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방(紅榜)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과거 시험 중 대과에 해당하는 문과와 무과 시험에서 합격자의 연명부를 적은 붉은색 두루마리 형태의 문서.

개설

조선시대에 대과(大科)인 문무과의 최종 시험인 전시(殿試)를 마치고 합격자의 등위를 가르는 방방의(放榜儀) 의례에서 합격자의 이름이 연명으로 기록된 붉은색으로 만든 두루마리 형태의 문서를 말하였다. 홍방(紅榜)에 적힌 이름을 호명하면 합격자가 나와 개인에게 주는 일종의 합격증서인 홍패(紅牌)를 받았다. 소과(小科)인 생원진사시의 경우는 백패(百牌)를 받았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대과의 최종 시험인 전시를 마치고 합격자를 발표하는 의례인 방방의에서 문무과 최종 합격자들의 등위를 가르는 연명부가 적힌 두루마리를 홍방이라고 불렀다. 방방의 의례에서 홍방을 올려놓은 방안 뒤에는 문무과 합격자의 개개인에게 수여하는 홍패안이 뒤따랐다. 의례가 시작되면 서쪽 계단으로 올라간 무과방방관(武科放榜官)의 호명에 따라 무과 시험자가 서쪽 문으로 들어와 자리에 나아갔다. 반면에 문과는 동쪽 문으로 들어와 자리에 나아갔다. 방안은 집사자인 내직별감(內直別監)이 들고 나와 그 위에 놓인 두루마리 형태의 홍방을 승지(承旨)에게 전달해 주고, 문과창방관과 무과창방관에게 각각 전달하여 성적순으로 합격자의 이름을 불렀다. 이후 합격자 개개인에게 문무과 홍패를 각각 전달하였다. 무과홍패안은 내직별감이 들고 나와 승지에게 전달해 주고 마지막으로 병조 정랑이 이를 받아 각각의 합격자들에게 홍패를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문과의 경우는 문과홍패안이라고 부르며, 이조 정랑이 홍패를 합격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문종실록』 즉위년 10월 6일).

변천

홍방에 이름이 연명되고 홍패를 받으면 과거급제를 한 것이었다. 따라서 홍방에 연명된 이름은 과거 급제자를 말하였다. 나이가 어린 권문자제(權門子弟)가 과거에 급제한 것을 비웃는 말로 분홍방(粉紅榜)·홍분방(紅粉榜)이라는 말로 변형되어 쓰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무과총요(武科總要)』
  • 임선빈·심승구 외, 『조선전기 무과 전시의 고증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8.
  • 최형국, 「조선시대 기사 시험방식의 변화와 그 실제」, 『중앙사론』24 ,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