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릴레이션 데이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특이사항=
 
|특이사항=
 
}}
 
}}
 
 
 
  
 
==정의==
 
==정의==
 
+
진우(眞愚)스님은 [[연호스님(蓮湖, 1930生, 비구니)|연호스님]]을 은사로 팔정사에서 출가하여 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진우(眞愚)스님은 연호스님을 은사로 팔정사에서 출가하여 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생애==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white; width:64%"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white; width:84%"  
 
|-
 
|-
 
!연도 !! 내용
 
!연도 !! 내용
32번째 줄: 26번째 줄:
 
|1961 || 서울 팔정사에서 연호(蓮湖)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1 || 서울 팔정사에서 연호(蓮湖)스님을 은사로 출가
 
|-
 
|-
|1965 || 팔정사에서 혜암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65 || 팔정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865 혜암(惠庵)현문(玄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1969 || 동학사 강원 사교 수료, 중학교 검정고시 합격
+
|1969 || [http://www.donghaksa.kr/ 동학사] 강원 사교 수료, 중학교 검정고시 합격
 
|-
 
|-
 
|1971 || 고등학교 검정고시 합격
 
|1971 || 고등학교 검정고시 합격
42번째 줄: 36번째 줄:
 
|1978 || 서울 동국대학교 졸업
 
|1978 || 서울 동국대학교 졸업
 
|-
 
|-
|1961 || 쌍계사에서 고산(杲山) 혜원(慧元)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61 || 쌍계사에서 [https://news.v.daum.net/v/20210323202918301 고산(杲山) 혜원(慧元)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1979 || 세등선원 하안거 성만
+
|1979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75643 세등선원] 하안거 성만
 
|-
 
|-
|1980 || 대성암 2하안거 성만
+
|1980 ||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05699 대성암] 2하안거 성만
 
|-
 
|-
|1981 || 해인사 약수암 하안거 성만
+
|1981 || [http://www.haeinsa.or.kr/bbs/content.php?co_id=10b0 해인사 약수암] 하안거 성만
 
|-
 
|-
|1982 || 견성암 3하안거 성만
+
|1982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2164 견성암] 3하안거 성만
 
|-
 
|-
|1983 || 은해사 백흥암 하안거 성만
+
|1983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22477 은해사 백흥암] 하안거 성만
 
|-
 
|-
 
|1985 || 오대산에서 2하안거 성만
 
|1985 || 오대산에서 2하안거 성만
63번째 줄: 57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84%"  
 
|-
 
|-
|문중    || [[육화(六和)문중]]
+
|문중    || [[육화(六和)문중|육화문중(六和)]]
 
|-
 
|-
 
|생활신조 ||처처(處處)가 안락국(安樂國)이다.
 
|생활신조 ||처처(處處)가 안락국(安樂國)이다.
73번째 줄: 67번째 줄:
  
 
==활동 및 공헌==
 
==활동 및 공헌==
 
+
[[파일:488-01.jpg|섬네일|[캄보디아 성지 순례] </br> 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100]]
+
[[File:325-01.jpg|섬네일|[팔정사 극락전] </br> 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권. 뜨란출판사, 2007, p. 101]]
 +
[[File:20220508_163431.jpg|섬네일|[팔정사] 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
[[File:20220508_163712.jpg|섬네일|[팔정사 대웅전]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
[[File:20220508_164051.jpg|섬네일|[팔정사 대웅전] 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출생===
 
===출생===
84번째 줄: 81번째 줄:
 
스님의 출가 동기는 지금의 사제스님과의 인연 때문이었다. 그때까지 스님이 절에 와본 기억이라고는 국민학교 때 소풍 온 것이 전부였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도 삭발한 동자스님의 모습이 그냥 좋아 보여 무작정 팔정사로 찾아갔다. 이렇게 하여 1961년 10월 15일에 13세의 어린 나이로 연호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이후 1965년 성북동 팔정사에서 수덕사 혜암 노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스님의 출가 동기는 지금의 사제스님과의 인연 때문이었다. 그때까지 스님이 절에 와본 기억이라고는 국민학교 때 소풍 온 것이 전부였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도 삭발한 동자스님의 모습이 그냥 좋아 보여 무작정 팔정사로 찾아갔다. 이렇게 하여 1961년 10월 15일에 13세의 어린 나이로 연호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이후 1965년 성북동 팔정사에서 수덕사 혜암 노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동학사 강원의 경봉스님의 시봉이 되다===
+
===동학사 강원의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2924a 경봉스님]의 시봉이 되다===
[[파일:488-01.jpg|섬네일|'''캄보디아 성지 순례''' </br> 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100]]
+
 
다음 해에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으며, 대중의 막내로 강사이신 경봉 노스님의 시자 소임을 맡게 되었다. 한번은 강사스님께 맛있는 공양을 해드린다며 싸리버섯을 따다 삶지도 않고 날것으로 반찬을 올린 일이 있었다. 이를 보고 강사스님은 어처구니 없어 하면서도 어린 시자의 정성에 웃으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을 자상하게 가르쳐주셨다. 스님은 지금도 싸리버섯을 보면 철없던 때의 시자 시절이 그리워진다고 한다. 그 후 스님은 『기신론』을 보다가 1969년에 외전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에 강원을 나왔다. 그해 중학교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1971년에 검정고시로 명성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당시 명문학교였던 명성여고를 마친 뒤 1974년 동국대학교에 입학을 하여 1978년에 졸업하였다. 그 당시에도 지금처럼 모여서 합동으로 계를 받았는데, 스님은 1978년 쌍계사에서 고산스님께 비구니계를 수계하였다.
+
다음 해에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으며, 대중의 막내로 강사이신 경봉 노스님의 시자 소임을 맡게 되었다. 한번은 강사스님께 맛있는 공양을 해드린다며 싸리버섯을 따다 삶지도 않고 날것으로 반찬을 올린 일이 있었다. 이를 보고 강사스님은 어처구니 없어 하면서도 어린 시자의 정성에 웃으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을 자상하게 가르쳐주셨다. 스님은 지금도 싸리버섯을 보면 철없던 때의 시자 시절이 그리워진다고 한다.  
 +
 
 +
그 후 스님은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8A%B9%EA%B8%B0%EC%8B%A0%EB%A1%A0 『기신론』]을 보다가 1969년에 외전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에 강원을 나왔다. 그해 중학교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1971년에 검정고시로 명성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당시 명문학교였던 명성여고를 마친 뒤 1974년 동국대학교에 입학을 하여 1978년에 졸업하였다. 그 당시에도 지금처럼 모여서 합동으로 계를 받았는데, 스님은 1978년 쌍계사에서 고산스님께 비구니계를 수계하였다.
  
 
===수행===
 
===수행===
[[파일:488-02.jpg|섬네일|'''팔정사 극락전''' </br> 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101]]
+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진우스님은 세등선원에서 안거를 시작으로 학문의 길을 접고 자신의 일대사 인연을 해결하고자 선객의 길로 들어섰다. 대성암(1980년)에서 2년 안거, 수덕사 견성암(1982년)에서 3년 안거, 오대산(1985년)에서 2년 안거를 하는 등 10여 년간 제방 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후 1988년 진주의 토굴에서 다도를 하는 원표스님과 5년 가까이 함께 정진하기도 하였다.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진우스님은 세등선원에서 안거를 시작으로 학문의 길을 접고 자신의 일대사 인연을 해결하고자 선객의 길로 들어섰다. 대성암(1980년)에서 2년 안거, 수덕사 견성암(1982년)에서 3년 안거, 오대산(1985년)에서 2년 안거를 하는 등 10여 년간 제방 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후 1988년 진주의 토굴에서 다도를 하는 원표스님과 5년 가까이 함께 정진하기도 하였다.
  
 
===팔정사 주지소임을 맡다===
 
===팔정사 주지소임을 맡다===
은사스님이 연세가 많다 보니 사찰관리가 여의치 않아서 스님은 본의 아니게 1994년부터 팔정사의 주지 소임을 맡아 현재까지 도량에 돌을 쌓고 큰 방과 선방을 증축하는 불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는 요사채를 잘 지어서 시민선방으로 활용함으로써 모든 대중이 함께 정진할 수 있는 도량을 발원하고 있는데, 서울 시내에 그만큼 아늑하고 아름다운 도량은 드물 것이라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오랫동안 선객으로 지내다가 주지를 맡아 사찰을 운영하면서 문득문득 걸망을 지고 떠나고 싶은 유혹을 견디기 힘들다는 스님은 연로하신 은사스님을 사십 평생 모시면서도 언제나 자신을 한없이 낮춘다. </br>
+
은사스님이 연세가 많다 보니 사찰 관리가 여의치 않아서 스님은 본의 아니게 1994년부터 팔정사의 주지 소임을 맡아 현재까지 도량에 돌을 쌓고 큰 방과 선방을 증축하는 불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는 요사채를 잘 지어서 시민선방으로 활용함으로써 모든 대중이 함께 정진할 수 있는 도량을 발원하고 있는데, 서울 시내에 그만큼 아늑하고 아름다운 도량은 드물 것이라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오랫동안 선객으로 지내다가 주지를 맡아 사찰을 운영하면서 문득문득 걸망을 지고 떠나고 싶은 유혹을 견디기 힘들다는 스님은 연로하신 은사스님을 사십 평생 모시면서도 언제나 자신을 한없이 낮춘다. </br>
 +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단경(䞡景)·준오(埈悟)스님이 있다. </br>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단경(䞡景)·준오(埈悟)스님이 있다. </br>
  
(2022년 상황 확인이 안됨)
+
==팔정사 목보살좌상==
 +
[[File:20220508_164117.jpg|섬네일|[팔정사목보살좌상(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184호)] </br>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
 
 +
팔정사 대웅전 목조 보살좌상은 아미타불의 우협시인 대세지보살상(大勢至菩薩像)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2004년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그 명칭이 ‘팔정사 목 보살좌상(대세지보살)’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보살좌상의 명칭을 정확히 알 수 없다.
 +
 
 +
보살좌상은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왼손을 어깨 높이로 들고 있는데 두 손은 지물(持物)인 연봉오리를 잡고 있다. 이처럼 왼손을 들고 있는 보살상은 주로 좌협시보살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조선 후기의 일반적 현상이다. 삼존상의 경우 본존을 중심으로 좌우 협시상에서 좌우 대칭을 강조하는 손 표현은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 청헌에서 시작되어 승일, 응혜, 그리고 희장에게서 크게 성행하였다. 이처럼 팔정사 목조보살좌상은 아미타불의 우협시인 ‘대세지보살상’으로 알려져 왔지만 손 표현으로 보아서는 좌협시보살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
 +
 
 +
따라서 그 명칭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 불상은 화염보주와 꽃으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머리칼이 어깨에 세 가닥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얼굴은 정 사각형에 가까우며, 표정은 경쾌하고 양감이 풍부하다. 특히 콧날이 오똑하고 크며, 미소를 머금은 입술은 양 옆이 살짝 들어가게 표현하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오른쪽 어깨 위에 걸쳐진 대의 자락에 표현된 폭이 좁고 하단이 뾰족한 옷자락 표현이다. 넓게 열린 가슴 앞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군의(裙衣) 상단을 표현하였으나 양감이 풍부한 얼굴과는 달리 가슴은 편평하게 처리하었다.
  
==팔정사목보살좌상==
+
결가부좌한 두 다리 사이의 옷주름은 유연하게 표현하였고, 왼쪽 무릎 위에는 끝이 뾰족한 대의자락이 있다. 팔정사 대웅전 목 보살좌상은 정 사각형에 가까운 입체감있는 얼굴과 오른쪽 앞가슴에 끝이 뾰족한 대의 자락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 희장의 작품과 연관성을 갖는다. 조성기가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조성 연도와 조각승은 알 수 없지만, 전반적인 양식 특징으로 보아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파일:팔정사.jpg|섬네일|'''팔정사 대웅전''' </br> 출처: 추억의 솔밭길(다음블로그) https://blog.daum.net/twohee/933 ]]
+
*출처: 다음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75426
[[파일:팔정사목보살좌상.jpg|섬네일|'''팔정사목보살좌상(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184호)''' ]]
+
 
팔정사에 있는 불상이다. 팔정사 극락보전에 아미타불의 오른쪽 협시보살(脇侍菩薩)로 봉안되어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충청남도 공주 마곡사의 한 암자에서 모셔 왔다고 한다. 머리에는 높고 화려한 불꽃 모양의 보관을 쓰고 있는데 조선 후기 보살상의 보관으로 크게 유행한 것이다. 몸체는 단아한 느낌을 주며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br>
+
==참고문헌==
불상의 바닥에는 복장공(腹藏孔)이 있으나 현재 복장물은 남아있지 않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유행하던 목불상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정연한 조각수법으로 보아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대세지보살로서 조선 후기 불상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4년 7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4호로 지정되었다.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p. 98~101.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88.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221, 417.
 +
* 현대불교, 자비연꽃 배지 12만개 배포됐다. (2005년)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Print.html?idxno=215828
 +
* 불교신문, 세상 밝게 만드는 스님 · 불자 자비나눔 이야기 (2019년)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757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109번째 줄: 120번째 줄:
 
! style="width:150px" |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style="width:150px" |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 || 본항목 ||  || 진우스님(眞愚, 1949~)|| 眞愚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진우스님(眞愚,_1949生,_비구니)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본항목 ||  || 진우스님(眞愚, 1949~)|| 眞愚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진우스님(眞愚,_1949生,_비구니)
 
|}
 
|}
  
117번째 줄: 128번째 줄:
  
 
===릴레이션 데이터===
 
===릴레이션 데이터===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20px" | 항목1 || style="width:24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육화(六和)문중]] || ~의 일원이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육화(六和)문중|육화문중(六和)]] || ~의 일원이다 ||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연호(蓮湖)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연호스님(蓮湖, 1930生, 비구니)|연호스님(蓮湖)]] || ~의 수계제자이다 ||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팔정사]] || ~에서 출가하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서울 팔정사]] || ~에서 출가하다 ||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혜암스님]] || ~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혜암현문(慧庵玄門)|혜암스님(慧庵)]]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고산(杲山) 혜원(慧元)스님]] || ~으로부터 비구니계를 받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고산혜원(杲山慧元)|고산스님(杲山)]]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眞愚)스님]] || [[팔정사]] || ~의 주지를 역임하다.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서울 팔정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진우스님(眞愚)]] || [[안거]] || ~을(를) 성만하다 || 대전 세등선원(탄방동),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합천 해인사 약수암, 예산 수덕사 견성암, 영천 은해사 백흥암, 오대산
 
|}
 
|}
 +
<big>'''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대문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big>로 가기
  
==사찰==
+
==지도==
* 팔정사(☎ 02-762-0852):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342
+
* '''팔정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342
{{ 구글지도 | 위도= 37.596152 | 경도=126.985208 | 줌=17 }}
+
{{구글지도 | 위도= 37.596152 | 경도=126.985208 | 줌=17}}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
==다른 비구니 스님==
 +
 +
</br>
 +
 +
<big>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 '''</big>

2024년 4월 28일 (일) 18:09 기준 최신판



정의

진우(眞愚)스님은 연호스님을 은사로 팔정사에서 출가하여 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49 서울 출생
1961 서울 팔정사에서 연호(蓮湖)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5 팔정사에서 혜암(惠庵)현문(玄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69 동학사 강원 사교 수료, 중학교 검정고시 합격
1971 고등학교 검정고시 합격
1974 명성여자고등학교 졸업
1978 서울 동국대학교 졸업
1961 쌍계사에서 고산(杲山) 혜원(慧元)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79 세등선원 하안거 성만
1980 대성암 2하안거 성만
1981 해인사 약수암 하안거 성만
1982 견성암 3하안거 성만
1983 은해사 백흥암 하안거 성만
1985 오대산에서 2하안거 성만
1988 진주 토굴에서 정진
1994 팔정사 주지 취임
2019 팔정사 주석
문중 육화문중(六和)
생활신조 처처(處處)가 안락국(安樂國)이다.
수계제자 단경(䞡景)·준오(埈悟)

활동 및 공헌

[캄보디아 성지 순례]
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100
[팔정사 극락전]
사진출처: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상권. 뜨란출판사, 2007, p. 101
[팔정사] 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팔정사 대웅전]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팔정사 대웅전] 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출생

진우(眞愚)스님은 1949년 7월 18일 서울시 중구 수하동 12번지에서 아버지 김재식과 어머니 신정열 사이에서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며, 이름은 김순희이다. 스님이 아직 강보에 싸인 어린아이였을 때 6·25전쟁으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와도 인연이 다했던지 같이 오래 살지 못하고 13살 되던 해에 헤어졌다.

출가

스님의 출가 동기는 지금의 사제스님과의 인연 때문이었다. 그때까지 스님이 절에 와본 기억이라고는 국민학교 때 소풍 온 것이 전부였다. 그런데 어린 나이에도 삭발한 동자스님의 모습이 그냥 좋아 보여 무작정 팔정사로 찾아갔다. 이렇게 하여 1961년 10월 15일에 13세의 어린 나이로 연호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이후 1965년 성북동 팔정사에서 수덕사 혜암 노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다.

동학사 강원의 경봉스님의 시봉이 되다

다음 해에 동학사 강원에 입학하였으며, 대중의 막내로 강사이신 경봉 노스님의 시자 소임을 맡게 되었다. 한번은 강사스님께 맛있는 공양을 해드린다며 싸리버섯을 따다 삶지도 않고 날것으로 반찬을 올린 일이 있었다. 이를 보고 강사스님은 어처구니 없어 하면서도 어린 시자의 정성에 웃으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을 자상하게 가르쳐주셨다. 스님은 지금도 싸리버섯을 보면 철없던 때의 시자 시절이 그리워진다고 한다.

그 후 스님은 『기신론』을 보다가 1969년에 외전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에 강원을 나왔다. 그해 중학교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1971년에 검정고시로 명성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당시 명문학교였던 명성여고를 마친 뒤 1974년 동국대학교에 입학을 하여 1978년에 졸업하였다. 그 당시에도 지금처럼 모여서 합동으로 계를 받았는데, 스님은 1978년 쌍계사에서 고산스님께 비구니계를 수계하였다.

수행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진우스님은 세등선원에서 안거를 시작으로 학문의 길을 접고 자신의 일대사 인연을 해결하고자 선객의 길로 들어섰다. 대성암(1980년)에서 2년 안거, 수덕사 견성암(1982년)에서 3년 안거, 오대산(1985년)에서 2년 안거를 하는 등 10여 년간 제방 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그 후 1988년 진주의 토굴에서 다도를 하는 원표스님과 5년 가까이 함께 정진하기도 하였다.

팔정사 주지소임을 맡다

은사스님이 연세가 많다 보니 사찰 관리가 여의치 않아서 스님은 본의 아니게 1994년부터 팔정사의 주지 소임을 맡아 현재까지 도량에 돌을 쌓고 큰 방과 선방을 증축하는 불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는 요사채를 잘 지어서 시민선방으로 활용함으로써 모든 대중이 함께 정진할 수 있는 도량을 발원하고 있는데, 서울 시내에 그만큼 아늑하고 아름다운 도량은 드물 것이라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오랫동안 선객으로 지내다가 주지를 맡아 사찰을 운영하면서 문득문득 걸망을 지고 떠나고 싶은 유혹을 견디기 힘들다는 스님은 연로하신 은사스님을 사십 평생 모시면서도 언제나 자신을 한없이 낮춘다.

스님의 수계제자로는 단경(䞡景)·준오(埈悟)스님이 있다.

팔정사 목보살좌상

[팔정사목보살좌상(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184호)]
사진촬영:김은희 2022년

팔정사 대웅전 목조 보살좌상은 아미타불의 우협시인 대세지보살상(大勢至菩薩像)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2004년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그 명칭이 ‘팔정사 목 보살좌상(대세지보살)’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보살좌상의 명칭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보살좌상은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왼손을 어깨 높이로 들고 있는데 두 손은 지물(持物)인 연봉오리를 잡고 있다. 이처럼 왼손을 들고 있는 보살상은 주로 좌협시보살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조선 후기의 일반적 현상이다. 삼존상의 경우 본존을 중심으로 좌우 협시상에서 좌우 대칭을 강조하는 손 표현은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 청헌에서 시작되어 승일, 응혜, 그리고 희장에게서 크게 성행하였다. 이처럼 팔정사 목조보살좌상은 아미타불의 우협시인 ‘대세지보살상’으로 알려져 왔지만 손 표현으로 보아서는 좌협시보살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명칭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 불상은 화염보주와 꽃으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머리칼이 어깨에 세 가닥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얼굴은 정 사각형에 가까우며, 표정은 경쾌하고 양감이 풍부하다. 특히 콧날이 오똑하고 크며, 미소를 머금은 입술은 양 옆이 살짝 들어가게 표현하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오른쪽 어깨 위에 걸쳐진 대의 자락에 표현된 폭이 좁고 하단이 뾰족한 옷자락 표현이다. 넓게 열린 가슴 앞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군의(裙衣) 상단을 표현하였으나 양감이 풍부한 얼굴과는 달리 가슴은 편평하게 처리하었다.

결가부좌한 두 다리 사이의 옷주름은 유연하게 표현하였고, 왼쪽 무릎 위에는 끝이 뾰족한 대의자락이 있다. 팔정사 대웅전 목 보살좌상은 정 사각형에 가까운 입체감있는 얼굴과 오른쪽 앞가슴에 끝이 뾰족한 대의 자락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 희장의 작품과 연관성을 갖는다. 조성기가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조성 연도와 조각승은 알 수 없지만, 전반적인 양식 특징으로 보아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진우(眞愚)스님 본항목 진우스님(眞愚, 1949~) 眞愚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진우스님(眞愚,_1949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진우스님(眞愚) 육화문중(六和) ~의 일원이다
진우스님(眞愚) 연호스님(蓮湖) ~의 수계제자이다
진우스님(眞愚) 서울 팔정사 ~에서 출가하다
진우스님(眞愚) 혜암스님(慧庵)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진우스님(眞愚) 고산스님(杲山)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진우스님(眞愚) 서울 팔정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진우스님(眞愚) 안거 ~을(를) 성만하다 대전 세등선원(탄방동), 부산 범어사 대성암(청룡동), 합천 해인사 약수암, 예산 수덕사 견성암, 영천 은해사 백흥암, 오대산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로 가기

지도

  • 팔정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342



주석


다른 비구니 스님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