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책관(介幘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
{{의복|대표표제=개책관|한글표제=개책관|한자표제=介幘冠|대역어=|상위어=관모(冠帽)|하위어=|동의어=개책(介幘)|관련어=악공(樂工)|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22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1503022_006 『세종실록』 15년 3월 22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503022_006 『세종실록』 15년 3월 22일]}}
{{의복|대표표제=개책관|한글표제=개책관|한자표제=介幘冠|대역어=|상위어=관모(冠帽)|하위어=|동의어=개책(介幘)|관련어=악공(樂工)|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22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1503022_006 『세종실록』 15년 3월 22일],[http://sillok.history.go.kr/id/kda_11503022_006 『세종실록』 15년 3월 22일]}}
 
  
 
조선시대 [[악공(樂工)]]들이 조회(朝會)와 제향(祭享)에서 쓰던 관모(冠帽).
 
조선시대 [[악공(樂工)]]들이 조회(朝會)와 제향(祭享)에서 쓰던 관모(冠帽).
17번째 줄: 17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0227"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022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관모]][[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관모]][[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44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악공(樂工)들이 조회(朝會)와 제향(祭享)에서 쓰던 관모(冠帽).

내용

1433년(세종 15) 상호군(上護軍)박연(朴堧)이 말하기를, 우리나라에서는 당상(堂上)·당하(堂下)의 여러 악공들이 흑포두건(黑布頭巾)을 쓰니 모양이 좋지 않고 또 근거가 없으므로 당송(唐宋)의 제도에 따라 개책관(介幘冠)으로 고쳐 쓰게 하자고 하였다(『세종실록』 15년 3월 22일). 이때부터 악공들은 조회와 제향 때 개책관을 쓰게 되었다. 송나라의 개책(介幘)은 가죽으로 만들고 장식으로 검은 칠을 했으나, 지금은 종이를 배접하여 만들고 테두리에는 철사를 두르며, 안에는 고운 베를 바르고 검은 칠을 하며 자황(雌黃)으로 곱게 그린 후 청색 명주 끈을 단다.

용례

上護軍朴堧 上祭樂冠服之制 堂上堂下衆工之冠 唐宋之制 朝會祭享 皆用介幘冠 我朝黑布頭巾 粗惡無據 乞依唐宋 改用介幘冠(『세종실록』 15년 3월 22일)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