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初伏)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 연중 가장 더운 기간에 드는 첫 번째 복일.

개설

여름에 더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인 삼복(三伏)에 들어서는 첫 복일이다. 초복(初伏)은 하지를 기준으로 세 번째 경일(庚日)에 든다. 삼복에는 그 외에도 중복(中伏)과 말복(末伏)이 있다. 경(庚)은 곧 금기(金氣)를 말하며, 복(伏)은 금기가 엎드려 숨어 있다는 뜻이다.

24절기상으로 초복은 소서(小暑)와 대서(大暑) 사이에 드는데, 초복부터 중복이 들기 전이 가장 무더위가 심한 기간이라 할 수 있다. 복일에는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보양식을 먹는 것이 관례였다. 왕은 더위가 시작되는 초복부터 말복이 끝난 이후인 처서(處暑)까지 정사를 중단하는 것이 관례였다. 조선시대에는 초복이 시작되기 전부터 비가 오지 않아 전국적으로 들판이 갈라지는 등의 한재(旱災)가 많아 국가에서는 기우제를 지냈으며, 농가에서는 농사의 풍작을 비는 의례를 행했다.

연원 및 내용

초복은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날은 보양식으로 개장[狗醬]과 계삼탕(鷄蔘湯)을 먹고, 또한 열을 식히고 역병(疫病)을 예방하기 위해 팥죽을 쑤어 먹었다. 복일에 개를 시절음식으로 먹게 된 것은 679년(진 진덕공 2) 중국 춘추시대 진(秦)나라진덕공(秦德公)이 충재(蟲災)를 막기 위해 개를 잡아 제사를 지낸 데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초복과 중복 그리고 말복에 팥죽을 먹기도 하였다. 팥의 차가운 성질이 몸 안의 열을 방출하는 데에 착안해서 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궁중에서는 초복에 고위관리들과 관청에 나무로 만든 빙표(氷票)를 주어 궁의 장빙고(藏氷庫)에 가서 얼음을 타 가게 하였다.

초복은 왕이 잠시 정사 돌보기를 멈추었는데, 무더위에 왕의 기력을 회복하고 보양하기 위함이었다. 또 초복 즈음에 비가 오지 않아 땅이 다 갈라져 모내기를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한 한재로 인해 기우제를 행할 경우에는 왕이 정사를 멈추고 있는 중이라도 직접 제를 행하였다. 대개 기우제가 복일에 가까이 택일이 되면 국가의례를 미루거나 대신이 대신하도록 하였으나, 농사에 영향을 미치는 재해(災害)의 경우에는 왕이 직접 친행하였다. 1796년(영조 36)에 영조는 초복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비가 오지 않아 네 번째 기우제를 남단에서 친히 행한다고 하교하였다(『영조실록』36년 5월 27일).

생활·민속적 관련 사항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초복에는 중복, 말복과 함께 팥죽을 먹기도 하였다. 팥죽은 새알심을 넣어 만든 것으로, 팥이 사악한 악귀를 물리치는 음식이라 믿어, 삼복에 이것을 먹고 악귀를 쫓고 무병하려는 데서 나온 풍습이다. 복일에 개장을 먹는 것은 화기를 누르기 위한 믿음에서 기인했다는 속설이 전해진다. 또한 더위를 피하기 위해 복일에는 약수터를 찾는 사람도 있었다. 복일에는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을 찾아 약수를 마시며 하루를 청유(淸遊)하는 풍습도 있었다.

초복에는 곡식이 많이 자라고 넝쿨이 많이 뻗어나가라는 뜻에서 국수와 좁쌀밥 그리고 부침개 혹은 밀전병 등을 장만하여 논이나 밭에 나가서 축원을 한다. 논 또는 밭 복판에 성주대라 하여 버드나무를 꽂아 놓고 그 앞에 음식을 차린 뒤 빈다. 국수는 기다란 곡식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좁쌀밥은 열매가 많이 맺히는 것을 상징한다. 축원이 끝나면 버드나무에 한지를 매고 떡도 드문드문 가지 사이에 떼어 놓는다. 복날에는 이와 같이 농사의 풍작을 비는 의례를 지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도잡지(京都雜誌)』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목은집(牧隱集)』
  • 『식산집(息山集)』
  •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세시풍속 자료집성: 삼국·고려시대편』, 2003.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세시풍속 자료집성: 조선전기 문집편』, 2004.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세시풍속 자료집성: 조선후기 문집편』, 2005.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세시풍속 자료집성: 신문·잡지편(1876~1945)』, 2003.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세시풍속 자료집성: 현대신문편(1946~1970)』, 2006.
  • 임동권, 『한국 세시풍속 연구』, 집문당, 1984.
  • 김명자, 「한국 세시풍속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관계망