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왕책(土旺策)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 년의 길이를 120등분한 값으로서 4계절 중, 토(土)의 기운이 왕성하기 시작하는 날을 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수.

개설 및 내용

옛 역법에서는 1년 4계절이 오행설에 따라 화·수·목·금·토의 다섯 성질에 근원을 둔 다섯 기(氣)의 소장(消長)에 따라 변화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오행을 4계절에 적용하여 봄에는 목기(木氣), 여름에는 화기(火氣), 가을에는 금기(金氣) 그리고 겨울에는 수기(水氣)가 왕성하여지는 것으로 보았으나, 토기(土氣)만은 배당할 곳이 없게 되어 각 계절에서 18일씩을 떼어내어 토를 배당하였다. 즉 4계절은 사립지절(四立之節)인 입춘, 입하, 입추, 입동에서 시작되므로 이들 사립(四立) 전에 18일씩, 모두 72일을 토로 배당하였다. 다시 말하면, 일 년 365일에 오행을 배분하면 각각 73일씩 배분되지만 춘하추동이 91일이 되어 오행으로 배분된 73일과 18일의 차가 나므로 각 계절에 18일씩을 떼어서 토로 배당한 것이다. 따라서 토가 시작하는 토시용사일(土始用事日)은 사계중기(四季中氣)에서 토왕책(土旺策)을 감하여 구한다. 여기서 사계중기는 네 계절의 마지막 중기인 곡우, 대서, 상강, 대한을 말하며, 토왕책은 토가 왕성하기 시작하는 날을 정하는 상수로서 일 년의 길이를 나타내는 세주(歲周)를 120등분하여 얻는다. 이렇게 얻은 토왕책의 값은 약 3일이 되므로 토시용사일은 각각 곡우, 대서, 상강, 대한의 3일 전을 구하는 계산이며 이날부터 토의 기운이 왕성하여지는 날로 한다.

토왕책 = 세주 ÷ 12 ÷ 10 = 365.2425일 ÷ 120 = 3.0436875일

토시용사일 = 사계중기 전분(全分) - 3.0436875일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역지(曆志)」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이은성, 『曆法의 原理分析』, 정음사, 1985.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