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역(花川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충청도의 도로망인 시흥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조선 세종 때 전국의 역로(驛路)를 44역도(驛道)-537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한 데 이어, 세조 때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화천역(花川驛)은 시흥도(時興道)에 소속되었다. 그 뒤 시흥도가 금정도(金井道)로 통합되면서 금정도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조선후기까지 존속하였다가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화천역의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문헌은 『세종실록』「지리지」이다. 세종대에 전국적으로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화천역은 시흥역(時興驛)·창덕역(昌德驛)·일흥역(日興驛)·장시역(長時驛)과 함께 시흥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평택 편에 따르면, 화천역에는 대마(大馬) 2필, 기마(騎馬) 2필, 복마(卜馬) 2필 등 총 6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36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1872년(고종 9)에 간행된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역마 8필에 역마를 맡아 기르는 마호(馬戶) 8명이 배정되어 있었으며, 복호결(復戶結)은 16결(結)이 지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변천

1462년(세조 8)에는 각 도의 역참(驛站)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서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는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였다. 그 과정에서 화천역은 시흥역·창덕역·일흥역·장시역·순성역(順城驛)·흥세역(興世驛)·급천역(汲泉驛)과 함께 시흥도에 소속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런데 『여지도서』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를 살펴보면, 이후에 시흥도가 금정도로 통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천역은 세조대와 영조대 사이에 금정도에 소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96년(건양 1)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화천역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 따르면, 평택현 동쪽 5리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경기도 진위군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위군은 1938년에 평택군으로 개칭되었고, 1995년에 평택시가 되었다.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관동지(關東誌)』
  • 『해동지도(海東地圖)』
  • 『호서읍지(湖西邑誌)』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