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정혜사 강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정혜사(定慧寺)는 전주의 효자동에 있는 대한불교보문종 소속 사찰이다. | |
+ | |||
+ | 대한불교보문종은 비구니 교단으로, 이 절 역시 비구니 사찰이다. | ||
+ | |||
+ | 개항기인 1898년(대한제국 광무 2)에 최향관이 칠성각을 짓고 득남(得男)을 기원한 것이 절의 시작이었다. | ||
+ | |||
+ | 당시 이름은 안행사(雁行寺)였으나 사람들에게 잘못 전해져 안양사(安養寺)로 불렸다. | ||
+ | |||
+ | 일제강점기인 1922년 최향관의 외손녀인 비구니 명주(明珠)가 보광전을 짓고 이름을 정혜사로 고쳤다. | ||
+ | |||
+ | 이후 혜명(慧明)과 혜일(慧日)이 주석하면서 여러 건물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 | |||
+ | 정혜사라고 이름 지은 정(定)은 선리(禪理)를 연구하고 혜(慧)는 교리를 널리 알려 정혜쌍수를 실천하자는 취지라고 하겠다. | ||
+ | |||
+ | 1921년 정명주 스님이 불교 포교의 원력을 세우고 보광전 15칸, 용화전 1칸을 건축하였으며 | ||
+ | |||
+ | 명부전, 나한전, 완산선원, 사대천왕문과 아울러 요사채를 건축하여 수행과 포교에 전력을 다했으며, 강원을 설치하여 도제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 ||
+ | |||
+ | 그후 백혜명스님과 현 주지인 정혜일스님이 중건, 중창불사를 거듭하여 지금의 정혜사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 ||
+ | |||
+ | |||
+ | |||
+ |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외칠봉1길 36 (효자동1가) | ||
+ | |||
+ | |||
+ | ♦출처<br/> | ||
+ | |||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혜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876 | ||
+ | |||
+ | 네이버블로그 쏠쏠한 일상, 정혜사 2014년. https://m.blog.naver.com/jcjkks/70188112338 | ||
+ | |||
+ | ♦참고자료<br/> | ||
+ | |||
+ | 네이버블로그 은둔자의 일상, 사찰여행 전주 정혜사 2016년. https://m.blog.naver.com/titoms20/220607000033 |
2024년 1월 3일 (수) 19:45 판
정혜사(定慧寺)는 전주의 효자동에 있는 대한불교보문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보문종은 비구니 교단으로, 이 절 역시 비구니 사찰이다.
개항기인 1898년(대한제국 광무 2)에 최향관이 칠성각을 짓고 득남(得男)을 기원한 것이 절의 시작이었다.
당시 이름은 안행사(雁行寺)였으나 사람들에게 잘못 전해져 안양사(安養寺)로 불렸다.
일제강점기인 1922년 최향관의 외손녀인 비구니 명주(明珠)가 보광전을 짓고 이름을 정혜사로 고쳤다.
이후 혜명(慧明)과 혜일(慧日)이 주석하면서 여러 건물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혜사라고 이름 지은 정(定)은 선리(禪理)를 연구하고 혜(慧)는 교리를 널리 알려 정혜쌍수를 실천하자는 취지라고 하겠다.
1921년 정명주 스님이 불교 포교의 원력을 세우고 보광전 15칸, 용화전 1칸을 건축하였으며
명부전, 나한전, 완산선원, 사대천왕문과 아울러 요사채를 건축하여 수행과 포교에 전력을 다했으며, 강원을 설치하여 도제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후 백혜명스님과 현 주지인 정혜일스님이 중건, 중창불사를 거듭하여 지금의 정혜사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외칠봉1길 36 (효자동1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혜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876
네이버블로그 쏠쏠한 일상, 정혜사 2014년. https://m.blog.naver.com/jcjkks/70188112338
♦참고자료
네이버블로그 은둔자의 일상, 사찰여행 전주 정혜사 2016년. https://m.blog.naver.com/titoms20/22060700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