 '청룡산 청계사'라 새겨진 옛비석이 존재하고 서초구 원지동 등산로 입구에는 청룡 원마을이라는 안내판이 있다. 고려시대 문신 이색의 시에서도 그 이름이 나타나 있다.


       청계사
    청룡산 아래 오래된 절
    얼음과 눈에 덮인 가파른 벼랑은 들까지 뻗었네
    남쪽 창가에 단정히 앉아 주역을 읽고 있으려니
    이른 범종소리에 닭이 홰치려하네

       淸溪寺
    靑龍山下古招提 氷雪斷崖臨野溪
    端坐南窓讀周易 鍾聲初動欲鷄棲


[출처 및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계사
- 영운정사 영운정사 소개
- 선데이마운틴크럽 서울시 서초구 청계산, 수원 광교산의 역사와 문화(월간 산 2001년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