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순옹주(淑順翁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숙순옹주|한글표제=숙순옹주|한자표제=淑順翁主|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왕족/옹주|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태종|집필자=정주영|자=|호=|봉작= 숙순옹주(淑順翁主) |시호=|출신=왕족|성별=여자|출생=|사망=|본관=전주(全州)|주거지=서울|묘소소재지=경기도 고양시 대자리|증조부= 환조(桓祖) |조부= 태조(太祖) |부= 태종(太宗) |모_외조=이씨(李氏)|형제=|처_장인=|자녀=(1남)윤분(尹枌) (2남)윤강(尹杠) (1녀)심안인(沈安仁)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27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1025_001 『세종실록』 17년 1월 25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3004_003 『세종실록』 17년 3월 4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2029_002 『세종실록』 17년 2월 29일]}}
+
{{인명사전|대표표제=숙순옹주|한글표제=숙순옹주|한자표제=淑順翁主|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왕족/옹주|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태종|집필자=정주영|자=|호=|봉작= 숙순옹주(淑順翁主) |시호=|출신=왕족|성별=여자|출생=|사망=|본관=전주(全州)|주거지=서울|묘소소재지=경기도 고양시 대자리|증조부= 환조(桓祖) |조부= 태조(太祖) |부= 태종(太宗) |모_외조=이씨(李氏)|형제=|처_장인=|자녀=(1남)윤분(尹枌) (2남)윤강(尹杠) (1녀)심안인(沈安仁)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27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1025_001 『세종실록』 17년 1월 25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3004_003 『세종실록』 17년 3월 4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702029_002 『세종실록』 17년 2월 29일]}}
  
 
=='''총론'''==
 
=='''총론'''==
  
[?~? = ?]. 조선의 제3대 임금인 태종(太宗)의 딸로 옹주. [[숙신옹주(淑愼翁主)]]라고도 한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태종의 후궁 이씨(李氏)이다. 부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파원군(坡原君)[[윤평(尹泙)]]이다.
+
[?~? = ?]. 조선의 제3대 임금인 태종(太宗)의 딸로 옹주. [[숙신옹주(淑愼翁主)]]라고도 한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태종의 후궁 이씨(李氏)이다. 부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파원군(坡原君)[[윤평(尹泙)]]이다.
  
 
=='''출생과 혼인생활'''==
 
=='''출생과 혼인생활'''==

2018년 1월 9일 (화) 22:46 기준 최신판




총론

[?~? = ?]. 조선의 제3대 임금인 태종(太宗)의 딸로 옹주. 숙신옹주(淑愼翁主)라고도 한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태종의 후궁 이씨(李氏)이다. 부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파원군(坡原君)윤평(尹泙)이다.

출생과 혼인생활

태종과 후궁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숙순옹주(淑順翁主)는 1435년(세종 17) 인수부(仁壽府) 윤(尹)윤창(尹敞)의 아들 윤평(尹泙)과 결혼하였는데, 당시 세종(世宗)은 숙순옹주의 결혼에 채백을 검소하게 하라고 하였다.(『세종실록』 17년 1월 25일) 그리고 이때 윤평이 숙순옹주를 친히 맞아 갔는데, 이것이 친영(親迎)의 시작이다.(『세종실록』 17년 3월 4일) 숙순옹주와의 결혼에 앞서 윤평은 파원군에 봉해졌다.(『세종실록』 17년 2월 29일)

묘소와 후손

숙순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高揚市) 대자리(大慈里)에 있다.

숙순옹주는 부마 윤평과의 사이에 2남 1녀를 두었는데, 1남은 능직(陵直) 윤분(尹枌)으로 아버지 윤평보다 4년 먼저인 1463년(세조 9)에 세상을 떠났다. 2남은 참봉(參奉)윤강(尹杠)이고, 1녀는 심안인(沈安仁)과 혼인하였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보한재집(保閑齋集)』
  • 지두환, 『태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