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원사 노전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사찰명 : 내원사(內院寺) 노전암(爐殿庵) ''' | * ''' 사찰명 : 내원사(內院寺) 노전암(爐殿庵) ''' | ||
* '''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63-1 ''' | * '''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63-1 ''' | ||
− | 원효는 대둔사(大芚寺)를 창건하고 상·중·하내원암(上中下內院庵)을 비롯, 89개 암자를 세워 1,000명을 거주시켰다. 그리고 천성산 상봉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여 1,000명의 승려를 오도(悟道)하게 하였다.</br> | + | 원효는 양산시 하북면 원효산 아래 내원사(內院寺) 계곡에 대둔사(大芚寺)를 창건하고 상·중·하내원암(上中下內院庵)을 비롯, 89개 암자를 세워 1,000명을 거주시켰다. 그리고 천성산 상봉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여 1,000명의 승려를 오도(悟道)하게 하였다.</br> |
이 때 『화엄경』을 설한 자리에는 화엄벌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중내원암에는 큰 북을 달아놓고 산내의 모든 암자가 다 듣고 모이게 했으므로 집붕봉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1,000명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여 산이름을 천성산이라 하였다 한다. 조선 중기에 대둔사 및 상·중내원암은 없어지고 하내원암만 남았다.</br> | 이 때 『화엄경』을 설한 자리에는 화엄벌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중내원암에는 큰 북을 달아놓고 산내의 모든 암자가 다 듣고 모이게 했으므로 집붕봉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1,000명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여 산이름을 천성산이라 하였다 한다. 조선 중기에 대둔사 및 상·중내원암은 없어지고 하내원암만 남았다.</br> | ||
그 뒤 1646년(인조 24)에 의천(義天)이 중건하였고, 1845년(헌종 11)에 용운(龍雲)이 중수하였으며, 1876년에는 해령(海嶺)이 중수하였다. 1898년에는 유성(有性)이 수선사(修禪社)를 창설하고 내원사로 개칭한 뒤 선찰(禪刹)로 이름을 떨쳤고, 민족항일기에는 혜월(慧月)이 주석하면서 많은 선승(禪僧)들을 배출하였다.</br> | 그 뒤 1646년(인조 24)에 의천(義天)이 중건하였고, 1845년(헌종 11)에 용운(龍雲)이 중수하였으며, 1876년에는 해령(海嶺)이 중수하였다. 1898년에는 유성(有性)이 수선사(修禪社)를 창설하고 내원사로 개칭한 뒤 선찰(禪刹)로 이름을 떨쳤고, 민족항일기에는 혜월(慧月)이 주석하면서 많은 선승(禪僧)들을 배출하였다.</br> | ||
노전암의 전신은 용연암으로 대둔사 400m 아래에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대둔사가 소실되자 대둔사 본존불을 용연암에 옮겨 모시고 대둔사로 이름을 고쳤다.</br> | 노전암의 전신은 용연암으로 대둔사 400m 아래에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대둔사가 소실되자 대둔사 본존불을 용연암에 옮겨 모시고 대둔사로 이름을 고쳤다.</br> | ||
대둔사에서 옮겨온 부처님을 모시던 용연암 관음전이 오늘날의 대둔사 대웅전이 된 것이므로 절 이름을 노전이라 하였다. 노전이란 ‘부처님을 모시고 향을 공양하는 향로가 있는 전각’을 말한다.</br> | 대둔사에서 옮겨온 부처님을 모시던 용연암 관음전이 오늘날의 대둔사 대웅전이 된 것이므로 절 이름을 노전이라 하였다. 노전이란 ‘부처님을 모시고 향을 공양하는 향로가 있는 전각’을 말한다.</br> | ||
−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2532 내원사 | + |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253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내원사 / [http://www.naewon.or.kr/naewonsa/amja 내원사(홈페이지)] 내원사 소개 |
</br> | </br> |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양산시_하북면_용연리_산63-1 내원사 노전암] | + | * ''' 지도 ''' : [https://map.kakao.com/?q=양산시_하북면_용연리_산63-1 내원사 노전암] </br></br> |
+ | |||
+ | [[분류 : 사찰]] |
2024년 5월 9일 (목) 21:11 기준 최신판
- 사찰명 : 내원사(內院寺) 노전암(爐殿庵)
-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63-1
원효는 양산시 하북면 원효산 아래 내원사(內院寺) 계곡에 대둔사(大芚寺)를 창건하고 상·중·하내원암(上中下內院庵)을 비롯, 89개 암자를 세워 1,000명을 거주시켰다. 그리고 천성산 상봉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여 1,000명의 승려를 오도(悟道)하게 하였다.
이 때 『화엄경』을 설한 자리에는 화엄벌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중내원암에는 큰 북을 달아놓고 산내의 모든 암자가 다 듣고 모이게 했으므로 집붕봉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1,000명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여 산이름을 천성산이라 하였다 한다. 조선 중기에 대둔사 및 상·중내원암은 없어지고 하내원암만 남았다.
그 뒤 1646년(인조 24)에 의천(義天)이 중건하였고, 1845년(헌종 11)에 용운(龍雲)이 중수하였으며, 1876년에는 해령(海嶺)이 중수하였다. 1898년에는 유성(有性)이 수선사(修禪社)를 창설하고 내원사로 개칭한 뒤 선찰(禪刹)로 이름을 떨쳤고, 민족항일기에는 혜월(慧月)이 주석하면서 많은 선승(禪僧)들을 배출하였다.
노전암의 전신은 용연암으로 대둔사 400m 아래에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대둔사가 소실되자 대둔사 본존불을 용연암에 옮겨 모시고 대둔사로 이름을 고쳤다.
대둔사에서 옮겨온 부처님을 모시던 용연암 관음전이 오늘날의 대둔사 대웅전이 된 것이므로 절 이름을 노전이라 하였다. 노전이란 ‘부처님을 모시고 향을 공양하는 향로가 있는 전각’을 말한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내원사 / 내원사(홈페이지) 내원사 소개
- 지도 : 내원사 노전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